본 연구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길림성 Y시 S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2명으로, 실험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9294
2018
Korean
375.1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49-270(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길림성 Y시 S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2명으로, 실험집...
본 연구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길림성 Y시 S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2명으로, 실험집단 17명, 통제 집단 1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또래 유능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 유능성 검사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도성과 친사회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사교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판단되며 하위요인 중 주도성과 친사회성에는 영향을 주지만, 사교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만수,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883-890, 2014
2 박주희,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21-232, 2001
3 양관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4 배서영,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5 방은영, "창의적 신체표현을 통한 말 리듬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97-111, 2016
6 이현주, "창의적 신체 표현활동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자기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남임,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장완수,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 배정호, "전래놀이 기반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629-656, 2015
10 송순옥, "음악과 신체표현을 통합한 예술경험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 및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27-245, 2016
1 이만수,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883-890, 2014
2 박주희,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21-232, 2001
3 양관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4 배서영,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5 방은영, "창의적 신체표현을 통한 말 리듬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97-111, 2016
6 이현주, "창의적 신체 표현활동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자기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남임,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장완수,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 배정호, "전래놀이 기반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629-656, 2015
10 송순옥, "음악과 신체표현을 통합한 예술경험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 및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27-245, 2016
11 윤효진, "음악과 결합된 동작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9
12 김은심, "유치원의 동작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14 (14): 135-151, 1994
13 이만수, "유치원의 동작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2 (2): 171-186, 2001
14 이영, "유아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 교문사 2004
15 김은정, "유아교사의 창의적 동작교육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5
16 신은미,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65-492, 2011
17 김은심,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적 동작 교육" 파란마음 2007
18 김은심,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5
19 하지원, "아동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과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0 김미진, "소집단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21 소대웅, "소집단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22 이진경,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3 황미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24 이수진,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5 최진숙,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6 정은화,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5 (15): 151-169, 2017
27 남정희, "그림책의 시각언어를 활용한 신체표현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28 오기영,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전수정,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30 안지영,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31 윤은영,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12 (12): 45-59, 2011
32 이윤미, "과학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8
33 Gallahue, D. L.,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ley 1982
34 Rubin, K. H.,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1998
35 Gehardt, L. A., "Moving and knowing : The young child orients himself in space" Prentice-hall 1973
36 Gallahue, D. L.,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Brown & Benchmark 1996
37 Stinson, S., "Creative dance for preschool children" 59 (59): 52-56, 1988
보육실습 지원을 위한 온‧오프라인 소집단 멘토링 경험- 원격 평생교육원 보육실습생을 중심으로 -
비유(metaphor)를 통한 철학적 사고와 비유의 제한성에 대한 탐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10-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 |
2020-04-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