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이론은 이론이 체계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상상력의 체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것은 과학적으로는 비판의 소지를 안고 있지만, 창조의 원리로서는 대단히 탁월한 역량을 함축하고 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7304
이진오 (부산대학교)
2012
Korean
음양 ; 상상력 ; 창조성 ; 생극론 ; 예술 ; Yin Yang ; imagination ; creativity ; Saeng Kuk Theory ; art.
KCI등재
학술저널
461-485(2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음양이론은 이론이 체계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상상력의 체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것은 과학적으로는 비판의 소지를 안고 있지만, 창조의 원리로서는 대단히 탁월한 역량을 함축하고 있다...
음양이론은 이론이 체계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상상력의 체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것은 과학적으로는 비판의 소지를 안고 있지만, 창조의 원리로서는 대단히 탁월한 역량을 함축하고 있다. 음양적 상상력은 대립과 생성으로서의 세계 존재를 해명하는 원리로서 정착되었다. 주역에서는 여기에 시간 개념을 개입시켜 변화와 역동성으로서의 동세적 상상력을 제시하였다. 음양은 이질성의 상호작용으로, 균형과 조화를 지향한다. 조화는 주기를 형성하고, 주기의 반복은 리듬을 형성한다. 음양적 상상력은 동아시아 문화의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었다. 개인과 사회의 도덕적, 윤리적 지표가 되어 개인의 내면적 가치 형성에 관여하였다. 유교적 가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용의 가치에도 관여하였으며, 인간에게 하늘과 땅의 원리를 통합하는 주체자로서의 책임을 부여하는 천지인 사상 또한 음양적 상상력의 소산이었다. 하지만, 남존여비로 상징되는 사회적 차등 의식 역시 이 음양적 사고로부터 배태된 것으로, 많은 차별과 고통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후천개벽사상은 음양적 상상력이 역사적 상상력과 결합한 것으로, 역사적 격변기에 중대한 사회적 동인을 제공하였다. 음양이론은 실용분야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어 의학이나 풍수지리의 중심 사상으로 자리잡았다. 가장 극적인 성취는 언어학에서 일어났다. 한국 역사상 가장 창의적이며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한글의 창제가 바로 음양오행의 원리에 입각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문학이나 음악, 미술, 무용 등 예술분야나, 건축이나 복식같은 실용예술에 이르기까지 음양적 상상력은 깊이, 그리고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특히 음악은 음양이론을 빼고는 아무 것도 성립되지 않을 정도로 전체 체계가 음양이론에 의존해 있다. 다양한 예술에 적용된 음양적 상상력의 미학적 원리는 ‘양강의 미’와 ‘음유의 미’의 상보적 관계로 정리될 수 있다. 서구의 과학이 전해옴에 따라 청나라 말기와 조선 후기의 여러 지성들은 음양이론의 비과학성을 신랄히 지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음양적 상상력은 현대에까지도 면면히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태적 사유의 보고로까지 주목되고 있다. 문학과 음악, 미술, 무용, 건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음양적 상상력은 오히려 새로운 생명력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문학사와 세계문학사를 해명하는 이론으로 정립된 조동일의 생극론은 음양론을 발달시킨 이론으로, 수입이론을 극복하는 자생적 이론 정립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음양적 상상력은 이론의 체계이기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상력의 체계로서, 무한히 새로운 창조의 원리로서 살려나갈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a of Yin Yang is one of the main idea of East Asian Culture; however, it is a kind of imagination rather than philosophy. There are three principles in the essence of the imagination of Yin Yang. The first is ontological imagination, which mean...
The idea of Yin Yang is one of the main idea of East Asian Culture; however, it is a kind of imagination rather than philosophy. There are three principles in the essence of the imagination of Yin Yang. The first is ontological imagination, which means opposition and creation. The second is active imagination, which means change and activity. The third is harmonious imagination, which means cycle and rhythm. These imaginations were widely applied to every field of East Asian culture. The virtue of moder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value in Confucianism, has come from the imagination of Yin and Yang. Also, the sexual discrimination was caused by Yin and Yang. On the other hand, the imagination of Yin Yang developed the idea of a reformed world. In that world after reformation, all the natural order would change ultimately, and Yin would become the prevailing power. In the practical area, there was much influence too. East Asian medical science and Feng-shui culture were based on Yin Yang theory. The most prominent event was inventing Korean alphabet Hangeul. Hangeul was established along the system of Yin Yang theory. The imagination of Yin Yang have had much infuence on music, fine art, dance, literature, architecture and design. Consequentially there were important aesthetical achievements. In modern society, Yin Yang still have influence. The most representitive case is Saeng Kuk Theory(生克論). We can say that the idea of Yin Yang is unscientific, but the thoughts of Yin Yang are imagination rather than science. The imagination can not be judged logically. It is the principle of creation. The imagination of Yin Yang as a principle of creation still has profound significance in modern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규태, "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4 : 1998
2 하근호, "황제내경 소문 음양이합론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2003
3 신상미, "한국춤 공간에 나타나는 음양오행적 표현특성" 대한무용학회 28 : 2000
4 湛軒書, "한국고전종합DB 원문이미지"
5 김지희, "한국 전통춤에 내재된 음양오행 분석을 통한 한국적 춤교육 방안 모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장경렬, "코울리지 : 상상력과 언어" 태학사 2006
7 신응철, "캇시러의 문화철학" 한울아카데미 2000
8 강영안, "칸트의 형이상학과 표상적 사유" 서강대학교출판부 2009
9 김웅권, "촛불의 미학" 동문선 2008
10 周勳初, "중국문학비평사" 이론과실천 1994
1 조규태, "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4 : 1998
2 하근호, "황제내경 소문 음양이합론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2003
3 신상미, "한국춤 공간에 나타나는 음양오행적 표현특성" 대한무용학회 28 : 2000
4 湛軒書, "한국고전종합DB 원문이미지"
5 김지희, "한국 전통춤에 내재된 음양오행 분석을 통한 한국적 춤교육 방안 모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장경렬, "코울리지 : 상상력과 언어" 태학사 2006
7 신응철, "캇시러의 문화철학" 한울아카데미 2000
8 강영안, "칸트의 형이상학과 표상적 사유" 서강대학교출판부 2009
9 김웅권, "촛불의 미학" 동문선 2008
10 周勳初, "중국문학비평사" 이론과실천 1994
11 한명희, "주역과 한국음악" 태동고전연구소 22 : 2006
12 김경순, "존 케이지 음악에 있어서 주역(周易)" 한국서양음악학회 12 (12): 185-222, 2009
13 김용헌, "조선후기 서양과학의 수용에 따른 주자학적 사유의 변화" 대동철학회 10 : 2000
14 김인규, "조선후기 實學派의 陰陽五行에 대한 이해와 그 의의" 동아시아문화학회 3 : 2006
15 문정호, "조선조 실학의 오행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8
16 장은석, "음양오행에 의한 상징조형에 관한 연구 : 한국인의 조형사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7 양계초, "음양오행설의 연구" 신지서원 1993
18 김영목, "음양오행사상의 존재론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1
19 윤창열, "음양오행론의 형성과 이의 응용연구" 경희대민속학연구소 7 : 2003
20 A.C. 그레이엄, "음양과 상관적 사유" 청계 2001
21 정화순, "율려와 음양이론" 동양철학연구회 26 : 2001
22 김병훈, "율려와 동양사상" 예문서원 2004
23 이지훈, "예술과 연금술" 창비 2004
24 강신항, "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 태동고전연구소 22 : 2006
25 이숙희, "악학궤범 사상체계의 형성 배경과 성격" 한국음악사학회 (33) : 127-149, 2004
26 임태승, "소나무와 나비: 동아시아미학의 두 흐름" 심산문화출판사 2004
27 송태현,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 살림 2005
28 뤼시앵 보이아, "상상력의 세계사" 동문선 2000
29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05
30 질베르 뒤랑,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2007
31 조규문, "사주명리학에 적용된 음양오행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5
32 가스통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이학사 2007
33 이진오, "불교미학적 관점에서 본 빌 비올라(Bill Viola)의 비디오와 김아타의 사진"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437-465, 2010
34 錦囊經, "부산대학교 도서관 마이크로필름소장본"
35 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문예출판사 2004
36 안재옥, "명리학에 함축된 음양오행론에 관한 연구 : 월령을 중심으로" 동방대학원대학교 2007
37 김성지, "동중서의 양 중심사상으로의 전환에 대한 고찰 : 동중서의 황로사상과 음양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38 이기동, "동중서사상의 체계적 이해" 한국유교학회 4 : 1992
39 전원석, "동중서 음양오행설의 철학적 검토"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40 이연승, "동중서 연구사의 검토와 새로운 방향 모색"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5 : 1999
41 리빙하이, "동아시아미학" 동아시아 2010
42 가스통 바슐라르,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02
43 박병훈, "다산의 악론 연구 : 상관적 사유의 비판과 역학적 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44 신진, "김구림의 작업에 있어서의 오브제와 일상의 의미 :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45 樂學軌範, "국역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추진회 1979
46 화이트헤드, "교육의 목적" 소망 2009
47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 민음사 2003
48 가스통 바슐라르, "공기와 꿈" 이학사 2001
49 임마누엘 칸트,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들" 이제이북스 2007
50 곽광수, "가스통 바슐라르" 민음사 1995
51 "黃帝內經" 河北科學技術出版社 1994
52 老子, "陈鼓应注释" 商务印书馆 2004
53 李成九, "訓民正音解例의 哲學思想에 관한 硏究: 易理와 性理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4
54 "訓民正音解例本 (디지털 한글박물관 학술정보관 원문사진보기)"
55 邵雍, "皇極經世書" 中州古籍出版社 1993
56 論語, "漢文大系本, 富山房, 東京明治44"
57 周易, "漢文大系本, 富山房, 東京明治44"
58 中庸, "漢文大系本, 富山房, 東京明治44"
59 "淮南子 (漢文大系本, 富山房, 東京明治44"
60 春秋繁露, "春秋繁露義證" 中華書局 1996
61 조민환, "太極陰陽論과 韓國傳統藝術의 美意識" 한국미학예술학회 17 : 93-114, 2003
62 周敦頤, "太極圖說" 上海古籍出版社 1992
63 송재국, "周易의 三才思想과 人間理解" 한국동서철학회 17 : 1999
64 王振復, "周易的美學智慧" 湖南出版社 1991
65 正易, "周·正易經合編" 硏經院 2009
66 朱良志, "中國藝術的生命精神" 安徽敎育出版社 1998
67 张皓, "中国美学范畴与传统文化" 湖北敎育出版社 1996
68 曹利华, "中华传统美学体系探源" 北京圖書館出版社 1999
69 엄진성, "『황극경세서』에 나타난 '이물관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70 박휴용, "“교육의 리듬(The Rhythm of Education)”의 창조성에 관한 고찰" 한국화이트헤드학회 (7) : 4-138, 2003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의 철학과 종교 간의 갈등 ― 이슬람 신플라톤 철학과 전통적 창조관 간의 충돌
8-9세기 이슬람 철학의 칼라암(Kalām)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구
아베로에스와 내세의 문제 ― 종교와 철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