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기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Post-adolescents on the Career Adaptability: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adaptability of post-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analysis were 316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First, post-adolescen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elf-awareness in order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Second, post-adolescen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learning strategy, self-awareness, learning motivation in order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Third, post-adolescents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s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goal selection, job information, future plans in order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Four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shows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have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show that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has a meaningful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areer adaptability.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adaptability of post-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analysis were 316 university student...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adaptability of post-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analysis were 316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First, post-adolescen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elf-awareness in order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Second, post-adolescen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learning strategy, self-awareness, learning motivation in order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Third, post-adolescents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s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goal selection, job information, future plans in order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Four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shows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have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show that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has a meaningful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areer adapt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교식,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W그룹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이호진 ; 김완일, "특성화 고등학생의 주도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강점 활용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1-333, 2016

      3 홍영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 나미현, "진로적응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진로상담에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5 강정은,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여자대학생과 전문대 여자대학생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이혜성 ; 이은경,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109-120, 2002

      7 최윤정 ; 김지은,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교육연구소 13 (13): 81-106, 2012

      8 최종태, "자본주의 4.0 시대의 사회적기업과 경영학" 4 (4): 5-49, 2011

      9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0 박주연,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1 김교식,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W그룹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이호진 ; 김완일, "특성화 고등학생의 주도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강점 활용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1-333, 2016

      3 홍영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 나미현, "진로적응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진로상담에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5 강정은,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여자대학생과 전문대 여자대학생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이혜성 ; 이은경,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109-120, 2002

      7 최윤정 ; 김지은,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교육연구소 13 (13): 81-106, 2012

      8 최종태, "자본주의 4.0 시대의 사회적기업과 경영학" 4 (4): 5-49, 2011

      9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0 박주연,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11 노국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탐색적 시도" 2 (2): 27-38, 1999

      12 천경희 ; 박은아 ; 송영명,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161-177, 2011

      13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4 이수분, "여대생의 진로지향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49-68, 2016

      15 박은미, "업무환경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6 조성연 ; 홍지영, "성인 학습자의 인구학적 변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관계연구" 한국상담학회 11 (11): 1099-1115, 2010

      17 윤은영 ; 이지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원 42 (42): 191-213, 2016

      18 장혜민, "부모의 공감적 태도가 자녀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 매개역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19 박주연,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20 백정기 ; 이제경,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79-98, 2019

      21 육정원 ; 김봉환,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탐색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111-128, 2017

      22 신주은 ; 오석영, "대학생의 진로학습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3) : 63-92, 2018

      23 정지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4 노윤신 ; 정철영,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55-81, 2016

      25 노윤신,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한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과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6 장욱희, "대학생의 진로관련 효능감이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7

      27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성과의 비교분석" 3 (3): 49-66, 2013

      28 이혜민,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만족, 진로소명의 인과적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2017

      29 장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아분화,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진로탐색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30 윤정혜,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29-46, 2015

      31 이유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2 박송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자아탄력성이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33 송유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34 김기홍,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간의 구조관계분석"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9

      35 박주연,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50 (50): 257-274, 2019

      36 박진영,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분석" 한국교육학회 42 (42): 247-269, 2004

      37 권윤정,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8

      38 강명숙 ; 방은령,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21-46, 2015

      39 강명숙 ; 방은령,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 (20): 443-467, 2014

      40 문승태 ; 박미하 ;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39-60, 2012

      41 석지현,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42 이순화 ; 천성문 ; 남기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37 (37): 81-107, 2018

      43 박진아,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조절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4

      44 배성아 ; 성소연,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59-877, 2019

      45 이지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46 배양자 ; 박순희,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 학습몰입,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04-111, 2019

      47 김나래, "대학생의 내적통제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48 손은령 ; 이순희, "대학생의 낙관성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81-199, 2012

      49 이순희 ; 손은령,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2525-2544, 2013

      50 오은주,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 (17): 81-90, 2019

      51 유인영,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이 진로적응성에미치는 영향 : 강점활용을 매개변인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5

      52 조영아 ; 정지은,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진로개발 관련 심리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31-152, 2017

      53 장계영,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54 박은규 ; 이서정, "대학생 진로적응성 관련 영향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35-56, 2018

      55 윤금희,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 개발 및진로관련 변인과의 관계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56 김소영, "남자 중학생의 자아분화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7 유영란 ; 강명희,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225-247, 2014

      58 서경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4

      59 탁진국, "경력 적응능력 척도-한국 형식 : 심리적특성 및 구성 타당성" 80 : 712-715, 2012

      60 劉貴玉, "成人學習者의 自己主導性과 人口學的 및 社會心理學的 變因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61 Pratzner, F. C., "Yearbook of the American Vocational Association Arlington" American Vocational Association 1984

      62 Lent, R.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 79-122, 1994

      63 Kracke, B., "The role of personality, parents and peers in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25 (25): 19-30, 2002

      64 Creed, P. A.,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person and situation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in young adults" 74 : 219-229, 2009

      65 Houle, C. O., "The inquiring mind :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University of Wisconsin 1961

      66 Cyrill O Houle, "The inquiring min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67 Rottinghaus, P. J.,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13 (13): 3-24, 2005

      68 Tough, A., "The Adult's learning project : A fresh approach of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learning" Th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979

      69 Benson, P., "Teaching and researching autonomy in language learning" Long man 2001

      70 Ryan, G., "Student perception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in a professional course implementing problerm-based learning" 18 (18): 53-63, 1993

      71 Levitt, M. J.,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A multi-cultural study" 15 (15): 207-222, 1994

      72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73 Bandura, A., "Self-e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77

      74 Knowles, M. S., "Self - directed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Association Press 1975

      75 Baumert, J.,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 in the PISA project" OECD 1998

      76 Yousefi, Z., "Pers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 Predicting Career Adaptability in Young Adults" 14 (14): 263-227, 2009

      77 Creed, P. A., "Leaving high school ; The influence and conseq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related confidence" 26 (26): 295-311, 2003

      78 Karaevli, A., "How career variety promotes the adaptability of managers : A theoretical model" 69 (69): 359-373, 2006

      79 Betz, N. E., "Efficacy and out 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46 (46): 179-189, 1997

      80 Veerle Germeijs, "Educational Choices in Adolesc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Catholic University of Leuven 2007

      81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1977

      82 Garrison, R. D.,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dult education : An analysis of responsibility and control issues" 42 (42): 136-148, 1992

      83 De Pater, I. E., "Challenging experiences : Gender differences in task choice" 24 (24): 4-28, 2009

      84 Lent, R. W., "Career self-efficacy :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30 : 347-382, 1987

      85 Super, D. E.,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 Some theoretical problems" 9 : 194-201, 1981

      86 Savickas, M. L.,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Wiley 42-70, 2005

      87 Super, D.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Jossey-Bass 197-261, 1990

      88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y: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45 : 247-259, 1997

      89 Hirschi, A.,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74 (74): 145-155, 2009

      90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ies scale :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 countries" 80 (80): 661-673, 2012

      91 Tak, J. K., "Career Adapt-Abilities Scale-Korea Form :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80 : 712-715, 2012

      92 Brockett, R. G., "Bridging the theory–practice gap in self-directed learning" 25 : 31-40, 1985

      93 Kalleberg, A. L., "Bad jobs in America : Standard and nonstandard employment relations and job quality in the United States" 65 : 256-278, 2000

      94 Griffin, B., "Are conscientious workers adaptable" 30 (30): 245-259, 2005

      95 Taylor, K. M.,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 decision" 22 : 63-81, 1983

      96 Guglielmino, L. M., "An information age imperative" University of Georgia, Adult Education Department 125-148, 1991

      97 Taylor, K.,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on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ocational indecisive" 37 : 17-31, 1990

      98 West, R. F., "Advances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157-180, 1990

      99 Ashford, S. J, "Adaptation to work transitions; An integrative approach" 8 : 1-39, 1990

      100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 185-190, 1953

      101 Hackett, G.,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18 : 326-339, 1981

      102 Hague, C., "A review of the current landscape of adult informal learning using digital technologies"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논문집 청소년시설환경 -> 청소년시설환경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8 1.094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