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기 자녀 어머니용 다문화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preschool mot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1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preschool mothers and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75 preschool mothers from Gyeongbuk. The 14-item multicultural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preschool mothers and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75 preschool mothers from Gyeongbuk. The 14-item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preschool mothers consists of 4 factors: “interaction,” “openness,” “respect,” and “receptiveness.” Cronbach's α ranged from .66 to .85.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RMSEA= .076, SRMR= .057, NNFI= .901, and CFI= .923.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preschool mothers is sufficiently reliable and vali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 어머니용 다문화 인식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북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0곳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480명을 대상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 어머니용 다문화 인식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북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0곳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척도의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하위요인(다문화에 대한 상호작용, 다문화에 대한 존중성,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다문화에 대한 개방성)으로 나타났으며 총 문항은 14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척도의 전체 신뢰도(Cronbach’s α)는 .85로 나타났으며 척도의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다문화에 대한 상호작용’ .83, ‘다문화에 대한 존중성’ .79,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74, ‘다문화에 대한 개방성’ .66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척도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모델 적합도는 RMSEA= .076, SRMR= .057, NNFI= .901, CFI= .923으로 나타나 유아기 자녀 어머니용 다문화 인식척도가 적합한 측정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2 김원경,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 2 (2): 91-100, 2011

      3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문명희, "중국 광저우 거주 한국어머니와 일본어머니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실제"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311-332, 2014

      5 행정자치부,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발표" 사회통합지원과

      6 임명희,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유효순, "유아용 다문화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33-150, 2010

      8 정동옥,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가정지원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2016

      9 유효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교육 실제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3-40, 2011

      10 전덕수,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2 김원경,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 2 (2): 91-100, 2011

      3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문명희, "중국 광저우 거주 한국어머니와 일본어머니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실제"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311-332, 2014

      5 행정자치부,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발표" 사회통합지원과

      6 임명희,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유효순, "유아용 다문화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33-150, 2010

      8 정동옥,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가정지원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2016

      9 유효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교육 실제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3-40, 2011

      10 전덕수,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이채호, "유아교사용 다문화 인식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1-324, 2010

      12 황윤세, "유아 다문화 교육이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205-222, 2016

      13 김영옥,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1-38, 2002

      14 정금자, "사회극놀이를 통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67-393, 2013

      15 이수미, "미술을 통한 유아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형 연구"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6 차금안, "동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87-421, 2013

      17 양옥승,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과정" 1997

      18 정서연,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63-288, 2016

      19 이기영,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15-132, 2010

      20 성영화,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53-71, 2016

      21 김정원,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5-26, 2009

      22 김영옥,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5-68, 2007

      23 박지희, "다문화 반영도서를 통한 토의활동이 인종에 대한 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4 이미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5 이은진,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인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59-79, 2009

      26 하숙현, "다문화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실제 연구조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7 박성연,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28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29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30 유정님, "공립유치원 다문화 가정 유아의 교육실태 및 지원에 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1 설동훈, "‘코시안’ 강자의 횡포가 만든 ‘차별의 언어’"

      32 Noonan, M. J.,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es in natural environments:Methods & Procedures" Books 2006

      33 Munroe, A.,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66 (66): 819-834, 2006

      34 Brazelton, T. B., "The Irreducible Needs of Children: What Every Child Must Have to Grow, Learn, and Flourish" Perseus 2000

      35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6 Chen, G.,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8-12, 2000

      37 Robels de Melendez, W., "Teaching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classrooms : Issues, conceps, and strategies" Cengage Learning 2007

      38 Swick, K., "Perspectives on understanding and working with families"

      39 Rothfarb, S. H., "Perception of intergroup relations in secondary schools of Miami Dade County Public Schools: Results of the students multicultural relations survey" Office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Miami-Dade County Public Schools 1992

      40 Verna, M. A., "Parental processes and self-concepts e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talian students" 1-5, 2002

      41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Allen and Bacon 3-28, 1993

      42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John Wiley& Sons, Inc 2001

      43 Gollnick, D. M.,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Pearson Prentice Hall 2009

      44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Jossey-Bass, An Imprint of Wiley 2010

      45 Boutte, G. S., "Multicultural Education : Raising Consciousness" Wadsworth 1999

      46 Banks, J. A.,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Pearson 2008

      47 Chao, R., "Interpretations of Parental Control by Asian Immigrant and European American Youth" 23 : 342-354, 2009

      48 D'Andrea, M., "Handbook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154-167, 2003

      49 Heider, S., "Fathering and family processes roundtable: summary, proceedings, national center on fathers and families" Pennsylvania University 2000

      50 Herskovits, M., "Fami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ability" 14 (14): 237-246, 2000

      51 Robinson, N. M., "Family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academic competence in former head start children ant third grade" 46 (46): 278-290, 2002

      52 Morrison, G. S.,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 Prentice Hall 2010

      53 Lynch, E. W., "Developing cross-cultural competence: A guide for working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rookers Publishing 2011

      54 Lynch, E. W., "Developing cross-cultural competence : A guide for working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rookers Publishing 1998

      55 Bennett, C.,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Inc 2007

      56 Ambrosio, P., "Assessment of Multicultural/Diversity outcomes grant a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the teachers college and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57 Derman-Sparks, L.,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89

      58 Nieto, S.,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lyn & Bacon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7-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 1.298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