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for Young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4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using a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in H and G daycare center in G City. The experiment group of this study was 16 children in the class of five-year-olds and 7 children in the class of four-year-olds who passed their birthday and became five-year-olds in H daycare center.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Pared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The results of applying dietary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enhancements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Nutrition Achievement Test,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Assessment compare to comparative group.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does have effects on enhancing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dietary related factors that present importance of health dietary life of young children and need to provide educ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diet for young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using a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using a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in H and G daycare center in G City. The experiment group of this study was 16 children in the class of five-year-olds and 7 children in the class of four-year-olds who passed their birthday and became five-year-olds in H daycare center.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Pared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The results of applying dietary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enhancements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Nutrition Achievement Test,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Assessment compare to comparative group.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does have effects on enhancing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dietary related factors that present importance of health dietary life of young children and need to provide educ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diet for young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16명과 만 4세반 유아 중에서 생일이 지나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실험집단으로, G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7명과 만 4세반 유아 중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실제적인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식생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가 식생활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고, 식생활과 관련된 변인들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유아들이 기관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식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16명과 만 4세반 유아 중에서 생일이 지나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실험집단으로, G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7명과 만 4세반 유아 중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실제적인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식생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가 식생활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고, 식생활과 관련된 변인들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유아들이 기관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식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춘금, "학습주기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행동 유형 연구" 한국보육학회 3 (3): 127-140, 2003

      2 황윤세,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요리활동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의 차이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7) : 245-271, 2011

      3 김정미, "학습주기를 활용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 인식,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379-403, 2015

      4 노은호, "통합적 유아 조리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보육학회 4 (4): 85-107, 2004

      5 김순식, "탐색을 강조한 순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9 (9): 54-64, 2016

      6 채인숙, "탁아기관 유아와 교사를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7 이정숙,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 49 (49): 378-394, 2016

      8 윤영주, "초등학생의 인체에 관한 선개념 유형별 5E 순환학습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위성백,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순환학습 모형의 적용이 과학 개념과 탐구능력 및 흥미. 태도에 미치는 영향" 16 (16): 11-24, 1997

      10 유윤영, "지식구성의 특정 영역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생물이론 발달에 대한 논의" 한국보육학회 11 (11): 173-196, 2011

      1 임춘금, "학습주기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행동 유형 연구" 한국보육학회 3 (3): 127-140, 2003

      2 황윤세,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요리활동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의 차이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7) : 245-271, 2011

      3 김정미, "학습주기를 활용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 인식,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379-403, 2015

      4 노은호, "통합적 유아 조리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보육학회 4 (4): 85-107, 2004

      5 김순식, "탐색을 강조한 순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9 (9): 54-64, 2016

      6 채인숙, "탁아기관 유아와 교사를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7 이정숙,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 49 (49): 378-394, 2016

      8 윤영주, "초등학생의 인체에 관한 선개념 유형별 5E 순환학습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위성백,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순환학습 모형의 적용이 과학 개념과 탐구능력 및 흥미. 태도에 미치는 영향" 16 (16): 11-24, 1997

      10 유윤영, "지식구성의 특정 영역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생물이론 발달에 대한 논의" 한국보육학회 11 (11): 173-196, 2011

      11 홍혜인, "중학교 2학년 「전기」단원에서 순환학습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김경아, "일상생활의 대화에서 나타난 아동의 생물지식 발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57-82, 2007

      13 장진숙, "인천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행동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 김길숙, "유치원·어린이집에서의 영양·식생활 교육과 신체활동 현환 및 문제점" 2016

      15 김선영, "유아의 연령과 성별 및 비만도에 따른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7 (7): 73-89, 2007

      16 조유나, "유아의 식습관이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137-156, 2010

      17 박금희, "유아요리활동을 통한 영양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 (1): 127-145, 2001

      18 엄정애, "유아교사의 유아 영양에 대한 태도 및 영양지식의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5-21, 2004

      19 권영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5

      20 최인숙,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00

      21 노은호, "유아 편식지도를 위한 통합적 요리프로그램 개발" 한국보육학회 7 (7): 81-93, 2007

      22 조홍자,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23 류희자, "요리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정은실,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개념 및 영양지식개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5 홍연홍,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한 유아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영양지식과 식태도 및 식행동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26 정연희, "요리활동에서의 과학적 탐구를 통한유아의 이해구축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181-200, 2006

      27 최용득, "영유아의 건강과 영양" 파란마음 2010

      28 김진희, "아동의 과체중⋅비만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집단따돌림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40) : 201-228, 2012

      29 김일옥, "아동영양학" 공동체 2011

      30 김상희, "아동영양학" 파워북 2013

      31 권영주, "실천 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녹색식생활 교육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2 최재숭, "순환학습 모형이 과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3 김미지, "소화에 대한 중학생 성취도에 미치는 순환 학습과 전통적 설명식 학습의 효과 비교"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34 강형숙, "소아비만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체육학회 41 (41): 899-916, 2002

      35 이경민,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21 (21): 261-284, 2001

      36 하지영, "보육교사의 영양지식, 급식태도와 급식지도 행동과의 관계 -급식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4 (14): 71-85, 2014

      37 홍미애,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부모의 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593-602, 2010

      38 이신숙, "구성주의에 기초한 요리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9 유경숙,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태도의 차이분석" 4 (4): 175-197, 2000

      40 박고운, "구성주의 접근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2 (32): 141-156, 2011

      41 이현정,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전통식문화교육 과정 안 개발 :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2 김주나, "구성주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43 조희형, "과학 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과학사 2014

      44 박진성, "가정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유아교육기관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5 김정원,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의 기초과학개념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39-53, 2006

      46 Marek, E. A., "The learning cycle :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beyond" Heinemann 1997

      47 Banet, E, "Teaching and learning about human nutrition: A constructivist approach" 19 (19): 1169-1194, 1997

      48 Karplus, R.,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14 (14): 169-175, 1977

      49 Faith, M. S., "Parent‐child feed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child eating and weight status" 12 (12): 1711-1722, 2004

      50 Llewellyn, D., "Inquire within" Corwin Press 2013

      51 Clark, H. R., "How do parents' child-feeding behaviours influence child weight?" 29 (29): 132-141, 2007

      52 Cason, K. L., "Evaluation of a Pre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33 (33): 161-164, 2001

      53 Martin, D. J., "Elementary science methods : A constructivist approach" Delmar 1996

      54 Gallenstein, N. L., "Crea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cepts i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2003

      55 Lawson, A. E., "A theory of instruction: Using the learning cycle to teach science concepts and thinking skills. NARST Monograph, Number One" ERIC 1989

      56 Lawatsch, D. E., "A comparison of two teaching strategies on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food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22 (22): 117-123, 1990

      57 동효관, "5E 순환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탐구 능력 및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567-575, 2010

      58 이미영, "5E 순환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식물의 영양' 단원 수업 모듈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3

      60 이연정, "16차시 식생활 교육이 중학생의 식행동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826-836, 2014

      61 김승희,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활용한)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