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이 지각한 주양육자와의 의사소통특성이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erceived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Caregivers on Self-accepta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feriority as a Medi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self-acceptance for adolescents’ emotion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erio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self-acceptance for adolescents’ emotion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erio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adolescent-caregiver communication and self-acceptance. Three hundred-seventeen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measure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Min, 1991), the Inferiority Scale (Kim, 1995), and the Self-Acceptance Scale (Park, 1986).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using IBM SPSS 22.0 and Amos 22.0. The mediation effect was tested by Sobel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dolescents’ perceived level of adap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aregiv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their self-acceptance as well 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inferior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dolescents’ perceived level of adap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aregivers was, the lower their inferiority was, and in turn, the higher the adolescents’ inferiority was, the lower their self-acceptance was.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and family relational factors and the pathways that affect self-accepta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therapeutic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decrease inferiority and promote the self-acceptance of adolescents as well as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adolescent-caregiver commun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 자기수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고등학생...

      최근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 자기수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고등학생이 지각한 주양육자와의 의사소통특성과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시 강북구와 노원구, 경기도 여주시와 의정부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세 곳과 특성화 고등학교 한 곳에서 1학년에서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척도(민하영, 1991), 열등감 척도(김응만, 1995), 자기수용도 검사(박종권, 1986)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 자녀가 지각한 주양육자와의 의사소통특성은 자기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열등감을 통해 부분매개되었다. 즉 주양육자와의 의사소통이 적응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열등감이 낮았고, 열등감이 낮을수록 자기수용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자기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적 그리고 개인의 심리내적 변인과 경로를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열등감을 낮추고, 자기수용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치료적 개입방안의 개발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실천적 함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림, "현실치료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자기수용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안승순, "한부모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열등감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4

      3 김윤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트레스와 정서경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지현,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0 (10): 75-85, 2007

      5 윤성은, "청소년의 성격강점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김사라형선,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3 (33): 119-130, 2012

      7 文炳女, "청소년기 열등감과 신체상(Body Image)과의 관계" 浸禮神學大學校 大學院 1997

      8 구희정,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95-314, 2013

      9 전병철,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자기수용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양윤일,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이선림, "현실치료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자기수용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안승순, "한부모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열등감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4

      3 김윤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트레스와 정서경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지현,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0 (10): 75-85, 2007

      5 윤성은, "청소년의 성격강점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김사라형선,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3 (33): 119-130, 2012

      7 文炳女, "청소년기 열등감과 신체상(Body Image)과의 관계" 浸禮神學大學校 大學院 1997

      8 구희정,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95-314, 2013

      9 전병철,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자기수용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양윤일,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송경아,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12 이성준, "자기연민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219-238, 2013

      13 임전옥,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59-184, 2012

      14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표"

      15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표"

      16 Hauck. P., "왜 나는 계속 남과 비교하는 걸까" 소울메이트 1991

      17 김응만, "열등감 해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열등감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忠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8 차명숙,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수용 및 타인수용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차은경,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학 이론에 기초한 아동의 열등감과 부모양육의 상관성 연구 : 상담학적인 관점에서" 한일장신대학교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2012

      20 김성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적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1 문민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수용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2 정성연, "아동의 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1-24, 2013

      23 황종건, "소집단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자아수용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4 이기은, "성인애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191-204, 2009

      25 Satir, V., "사티어 모델: 가족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00

      26 박보현, "부부갈등과 아동의 수치심의 관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조절변인인가 매개변인인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6 (6): 55-76, 2017

      27 신미지, "부모의 거절과 통제행동 및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 (2): 89-109, 2013

      28 장연식,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5 (5): 219-236, 2016

      29 노정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0 이영숙,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7 (7): 133-159, 2002

      31 김양숙,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32 권정연,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및 정서상태와 청소년 문제행동간의 관계 연구" 18 : 20-39, 2005

      33 박희숙,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수준과 정서적 자율성이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89-110, 2007

      34 이자영, "문화차에 의해 발생한 심리검사 문항의 번역오류: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8번 문항의 수정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0 (10): 1345-1358, 2009

      35 김화연, "문화성향과 자기수용 간의 관계 : 내적단서비중과 사회비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36 추미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7-43, 2014

      37 김사라형선, "무조건적 자기수용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61-170, 2005

      38 유성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대인관계 친밀감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39 김금미, "대학생의 행복과 자아수용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863-883, 2010

      40 황경옥, "대학생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과 대인관계성향" 22 : 135-156, 2001

      41 임광숙,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기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3

      42 김지윤,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43 김명소,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83-97, 2003

      44 이옥순, "단기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남자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5 閔河榮, "靑少年 非行 程度와 父母-子女間 意思疏通, 家族의 凝集 및 適應과의 關係"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46 昔鉉洋, "家庭의 意思傳達形態가 靑少年의 自我槪念形成에 미치는 影響"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47 申晩澈, "兒童期의 劣等感水準과 對人關係性向과의 關係"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3

      48 朴鍾權, "中學生의 自我受容程度와 他人受容程度에 따른 學業成績에 관한 硏究"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49 Chamberlain, J. M., "Un 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health" 19 : 163-176, 2001

      50 설기문, "Shostrom의 자아실현 상담 모형" 16 : 89-114, 1987

      51 Shrauger, J. S., "Self-evaluation and reactions to evaluations from others" 43 : 94-108, 1975

      52 Macinnes, D. L., "Self-esteem and self-acceptance and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13 : 483-489, 2006

      53 Schlenker, B. R., "Self-esteem and group performance as determinants of egocentric perception in cooperative groups" 29 : 1163-1176, 1976

      54 Crowne, D. P., "Self-acceptance and self-evaluative behavior : A critique of methodology" 58 (58): 104-121, 1961

      55 Shiffler, 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lassroom behavior in two informal elementary classrooms" 69 : 349-359, 1977

      56 Baumeister, R. F.,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103 : 5-33, 1996

      57 Kline, E. C.,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58 Klimes, D. B.,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in adolescence : Differences in sex, age and problem status" 16 : 326-342, 2007

      59 Gratz, K. L.,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26 (26): 41-54, 2004

      60 Carson, S. H., "Mindfulness and self-acceptance" 24 (24): 29-43, 2006

      61 Hayes, S. C., "Mindfulness and acceptance" Guilford Press 1-29, 2004

      62 Smith, S., "Message framing and persuasion; A message processing analysis" 22 : 257-268, 1996

      63 Barnes, H. L., "Family inventories: Inventories used i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cross the family life-cyc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3-48, 1982

      64 Stocker, C. M., "Family emotional processes and adolescents’ adjustment" 16 : 310-325, 2007

      65 Kennedy-Moore, E., "Expression emotion: Myths, realities, and therapeutic strategies" The Guilford Press 1999

      66 Rogers, C. 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Houghton Mifflin 1942

      67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68 Phillips, E. L., "Attitudes toward self and others : A brief questionnaire report" 15 (15): 79-81, 1951

      69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1 : 230-258, 1992

      70 Hayes, S. 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The Guilford Press 1999

      71 Hayes, S. C.,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Context Press 13-32,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