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infants’play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30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영아에게 적합한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와 사회정서 발달 지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영아에게 적합한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와 사회정서 발달 지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K시의 두 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3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사전검사 후, 실험처치를 하고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영아에게는 주 1회씩 10주 동안 그림책을 읽어주고 그와 관련된 극놀이 활동을 전개하였고,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에 준한 그림책이 제시되고 영아들이 원할 때 읽어주었다. 사전, 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영아의 놀이성과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영아의 놀이성과 정서조절에 효과가 있으며, 보육현장에서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가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on the play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by using picture books appropriate for infants. For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on the play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by using picture books appropriate for infants. For this purpose, 30 infants of 2-yearolds in two child care center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on infants’play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ildren read the picture book once a week for 10 weeks, and dramatic play activities related to them were carried out. The control group presented the picture books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and read them when the child wanted. The results showed that role pla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positively affected infants’play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play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and are worthy to use for infants’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춘금,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93-117, 2006

      2 정말임,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김지영, "주제별 부모교육자료" 아이코리아 2002

      4 이현경,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안세희, "인성관련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6 유애열,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7 박주희, "유아의 놀이성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7 (7): 55-72, 2007

      8 조은옥,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성향과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유인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이숙재,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7

      1 임춘금,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93-117, 2006

      2 정말임,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김지영, "주제별 부모교육자료" 아이코리아 2002

      4 이현경,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안세희, "인성관련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6 유애열,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7 박주희, "유아의 놀이성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7 (7): 55-72, 2007

      8 조은옥,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성향과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유인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이숙재,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7

      11 이하나, "움직임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활용 극놀이가 유아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정서지능 및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2 엄정애, "영유아놀이와 교육" 교문사 2009

      13 이지민,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 월령과 성별에 따른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권정윤,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27-444, 2012

      15 김주영,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 측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6 Wittmer, D. S., "영아 발달과 반응적 교육: 관계중심 접근법.[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학지사 2011

      17 남인우, "연극놀이, In 유아교육과 연극의 창조적 만남" 4-32, 2006

      18 조해연,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9 金映希, "아동의 놀이성 군(群)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0 송채봉,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배진희,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영아의 사회·정서행동간의 관계 :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3

      22 이정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윤상인,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24 윤소정, "만2세 영아의 조기양육경험에 따른 정서 조절의 차이"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5 송혜진, "만 2세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및 놀이성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나양균, "만 1세 영아의 기질과 사회·정서 능력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4) : 19-36, 2006

      27 전귀옥, "동극 활동이 유아의 감성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8 Dorothy, J. S., "놀이의 이해와 지도: 출생에서부터 8세까지.[Supporting play : birth through age eight]" 박학사 2006

      29 이영자,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정서지능, 마음이론향상 프로그램" 창지사 2008

      30 송순임,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창의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1 김민정,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정윤경,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 역할놀이영역에서의 소집단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3 이은실,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4 정경희, "그림책을 활용한 극 놀이 활동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5 조미숙,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이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6 오민정,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토의활동과 역할놀이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7 홍현수, "그림책을 통한 극 놀이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8 오정화, "그림책에 기초한 주제환상극 놀이가 만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9 Perry, B. D., "The importance of pleasure in play" 15 (15): 24-25, 2001

      40 Moen, C. B., "Teaching with Caldecott books: Activities across the curriculum" Scholastic Inc 1991

      41 Barnett, L. A, "Characterizing playfulness : Correlates with individual attributes and personality trait" 4 : 371-393, 1991

      42 김호인,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for Infants and Children ->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