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탄력성 및 희망,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Academic Resilience Hope, and Connected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2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hope and connectedness of adolescents and increase their academic resilience and test its effec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et hope and connectedness as additional fact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and developed a model for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promote academic resilience. The model was then used to develop a 12-ses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ncrease hope, connectedness, and academic resilie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dministered to 21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to test its effect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the pre-scores between the groups for analysis. The research effects were tested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show that the developed program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academic resilience hope, and connected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hope and connectedness of adolescents and increase their academic resilience and test its effec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et hope and connectedness a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hope and connectedness of adolescents and increase their academic resilience and test its effec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et hope and connectedness as additional fact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and developed a model for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promote academic resilience. The model was then used to develop a 12-ses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ncrease hope, connectedness, and academic resilie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dministered to 21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to test its effect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the pre-scores between the groups for analysis. The research effects were tested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show that the developed program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academic resilience hope, and connected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희망과 유대감을 향상시켜 학업탄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희망과 유대감을 추가요인으로 설정하고, 학업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 입각하여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12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G시의 중학생 21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집단 간의 사전점수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효과검증은 반복측정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중학생의 학업탄력성 및 희망, 유대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희망과 유대감을 향상시켜 학업탄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조사와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희망과 유대감을 향상시켜 학업탄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희망과 유대감을 추가요인으로 설정하고, 학업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 입각하여 학업탄력성, 희망, 유대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12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G시의 중학생 21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집단 간의 사전점수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효과검증은 반복측정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중학생의 학업탄력성 및 희망, 유대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문규,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505-522, 2011

      2 안계선,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2012

      3 장은영, "희망이 성취동기,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2004

      4 강명희,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281-302, 2012

      5 최현정, "희망과 성취목표가 진로포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2006

      6 김택호,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04

      7 허성돈, "현실요법을 적용한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20 : 69-87, 2010

      8 윤성민,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 효과 : 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의 비교" 아주대학교 2011

      9 유금란, "한국판 청소년 유대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91-212, 2010

      10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1 박문규,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505-522, 2011

      2 안계선,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2012

      3 장은영, "희망이 성취동기,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2004

      4 강명희,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281-302, 2012

      5 최현정, "희망과 성취목표가 진로포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2006

      6 김택호,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04

      7 허성돈, "현실요법을 적용한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20 : 69-87, 2010

      8 윤성민,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 효과 : 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의 비교" 아주대학교 2011

      9 유금란, "한국판 청소년 유대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91-212, 2010

      10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11 김갑숙,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집단미술치료사례연구" 6 (6): 167-188, 1999

      12 황은일, "청소년의 희망, 유대감 증진을 통한 학업탄력성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13 이해리,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 : 유연성의 역할" 한양대학교 2007

      14 오현경,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2013

      15 오현경, "청소년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47-63, 2012

      16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 프로그램개발및 평가론" 교육과학사 2005

      17 남현우,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저속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 6 (6): 57-72, 1999

      18 송정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정주경, "집단미술치료가 여고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2007

      20 정주경, "집단 미술치료가 여고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독교육학회 13 (13): 219-236, 2008

      21 김동원,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08

      22 김선아 & Harachi, "아동의 부모유대감, 학교유대감, 긍정적 가치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구조방정식을 통한 문제 부모자녀와 일반 부모자녀 비교" 8 : 158-191, 2002

      23 박희석, "심리극이 교정시설 재소자의 자존감과 희망감에 미치는 효과" 5 : 103-120, 2005

      24 이용희, "심리극 주인공 경험이 자기개념, 희망감 및 치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 내용의 질적 분석" 전북대학교 2006

      25 강이영, "상담과정 희망척도의 개발과 적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26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1

      27 박선영,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 :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와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2013

      28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2000

      29 정철상, "고3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8, 2011

      30 김동연, "결손가정 아동의 자긍심 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4 (4): 1-24, 1997

      31 朴炫宣, "貧困靑少年의 學校 適應柔軟性" 서울대학교 1998

      32 Block. J. H.,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13 : 39-101, 1980

      33 Emmons, R. A., "The psychology of ultimate concerns: Motivation and spiritually in personality" Guilford Press 1999

      34 Gutman, L. M.,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frican American students during early adolescence : An examination of multiple risk, promotive, and protective factors" 30 : 367-399, 2002

      35 Karcher, M. J., "The Hemingway-Measure of adolescent connectedness: A manual for scoring and interpretation"

      36 DuBois, B. L., "Social Work An Empowering Profession" Allyn and Bacon 1996

      37 Curry, L. A., "Role of hope in academic and sport achievement" 73 (73): 1257-1267, 1997

      38 Henderson, N., "Resiliency in schools: Making it happen for students and educators" Corwin Press 1996

      39 Gonzalez, R., "Protect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resilience of students living in poverty in Turkey" 13 : 38-49, 1997

      40 Gizir, C. A., "Protect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resilience of students living in poverty in Turkey" 13 : 38-49, 2009

      41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2 Martin, A. J., "Motiv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 Developing a model for student enhancement" 46 (46): 34-49, 2002

      43 Lawshe, C. H., "Inferences from personnel tests and their validity" 70 (70): 237-238, 1985

      44 Barnum, D. D., "Hope and social support i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who have survived burn injuries and their matched controls" 27 : 15-30, 1998

      45 Snyder, C. R., "Hope and health: Measuring the will and the ways" Pergaman 1991

      46 Curry, L., "Handbook of hope: Theory, measures, and applications" Academic 243-260, 2000

      47 Snyder, C. R., "Dr Seuss, the coping machine, and “Oh, the places you will go”"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8 Kuklinski, M. R., "Classroom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a Path Model of Teacher Expectancy Effects" 72 (72): 1554-1578, 2001

      49 Ellis, W. T., "Against the odds: Academic resilience among high-ability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living in rural poverty" Stanford University 2010

      50 Martin, A. J., "Academic resilience and its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correlates : A construct validity approach" 43 : 267-282, 2006

      51 Alva, S. A., "Academic invulnerability among Mexican-American students : the importance of protective resources and appraisals" 13 : 18-34, 1991

      52 Martin, A. J., "Academic buoyancy : Toward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everyday academic resilience" 46 (46): 53-83,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