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35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 표집한 9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6세 유아 574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자기조절에 대한 성별차이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행동억제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더십에 대한 성별차이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몰입의 리더십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유아를 대상으로 자기조절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주도성과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은 자기평가이었다.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은 행동억제, 자기평가이었고,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서성이었다. 넷째, 남아의 경우, 유아의 주도성과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자기평가, 몰입에는 자기결정, 행동억제이었다. 다섯째, 여아의 경우, 주도성과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자기평가, 마지막으로 민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행동억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리더십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관련변인을 탐색하는 경험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 표집한 9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6세 ...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 표집한 9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6세 유아 574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자기조절에 대한 성별차이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행동억제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더십에 대한 성별차이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몰입의 리더십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유아를 대상으로 자기조절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주도성과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은 자기평가이었다.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은 행동억제, 자기평가이었고,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서성이었다. 넷째, 남아의 경우, 유아의 주도성과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자기평가, 몰입에는 자기결정, 행동억제이었다. 다섯째, 여아의 경우, 주도성과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자기평가, 마지막으로 민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행동억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리더십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관련변인을 탐색하는 경험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investigate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also examine if gender is different what kind of aspect could appear from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74 children who are at the age of 4 to 6 from 9 children's houses. The item of frequence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ze subjects of general quality. We conducted T-test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chose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Fir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we found that female groups show higher restraint of a behavior than male groups. Secondly, we also found that female groups have higher leadership, sociability, sensitiveness and immersion than male group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found that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from all groups. we found that sensitiveness is affected by self-estimation and restraint of a behavior from all groups. we also found that children's emotionalism influences on their immersion from all groups.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le groups,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but immersion is affected by both self-determination and restraint of a behavior.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emale groups,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but sensitiveness is only affected by restraint of a behavi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investigate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also examine if gender is different what kind of aspect coul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investigate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also examine if gender is different what kind of aspect could appear from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74 children who are at the age of 4 to 6 from 9 children's houses. The item of frequence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ze subjects of general quality. We conducted T-test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chose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Fir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we found that female groups show higher restraint of a behavior than male groups. Secondly, we also found that female groups have higher leadership, sociability, sensitiveness and immersion than male group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found that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from all groups. we found that sensitiveness is affected by self-estimation and restraint of a behavior from all groups. we also found that children's emotionalism influences on their immersion from all groups.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le groups,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but immersion is affected by both self-determination and restraint of a behavior.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emale groups,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but sensitiveness is only affected by restraint of a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성가족부, "학령별 인터넷 중독 및 이용 현황 자료"

      2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69-90, 2003

      3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승옥,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77-391, 2009

      5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6 김현주,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박호선,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행동발달간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2

      8 이은진, "유아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명숙,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1 여성가족부, "학령별 인터넷 중독 및 이용 현황 자료"

      2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69-90, 2003

      3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승옥,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77-391, 2009

      5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6 김현주,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박호선,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행동발달간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2

      8 이은진, "유아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명숙,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11 이일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12 권수정,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13 강기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22 (22): 115-132, 2001

      14 한유진,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 42 (42): 65-77, 2004

      15 노현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281-292, 2009

      16 임은경,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 친사회적 능력 및 리더십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17 한유진,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16, 2006

      18 이은주,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19 배문주,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0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5

      21 이명숙, "또래관계에서의 유아 리더십 양상과성 및 인기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85-106, 2006

      22 김복희, "농촌지역유아의 공동체리더십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6

      23 박성연,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24 이채호,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3-37, 2008

      25 Kopp, C. B., "The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18 (18): 109-214, 1982

      26 Brownell, C., "Socialization of Self-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1997

      27 Bronson, M. 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The Guilford Press 2000

      28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47 (47): 1020-1029, 1979

      29 Mitchell, A., "Reflections on early chil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Naeyc 85-96, 1977

      30 Perry, N. E., "Promoting nonviolent behavior in children" 16 : 26-29, 2001

      31 Cassidy, J.,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63 : 603-618, 1992

      32 Gralinski, J. H, "Every rules for behavior mother's requests to young children" 29 (29): 573-584, 1993

      33 Eisenberg, N., "Contemporaneous and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from regulation and emotionality" 68 (68): 642-664, 1997

      34 양옥승,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61-18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