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이중문화수용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변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88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 이중문화 수용성 및 자아 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이중문화 수용성은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년도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초기값이 높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언어능력의 초기값이 낮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문화 수용성의 경우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보여준 것을 통하여 연령과 발달의 차이보다는 환경의 차이가 이중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언어 능력과 이중 문화 수용성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 모두가 자아 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의 변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에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 이중문화 수용성 및 자아 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이중문화 수용성은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년도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초기값이 높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언어능력의 초기값이 낮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문화 수용성의 경우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보여준 것을 통하여 연령과 발달의 차이보다는 환경의 차이가 이중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언어 능력과 이중 문화 수용성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 모두가 자아 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의 변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에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ilience changed over time, and further how language and bicultural acceptance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5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with time while bicultural acceptance levels did not show consistent variation and increased and decreased over time. Language proficiency showed time-wise significant increase.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proficiency were high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low proficiency increased relatively more steeply. In the case of b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 showed inconsistent changes over time, which implies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acceptance rather than age or individual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fore, the two variables’ effect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 It is th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ar and policy that may help in resilience build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ilience changed over time, and further how language and bicultural acceptance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5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with time while bicultural acceptance levels did not show consistent variation and increased and decreased over time. Language proficiency showed time-wise significant increase.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proficiency were high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low proficiency increased relatively more steeply. In the case of b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 showed inconsistent changes over time, which implies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acceptance rather than age or individual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fore, the two variables’ effect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 It is th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ar and policy that may help in resilience build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이론적 배경
      • Ⅳ. 연구결과
      • 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이론적 배경
      • Ⅳ. 연구결과
      • 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2 조민경, "한국 다문화사회에 있어서 이주민의 이중문화 정체성과 사회문화적응의 관계" 대한정치학회 18 (18): 263-289, 2010

      3 박주희,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21, 2008

      4 노은숙,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통제소재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최지영,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9-411, 2015

      6 허지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 및 촉진적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7 금혜령,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미영,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관계: 한국과 뉴질랜드 청소년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39-458, 2017

      9 권재환,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능력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모형 검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4) : 7-32, 2015

      10 박애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2 (12): 93-106, 2017

      1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2 조민경, "한국 다문화사회에 있어서 이주민의 이중문화 정체성과 사회문화적응의 관계" 대한정치학회 18 (18): 263-289, 2010

      3 박주희,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21, 2008

      4 노은숙,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통제소재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최지영,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9-411, 2015

      6 허지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 및 촉진적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7 금혜령,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미영,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관계: 한국과 뉴질랜드 청소년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39-458, 2017

      9 권재환,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능력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모형 검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4) : 7-32, 2015

      10 박애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2 (12): 93-106, 2017

      11 정석원,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12 정지영,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37-51, 2011

      13 김지혜, "청소년 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봉사활동 시간과 주관적 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41-62, 2012

      14 허원석,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31-43, 2013

      15 이지영, "중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6 이채식, "중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결정요인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121-140, 2012

      17 김승권,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8 고민숙, "자아탄력성, 의사결정 유형 및 성패귀인 유형과의 관계 : 애착 유형과 생활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9 구자은,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20 노충래,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2) : 127-160, 2006

      21 高恩貞,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22 김미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3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제4판" 다산출판사 2012

      24 임양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교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47-167, 2013

      25 설은정,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91-114, 2012

      26 김길자,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7 허청아,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8 장임숙, "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이주인권 정책에 대한 태도"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77-199, 2012

      29 정명희, "대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81-105, 2014

      30 강혜정,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35-57, 2012

      31 박혜숙,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 타당화" 교육과학연구소 44 (44): 219-248, 2013

      32 이강모, "다문화수용성의 결정요인 연구 : 다문화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4

      33 김영란,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한국사회연구소 14 (14): 3-30, 2013

      34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35 박순희,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과 사회적응" 한국아동복지학회 (29) : 125-154, 2009

      36 김승경,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중언어요인, 이중문화요인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47-176, 2012

      37 윤아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8 한혜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9 신윤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 또래관계 및 이중문화수용 간의 관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1-14, 2010

      40 이효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연구 - 초등학교 1, 2, 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2) : 471-494, 2012

      41 곽금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1-26, 2008

      42 이은정,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척도 개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3 최희선, "다문화 접촉 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4 홍종명,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결혼이민자 모국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6 (16): 279-302, 2012

      45 우영경, "다문화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능력이 적응유연성 및 문화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63-81, 2016

      46 오경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83-97, 2011

      47 황상심,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81-102, 2008

      48 안은미,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9 백승대, "국민정체성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치학회 21 (21): 1-24, 2013

      50 최만식, "교원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51 노연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59-183, 2012

      52 Murphy, L. B., "Vulnerability, coping and growth from infancy to adolesc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6

      53 Vedder, P., "Swedish primary school pupils’ inter-ethnic relationships" 40 : 221-228, 1999

      54 Ann S. Masten,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56 : 227-238, 2001

      55 Von Grunigen, R., "Immigrant children’s peer acceptance and victimization in kindergarten : The role of local language competence" 28 : 679-697, 2010

      56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e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 349-362, 1996

      57 Wallerstein, J. S., "Effects of divorce on the visiting father-child relationship" 137 (137): 1534-1539, 1980

      58 Hainmueller, J., "Educated Preferences; Explaining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Europe" 61 (61): 399-499, 2007

      59 Valentine, C. A., "Deficit, difference, and bicultural models of Afro-American behavior" 41 : 137-157, 1971

      60 Klohnen, E. 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70 (70): 67-1079, 1996

      61 Benet-Martinez, V., "Bicultural identity integration : Components and psychological antecedents" 73 (73): 1015-1049, 2005

      62 de Anda, Diane, "Bicultural Socialization : Factors affecting the minority experience" 29 (29): 101-107,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
      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3.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84 3.58 4.96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