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직문화가 민간경비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Empowerment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0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민간경비의 조직문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민간경비원이 인지한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민간경비 조직의 바람직한 조직문화 및 민간경비원의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직 유형화 이론을 활용하여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추출하였으며, 특히 경쟁가치모형을 한국 민간경비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조사는 서울, 인천·경기지역 민간경비원들을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248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고, 결과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민간경비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유형은 집단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적 요인들을 통제했을 때 집단문화와 발전문화, 그리고 위계문화와 합리문화를 추가하여 회귀시킨 것이 전체 모델 중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인 41.1%를 나타냈고, 집단문화는 β값이 .370으로 전체 임파워먼트의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합리문화가 β값이 .124로 두 번째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집단문화를 민간경비 조직에서 강화시킬 필요성을 도출하였고, 향후 민간경비 조직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민간경비의 조직문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민간경비원이 인지한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민간경비 조직의 바람...

      이 연구는 민간경비의 조직문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민간경비원이 인지한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민간경비 조직의 바람직한 조직문화 및 민간경비원의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직 유형화 이론을 활용하여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추출하였으며, 특히 경쟁가치모형을 한국 민간경비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조사는 서울, 인천·경기지역 민간경비원들을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248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고, 결과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민간경비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유형은 집단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적 요인들을 통제했을 때 집단문화와 발전문화, 그리고 위계문화와 합리문화를 추가하여 회귀시킨 것이 전체 모델 중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인 41.1%를 나타냈고, 집단문화는 β값이 .370으로 전체 임파워먼트의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합리문화가 β값이 .124로 두 번째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집단문화를 민간경비 조직에서 강화시킬 필요성을 도출하였고, 향후 민간경비 조직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actically how group culture which is acknowledg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influences on their empowerment.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find contributing ways to promote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of Private Security Guards and Private Security Guards empowerment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I took advantage of the organizational classification theory and got the variable influencing on the empowerment. Especially, I surveyed the competing values approach revised according to the Korean Private Security Guards. I surveyed 300 people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nd among them, 248 questionnaire were used. I prov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 and survey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or analyz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are in the order of group, hierarchical, developmental and rational culture. Also when general factors are controlled, the regression model of the added group, hierarchical, developmental and rational culture is the highest as 41%. And I got the result that group culture is the highest factor influencing on empowerment and the secondary factor is ra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nforce the aspects of group cultu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than the other ones. On the basis of above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ed some necessary ideas on managing and administrating the Private Security Guards effectivel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actically how group culture which is acknowledg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influences on their empowerment.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find contributing ways to promote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of Privat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actically how group culture which is acknowledg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influences on their empowerment.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find contributing ways to promote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of Private Security Guards and Private Security Guards empowerment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I took advantage of the organizational classification theory and got the variable influencing on the empowerment. Especially, I surveyed the competing values approach revised according to the Korean Private Security Guards. I surveyed 300 people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nd among them, 248 questionnaire were used. I prov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 and survey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or analyz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are in the order of group, hierarchical, developmental and rational culture. Also when general factors are controlled, the regression model of the added group, hierarchical, developmental and rational culture is the highest as 41%. And I got the result that group culture is the highest factor influencing on empowerment and the secondary factor is ra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nforce the aspects of group cultu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than the other ones. On the basis of above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ed some necessary ideas on managing and administrating the Private Security Guards effectively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채숙,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효준,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 (29) : 59-86, 2011

      3 하성호, "조직문화유형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정성 및 조직신뢰의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건설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6 (6): 115-151, 2009

      4 김막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비교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종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 99-126, 2006

      6 朴善兒, "조직문화, 리더쉽, 직무특성이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7 정혜원,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이 인지한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평수, "시큐리티 종사자의 조직학습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9 김의영,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28) : 7-31, 2011

      10 박영준,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유효성과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67-97, 2006

      1 임채숙,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효준,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 (29) : 59-86, 2011

      3 하성호, "조직문화유형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정성 및 조직신뢰의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건설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6 (6): 115-151, 2009

      4 김막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비교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종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 99-126, 2006

      6 朴善兒, "조직문화, 리더쉽, 직무특성이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7 정혜원,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이 인지한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평수, "시큐리티 종사자의 조직학습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9 김의영,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28) : 7-31, 2011

      10 박영준,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유효성과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67-97, 2006

      11 김영준, "상업스포츠 조직 구성원의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1 (41): 399-410, 2002

      12 김영춘,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3 황성철, "사회복지관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5 (5): 113-136, 2003

      14 이용주,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2

      15 김찬선, "민간경비원의 팔로워십이 조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75-385, 2010

      16 김학범, "민간경비원의 치안역량강화를 위한 임파워먼트 향상방안 -임파워먼트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45-76, 2012

      17 박주상,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과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8) : 81-98, 2011

      18 정남주, "민간경비업체 조직구성원의 조직 환경, 조직 문화가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29) : 251-278, 2011

      19 김창호, "민간경비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 (14) : 125-140, 2007

      20 심재훈, "물리치료사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21 김학범, "교정 조직문화와 교정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6 (6): 153-190, 2012

      22 장석헌, "경찰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41-64, 2007

      23 Ouchi, W. G., "Theory Z Reading" Addison Wesly 1981

      24 Spreitzer, G. M.,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38 (38): 1442-1465, 1995

      25 Kimderly, J. P.,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In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Irwin 1984

      26 Pettigrew, A. M.,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 24 : 570-581, 1979

      27 Vogt, J. F., "Empowerment in Organization : How to Spark Exceptional Performance. San Die, In Empowerment in Organization: How to Spark Exceptional Performance" University Associates, Inc 1990

      28 Thomas, K. W.,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15 : 666-681,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6 0.5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