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 여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43340
2014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95-118(2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 여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
본 연구는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 여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25명을 대상으로 8차시에 걸쳐 개발된 학습자료를 적용하였다. 사전·사후 검 사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분 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관찰·기록과 면담 및 포트폴리오 수집을 통해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에서 식물 가꾸기와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식물 가 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학습 자료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 형성에 긍정적 효과 가 있었다. 셋째,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학습 자료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학습 몰입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 었다. 넷째,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학습자료를 통한 주제통합 환경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식물에 대한 관 심을 많이 보였으며, 이러한 관심이 학생들에게 환경의 보전에 대한 태도 및 실천의지의 향상과 연계되어 나타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이 끝난후 숙제나 공부할 때 집중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을 정성적 자료 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합 환경학습 자료는 초등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학습 몰입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방법이라 할 수 있으므로 식물 가꾸기 를 비롯한 자연을 활용한 체험활동은 초등학 교에서 환경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실에서의 식물 가꾸기를 활용한 주제통 합 환경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 형성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학업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학 습몰입 향상을 통해 초등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학업 관련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 와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자료 개선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 및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ve environmental learning through plant culturing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of 5th gra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 revised questionna...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ve environmental learning through plant culturing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of 5th gra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 revised questionnaire through the Lee(2010)’ test tool on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the Suk & Kang(2007)’ test tool on learning flow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applying an integrative environmental learning material utilizing plant culturing.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integrative environmental learning through the plant culturing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the plant culturing from the environment-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 of 5th graders. Second, this learning material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showed their interest in the plant, which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improvement of attitude to practice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willingne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could be improved to focus on their homework and study by this learning. In conclusion, the integrative environmental learning material using plant culturing has a positive effects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Therefore, the activities for utilizing nature containing plant culturing can be a good plan of the environment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o, it is demanded that the more integrative research on this study should be done,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follow-up activ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정, "환경친화적 주생활 교육을 위한 쟁점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45-64, 2009
2 손화은, "환경 교육에 기반한 초등 실과 식물 가꾸기 활동이 아동의 환경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17-134, 2010
3 석임복, "학습몰입구조 : 척도, 성격, 조건, 관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나현, "학습몰입검사의 제작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최경란, "학교 환경을 이용한 식물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서정남, "푸른 학교 가꾸기" 부민문화사 2003
7 이지형, "통합적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제복, "통합교육과정" 교유과학사 2001
9 이윤주, "초등학생의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몰입의 특성" 교육연구소 14 (14): 243-273, 2013
1 박희정, "환경친화적 주생활 교육을 위한 쟁점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45-64, 2009
2 손화은, "환경 교육에 기반한 초등 실과 식물 가꾸기 활동이 아동의 환경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17-134, 2010
3 석임복, "학습몰입구조 : 척도, 성격, 조건, 관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나현, "학습몰입검사의 제작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최경란, "학교 환경을 이용한 식물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서정남, "푸른 학교 가꾸기" 부민문화사 2003
7 이지형, "통합적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제복, "통합교육과정" 교유과학사 2001
9 이윤주, "초등학생의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몰입의 특성" 교육연구소 14 (14): 243-273, 2013
10 박종욱, "초등학생의 학습몰입과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김태현, "초등학생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조경 계획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12 김인호,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13 (13): 122-132, 2000
13 김재호,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식물교육 내용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3-43, 2007
14 류청산, "초등학교 식물 환경과 학생들의 인성의 관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9 (9): 1-14, 2003
15 손장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교육의 문제점"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31-246, 2012
16 김성학, "초등원예 주제 중심의 통합 환경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곽혜란, "초등 원예교육 도입을 위한 미국 Texas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프로그램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5 (15): 135-147, 2012
18 정하나, "책임윤리학에 기초한 지구온난화 관련 초등 환경교육 교재 개발 -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31-48, 2009
19 이방자,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열린 실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개발" 13 (13): 73-93, 2004
20 이상원, "주제중심통합 환경사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35-162, 2010
21 강충렬,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12 (12): 5-29, 1998
22 남동민, "주제 중심의 접근 방법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 개발 : 공룡을 주제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3 서우석,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 분석" 12 : 164-182, 2000
24 정경주, "자연생태체험활동이 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5 금지헌, "원예활동이 학업부적응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185-198, 2014
26 정연옥,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41-58, 2013
27 윤은주,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4 (14): 17-23, 2011
28 주은연, "원예치료가 학습부진아의 문제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2 (12): 336-340, 2004
29 홍승현,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30 장유진, "원예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한국원예학회 28 (28): 701-707, 2010
31 곽혜란, "원예주제 중심의 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63-78, 2007
32 지승은, "우리나라 원예치료관련 석·박사학위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33 신헌재, "열린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박이정 1997
34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35 손기철, "실내식물이 사람을 살린다" 중앙생활사 2006
36 조성민, "실과 '꽃과 채소 가꾸기'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7 백자경, "식생활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 녹색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23-147, 2010
38 정미순,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37-61, 2008
39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0 정철, "새 개정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방안" 12 : 249-254, 2010
41 신연수,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33-39, 2010
42 문인순, "몰입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3 안윤지, "몰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44 이미현, "몰입수준의 변화가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45 유영달, "몰입감 모델(flow model)의 심리치료적 활용"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5-55, 2005
46 김창대, "몰입(Flow) 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모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5-30, 2002
47 노성훈, "꽃과 채소 가꾸기 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실습 실태." 4 (4): 17-25, 2001
48 최혜란, "교육 연극을 활용한 감성 중심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43-55, 2009
49 김민자, "교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3-204, 2010
50 윤주연, "교실 내 식물 가꾸기 활동을 통한 환경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1 정경아, "고양지역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2 정옥란, "계층적 분석과정을 활용한 초등실과 교과의 가꾸기 실습에 적합한 식물 선정" 초등교육연구원 20 (20): 147-169, 2009
53 Csikszentmihalyi, M., "flow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한울림 2004
54 Deci, E. I.,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55 DeMarco, L. E., "Integrating gardening in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9 (9): 276-281, 2000
56 석임복,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21-154, 2007
57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1993
58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1975
실과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방안
실과 생명과학 영역의 미래형 목표 및 내용 체제 개발에 관한 연구
핵심역량 중심의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ㆍ인성교육 수업모델개발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