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향미, "한국화 감상을 통한 미술 표현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4
2 정효정, "한국의 표준보육과정의 현황과 개선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0 (60): 19-37, 2010
3 Eisner,E.W, "학문기초 미술교육운동" 학지사 1995
4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5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연구"
6 조성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현황조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7
7 김주화,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만3세-만5세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연희, "입체조형작품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남옥선, "음악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만2세(24-36개월)영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김영미, "음악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활동의 실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민선,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실태 분석: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오종숙, "유아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3
13 한귀덕,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4 박삼정, "유아무용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4
15 정은경, "유아기 예술교육의 재이해를 위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29-148, 2002
16 이정화, "유아기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 1 (1): 297-310, 2004
17 박미용, "유아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인식 및 유아음악 교육환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지성애, "유아 미술의 이해와 교육. 유아교육학탐구" 학지사 517-551, 2002
19 백공주, "유아 무용지동에 대한 실태 조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20 유혜경, "예술적 가치에 관련된 제 요인에 관한 연구" 38 (38): 239-267, 2000
21 Bamford,A,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한길아트 2007
22 유혜경, "예술교육" 학연사 2006
23 김광자,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 방안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47): 151-173, 2006
24 김영연, "영유아 음악교육연구의 발전과 전망" 24 (24): 71-100, 2005
25 공미선, "영아전담기관의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및 실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8
26 천혜경, "영아의 수학적 탐색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만2세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27 김옥주, "영아음악활동 방법 연구:만2세를 대상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6
28 유희정, "영아보육 지원정책 성과연구" 여성가족부 2007
29 이경림,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30 조숙진, "영아-교사 애착증진을 위한 음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애착증진 음률활동 프로그램"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31 유은숙, "영아 음악교육 방법 연구:영아 발달단계에 의한 음악놀이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4
32 나은실, "어린이집 영아반의 음악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33 박정원,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34 안세정, "아동미술학원의 교육기반 실태 분성"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5 현미선, "부모와 함께 하는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영아의 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의 12-36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6 강보라, "보육교사의 영아음악활동에서 표준보육과정 반영 실태"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57-69, 2009
37 여성가족부, "보육 프로그램 총론"
38 윤혜란, "명화감상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9 김나경, "만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0 황인주,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8
41 김경미, "만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2 이지향,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3 우성희, "만 1,2세 영아의 상징놀이에서 가작화 요소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4 이금구, "만 1,2세 영아를 위한 미술 교육의 현황 및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5 이경후, "듀이의 예술론과 예술교육"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46 정은경, "다양한 표현활동을 통한 음악감상에서 나타난 만2세 영아의 음악성 변화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47 우명옥, "다양한 재료 및 교사의 언어적 인정이 영아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48 김수연,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미술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9 김주아, "그림책을 활용한 만2세 영아의 몸짓 언어 프로그램 개발연구" 5 (5): 43-74, 2008
50 홍용희, "교육개혁과 예술교육의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예술교육연구소 1997
51 Greenberg,M, "Your children need music" Prectice-Hall 1979
52 Gardner, H., "The ar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 A cognitibe developmental portrait of the young child as aritist. In Handbook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millan 1-52, 1993
53 Shirrmacher,R, "Talking with young children about their art" 3-7, 1996
54 Piaget,J, "Mental imagery in the child: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imaginal representation" Basic Books 1971
55 MENC, "MENC Position Statemen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8 (8): 21-22, 1992
56 Jackson,P.W, "If we took Dewey's aesthetics seriously, How would the arts be taught" 1994
57 Welch,G.F, "Early childhood musical development" David Fulton 1997
58 Herberholz, B., "Early childhood art" Wm. C. Brown 1995
59 Hargreaves,D.J,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the arts. In Children and arts" Open University Press 3-21, 1989
60 Clarke-Stewart,A, "Dayca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61 McAllester,D, "Becoming human through music"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