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n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ils to Vocabula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95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ils to vocabula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is applied to analyze an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he use of parts of speech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o achieve this, 3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ere in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of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with parental consent. The experiment using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was held in total 20 sessions. In the intervention peri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fairy tales, 4 sessions per each fairy tale, including a reading every session. In the experiment a language-game program was conducted in 4 sessions by selecting 2 categories among 8 categories per sess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anguage-game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vocabulary improvemen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a preliminary and a posthumous. The result was analyzed by presenting a raw score and an age equival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cept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conclusion, a language- 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the frequency of parts of speech utiliza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ils to vocabula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is applied to analyze an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ils to vocabula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is applied to analyze an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he use of parts of speech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o achieve this, 3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ere in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of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with parental consent. The experiment using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was held in total 20 sessions. In the intervention peri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fairy tales, 4 sessions per each fairy tale, including a reading every session. In the experiment a language-game program was conducted in 4 sessions by selecting 2 categories among 8 categories per sess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anguage-game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vocabulary improvemen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a preliminary and a posthumous. The result was analyzed by presenting a raw score and an age equival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cept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conclusion, a language- 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the frequency of parts of speech utiliza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의 향상을 알아보고,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의 활용 향상에 대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의 K대학교 특수교육센터에 다니는 정신지체 아동 중 정신지체로 진단받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20회기 동안 적용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다섯 편의 동화를 각 동화 당 4차시로 나누어 매 회기마다 1회씩 읽어주고,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은 8가지 유형 중에서 매 회기마다 2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4차시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어휘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 활용 빈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의 향상을 알아보고,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의 활용 향상에 대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의 K대학교 특수교육센터에 다니는 정신지체 아동 중 정신지체로 진단받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20회기 동안 적용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다섯 편의 동화를 각 동화 당 4차시로 나누어 매 회기마다 1회씩 읽어주고,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은 8가지 유형 중에서 매 회기마다 2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4차시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어휘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 활용 빈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남, "초등학교 저학년 어휘 지도 방법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신헌재,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아동의 어휘 이해 발달수준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1999

      3 이민석, "정신지체아동의 기본어휘력 발달 특성" 단국대학교대학원 2004

      4 이은숙,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수용 어휘력 발달단계 비교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5 정현선, "장단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나현선, "이야기책 듣기와 다시 말해보기가 유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이경우,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양서원 1997

      8 임후남, "연상력을 활용한 창작동화가 학습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9 류인혜, "언어발달장애아동의 구어발달을 위한균형적 언어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3 (3): 49-66, 2012

      10 김종훈, "어린이 언어발달과 말하기 지도" 집문당 1995

      1 박선남, "초등학교 저학년 어휘 지도 방법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신헌재,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아동의 어휘 이해 발달수준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1999

      3 이민석, "정신지체아동의 기본어휘력 발달 특성" 단국대학교대학원 2004

      4 이은숙,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수용 어휘력 발달단계 비교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5 정현선, "장단을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나현선, "이야기책 듣기와 다시 말해보기가 유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이경우,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양서원 1997

      8 임후남, "연상력을 활용한 창작동화가 학습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9 류인혜, "언어발달장애아동의 구어발달을 위한균형적 언어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3 (3): 49-66, 2012

      10 김종훈, "어린이 언어발달과 말하기 지도" 집문당 1995

      11 엄진명,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정신지체아동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3 (3): 31-48, 2012

      12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서울장애인복지관 2009

      13 김은영, "생활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어휘력과 상황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0

      14 최선주, "생활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의문사 이해 및 언어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15 장광희, "생활관련 동요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6 정진술, "생활경험 중심 말놀이 자료 적용을 통한 어휘력 신장방안"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7 이숙란, "상황별 동화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임말순, "말놀이학습이 학습장애아동의 어휘력향상 및 언어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권은정, "말놀이를 통한 확장 활동이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백남은, "말놀이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21 김령, "말놀이 활동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2 지청숙, "말놀이 학습을 통한 언어 사용능력 신장 방안"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3 안은숙, "말놀이 자료 적용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이복희, "마인드맵을 적용한 언어지도에 따른 학습장애 아동의 어휘력 변화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25 최성규, "마인드 맵 학습 전략이 학습장애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41-367, 2004

      26 이지연, "동화책 읽어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27 김영본, "동화읽기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61-180, 2007

      28 최계숙, "동화를 통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11 : 28-39, 2005

      29 곽준식, "동화를 이용한 웹 구성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41 (41): 43-54, 2002

      30 권미경, "동화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이야기구성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1 신미, "동화 들려주기 유형이 유아의 어휘력 향상과 내용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2 이은진, "동시 활용 말놀이 중심 언어교수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휘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33 정대영, "동시 활용 말놀이 중심 언어교수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휘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47-72, 2009

      34 서창희, "독후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5 이종희, "그림책을 활용한 총체적 언어활동이 청각장애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6 윤태정, "그림책 중심의 말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7 윤태정, "그림책 중심의 말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8 송명희, "그림책 읽기 후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9 이진희, "그림 동화책 활용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정신지능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0 강창욱, "그림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학습이 지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179-205, 2008

      41 최성규,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23-14, 2005

      42 Senechal. M., "Individual differences in 4-year-old children's acquisitions of vocabulary during storybook reading" 87 (87): 218-229,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9 0.73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