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낙관성(낙관주의, 비관주의)과 자녀의 문제행동 사이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60232
송주연 (춘해보건대학교)
2020
Korean
유아 어머니 ; 낙관성 ; 낙관주의 ; 비관주의 ; 삶의 만족도 ; 문제행동 ; child mother ; optimism ; pessimism ; life satisfaction ; problem behavior
KCI등재
학술저널
1393-1414(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낙관성(낙관주의, 비관주의)과 자녀의 문제행동 사이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낙관성(낙관주의, 비관주의)과 자녀의 문제행동 사이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74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3주부터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낙관성, 자녀의 문제행동,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 어머니의 낙관주의는 유아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고 비관주의는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는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끼쳤다. 둘째,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는 낙관주의와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비관주의와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낙관주의, 비관주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진단과 처리를 위한 연구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optimism(optimism, pessimism) and child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274 pairs of young children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optimism(optimism, pessimism) and child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274 pair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n the city of Bus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Jamovi 1.6.1.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ptimism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problem behavior but mother’s pessimism had no effect on child problem behavior, and mother’s satisfaction of life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problem behavior. Second, mother’s satisfaction of lif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optimism and child problem behavior, and to have a perf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ssimism and child problem behavior.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희, "현실적 낙관주의자와 비현실적 낙관주의자의 심리적 특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2 양옥경, "한국인의 한과 탄력성: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11 : 7-29, 2001
3 김현정,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529-1544, 2019
4 이희정,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 : 긍정적 정서와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33 (33): 25-41, 1995
5 노영천, "초등자녀의 어머니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2055-2073, 2009
6 이유진, "중년 성인의 향유신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9
7 김미혜,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153-170, 2004
8 황혜정,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수 평가간의 관계" 45 : 339-359, 2006
9 이찬숙, "유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유아 개인변인과 부모양육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1-70, 2008
10 박혜원,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 김세희, "현실적 낙관주의자와 비현실적 낙관주의자의 심리적 특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2 양옥경, "한국인의 한과 탄력성: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11 : 7-29, 2001
3 김현정,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529-1544, 2019
4 이희정,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 : 긍정적 정서와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33 (33): 25-41, 1995
5 노영천, "초등자녀의 어머니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2055-2073, 2009
6 이유진, "중년 성인의 향유신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9
7 김미혜,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153-170, 2004
8 황혜정,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수 평가간의 관계" 45 : 339-359, 2006
9 이찬숙, "유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유아 개인변인과 부모양육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1-70, 2008
10 박혜원,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1 이영훈, "유아문제 행동의 이해 및 지도" 태영 2008
12 김지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6 (6): 137-155, 2010
13 문영경,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불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가정과삶의질학회 26 (26): 165-176, 2008
14 김연화, "유아기 부모와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이유아의 내재적・외재적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43-274, 2020
15 조준오,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75-98, 2015
16 최중근,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자녀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결혼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367-386, 2017
17 이지인,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47-867, 2016
18 이순자,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27-156, 2012
19 김지현,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20 송아람,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태도의 관계가 유아의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 동적 가족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6
21 김성수, "어머니의 낙관성이 양육태도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9 : 145-170, 2006
22 황윤정, "어머니의 낙관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아의 자기정서인식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3 김미향,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9 (19): 117-128, 2019
24 박명선, "어머니 자아분화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25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6 조명한,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1998
27 한성열, "삶의 질과 내재적 동기의 실현" 2 (2): 95-111, 1995
28 김영심,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7 (27): 59-82, 2020
29 이숙자,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30 고정자, "맞벌이부부의 직업관련 변수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6 (36): 163-178, 1998
31 김혜신,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32 오옥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9 (19): 93-116, 2014
33 조용순, "농인의 농문화에 대한 태도와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4 김선희,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35 심경원, "낙관성이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성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36 김혜정,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37 고인숙, "교사용 유아 문제행동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38 김현정,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9 권석만, "[단행본] 긍정 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40 Loeber, R., "Young children who commit crime : Epidemiology, developmental origins, risk factors, early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12 (12): 737-762, 2000
41 Peterson, C., "Well-being: the Foundation of Hedonic Psychology" Russell Sage Foundation 288-301, 1999
42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71-75, 1995
43 Luster, T., "The relation between family context and perceptions of parental efficacy" 29 : 301-311, 1987
44 Symister, P.,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problematic support on optimism and depression in chronic illness : a prospective study evaluating self-esteem as a mediator" 22 (22): 123-129, 2003
45 Peterson, C., "The future of optimism" 55 : 44-55, 2000
46 Snyder, C. 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ldren's hope scale" 22 : 399-421, 1997
47 Larzelere, E. M., "The Toddler Behavior Checklist : A Parent-Completed Assessment of Social-Emotional Characteristics of Young Preschoolers" 38 : 418-425, 1989
48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2 : 117-124, 1976
49 Garber, J., "Rochester symposium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2.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expressions of dysfunction" Erlbaum 225-264, 1991
50 Jaycox, L. H.,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school children" 32 : 801-816, 1994
51 Sharpe, J. N., "Predictors of coping with pain 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sickle cell syndrome" 33 : 1246-1255, 1994
52 Nolen-Hoeksema, S.,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childhood depressive symptoms : a 5-year longitudinal study" 101 : 405-422, 1992
53 Gudsa, L. J., "Perceptions of medical compli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ystic fibrosis" 12 : 236-242, 1991
54 Neverlien, P. O., "Optimism-pessimism dimension and dental anxiety in children aged 10-12 years" 19 : 342-346, 1991
55 Carver, C. S., "Optimism, pessimism, and postpartum depression" 11 : 449-462, 1987
56 Chang, E. C., "Optimism, pessimism,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in middle-aged adults : a test of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psychological adjustment" 16 (16): 524-531, 2001
57 Fischer, M., "Optimism and pessimism in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57 : 241-248, 1986
58 Scheier, M. F., "On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 the benefits of being optimistic" 2 : 26-30, 1993
59 Meral, A., "Misbehavior in British and Turkish primary classrooms" 19 (19): 32-39, 2001
60 고숙경, "MBTI에 나타난 성격유형과 잠재적 비행경향과의 관계"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4
61 Seligman, M. E. P., "Learned optimism" Simon & Schuster 1991
62 Duhig, A. M., "Inter-parental agreement on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total behavior problems: A meta-analysis" 7 (7): 435-453, 2000
63 Kazdin, A. E.,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ntent among psychiatrically disturbed inpatient children" 51 : 504-510, 1983
64 Peterson, C., "Health and optimism: new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physical well-being" Free Press 1991
65 Rubin, K. H.,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lenum 619-700, 1998
66 Lindahl, K. M., "Family process variables and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12 (12): 420-436, 1998
67 Goleman, D., "Emotion Ingelligence" Bantam Books 1995
68 Scheier, M. F.,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16 : 201-228, 1992
69 Scheier, M. F.,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67 (67): 1063-1078, 1994
70 King, L. A., "Conflictover End Emotional Expression : Psychological a Physical Correlates" 58 : 864-877, 1990
71 Yu, J. J., "Adolescent Relations with Their Mothers, Siblings, and Peers : An Exploration of the Roles of Maternal and Adolescent Self-Criticism" 38 (38): 672-683, 2009
72 Chemers, M. M.,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93 (93): 55-64, 2001
73 Hilsman, R., "A test of the cognitive diathesis-stress model of depression in children : academic stressors, attributional style, perceived competence and control" 69 : 370-380, 1995
간호학생을 위한 핵심기본간호술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용서와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장단 학습활동 유형 분석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다문화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