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 = Mediation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ith regards to Impacts of Violence Experiences of the Growth Period on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4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성장기 폭력경험이 있는 대학생이라 하더라도 인권감수성을 확장함으로써 사회적 유능성을 확보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15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764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학대에서는 신체학대와 방관경험이, 학교폭력에서는 가해동조, 피해동조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폭력 가해, 가해동조, 피해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권감수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황지각과 책임지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감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감수성과 사회적 유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성장기 폭력경험이 있는 대학생이라 하더라도 ...

      본 연구는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성장기 폭력경험이 있는 대학생이라 하더라도 인권감수성을 확장함으로써 사회적 유능성을 확보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15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764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학대에서는 신체학대와 방관경험이, 학교폭력에서는 가해동조, 피해동조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폭력 가해, 가해동조, 피해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권감수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황지각과 책임지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감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감수성과 사회적 유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he purpose to find solutions to promote their social competence by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of the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followed by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from 15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764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violence in the period of growth, and their questionnaires were only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s including physical assault and neglect as well as school violence experience either as a victim or an offender would have effects on human rights sensitivity. Second, offense of school violence, participation as an offender and experience as a violence victim during the growth period would influence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Third, perceptions of situation and responsibility w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Lastly, human rights sensitivity would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during their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I would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plans to promot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during their growth perio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designed the purpose to find solutions to promote their social competence by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of the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

      This study was designed the purpose to find solutions to promote their social competence by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of the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followed by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from 15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764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violence in the period of growth, and their questionnaires were only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s including physical assault and neglect as well as school violence experience either as a victim or an offender would have effects on human rights sensitivity. Second, offense of school violence, participation as an offender and experience as a violence victim during the growth period would influence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Third, perceptions of situation and responsibility w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Lastly, human rights sensitivity would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during their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I would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plans to promot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during their growth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송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구성요인 탐색과 유용성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131-156, 2005

      2 한나리,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7-156, 2010

      3 이덕희, "학생의 학교폭력경험과 학교폭력태도 간의 관계: 인권의식 및 촉진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221-252, 2014

      4 고미영,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1-102, 2004

      5 이영미, "학대 경험이 아동의 우울/불안,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6 원미순, "학교환경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중·고등학생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39-260, 2015

      7 유문무, "학교폭력과 인권 그리고 인권교육: Holism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7 (17): 105-125, 2013

      8 박선숙, "학교폭력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유능성의 조절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45) : 41-72, 2016

      9 남미애,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09-144, 2015

      10 이효인, "학교스트레스가 학교폭력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1 최송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구성요인 탐색과 유용성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131-156, 2005

      2 한나리,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7-156, 2010

      3 이덕희, "학생의 학교폭력경험과 학교폭력태도 간의 관계: 인권의식 및 촉진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221-252, 2014

      4 고미영,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1-102, 2004

      5 이영미, "학대 경험이 아동의 우울/불안,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6 원미순, "학교환경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중·고등학생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39-260, 2015

      7 유문무, "학교폭력과 인권 그리고 인권교육: Holism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7 (17): 105-125, 2013

      8 박선숙, "학교폭력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유능성의 조절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45) : 41-72, 2016

      9 남미애,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09-144, 2015

      10 이효인, "학교스트레스가 학교폭력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11 김옥기, "학교 청소년의 인권에 대한 사회복지적 고찰"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5

      12 강지영, "피학대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가족 내외의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3 김영신, "친인권적 교실 문화가 청소년의 인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정건희, "청소년자치활동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 (2): 1-25, 2009

      15 박신영,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김영미,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인권의식: 우울과 자기인권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67-280, 2016

      17 천정웅,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51-161, 2016

      18 정문경,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73-93, 2014

      19 정문경, "청소년기 정서조절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9-72, 2014

      20 정문경, "청소년기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195-211, 2015

      21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법교육학회 6 (6): 57-83, 2011

      22 박선숙,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지한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가치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82-93, 2016

      23 박재숙, "중학생의 인권민감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4 이상희, "중학생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2 : 47-75, 2007

      25 유명진, "중학생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4 (4): 131-159, 2015

      26 김진연, "장애인서비스 제공자의 인권 인식, 사회적 지지, 사회통합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20-631, 2016

      27 이금옥, "인권침해로서 가정폭력에 대한 미국에서의 논의" 한국헌법학회 12 (12): 243-272, 2006

      28 아영아, "인권을 존중받은 경험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주변인역할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40) : 75-98, 2016

      29 이희연, "인권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가해경험 및 해결방안"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83-110, 2013

      30 홍봉선, "인권감수성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3 : 307-335, 2012

      31 문용린,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32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아침이슬 2002

      33 문용린,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34 김윤정, "인권 교육에 따른 온라인대학 성인학습자의 인권감수성 변화에 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5 (15): 27-54, 2017

      35 조성희, "이혼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36 한미현, "어머니의 대상관계 수준과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7 김경숙,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사회적유능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2015

      38 최은희, "아동학대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39 이완정, "아동청소년기 폭력노출경험과 대학생의 정신건강"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385-407, 2010

      40 윤정아,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45-163, 2016

      41 박형원,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91-200, 2013

      42 나동석, "부모폭력이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 (23): 55-77, 2016

      43 박봉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권의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4 박선숙, "대학생의 역기능적 부모-자녀⋅공격성 간의 관계: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41) : 1-26, 2016

      45 정원철,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38) : 219-242, 2015

      46 이화숙, "대학생의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 경험과 데이트폭력 가해와의 관계에서 젠더감수성의 조절효과" 신라대학교 2016

      47 김윤나, "다문화 감수성, 인권인식, 임파워먼트의 비교분석을 통한 인권교육 실천 방안 -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일반인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15-32, 2012

      48 이미나, "그림책을 활용한 인권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9 (19): 99-119, 2015

      49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50 김영미, "교사 유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강남대학교 2014

      51 이철호, "가정폭력과 인권" 4 (4): 360-363, 2006

      5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53 Gini, G., "The Role of Bystanders in Students‘ Perception of Bullying and Sense of Safety" 46 (46): 617-638, 2008

      54 Pöyhönen, V., "Standing Up for the Victim, Siding with the Bully or Standing by? Bystander Responses in Bulling Situations" 21 (21): 722-741, 2012

      55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290-312, 1982

      56 Bibou-Nakou, I., "School Factors related to Bullying : A Qualitative Study of Early Adolescent Students" 15 : 125-145, 2012

      57 Buhrmester, D.,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55 (55): 991-1008, 1988

      58 Pressel, A. S., "Family and child-level moderators of the 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early adolescent peer social competence" School of Psycholog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7

      59 Salmivalli, C.,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Group Norms, and Behaviour in Bullying Situations" 28 (28): 246-258, 2004

      60 Schneider, R. J., "An individml-diffmncts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social compet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92

      61 Nichols, T. R., "Adolescent social competence: An examination of social skills, social performance, and social adjustment with urban minority youth" School of Arts and Sciences Columbia University 2002

      62 Hong, J. S., "A Review of Research on Bullying and Peer Victimization in School : An Ecological System Analysis" 17 (17): 311-32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