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의 행복 연구들의 연도별 게재현황,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를 고찰함으로써 이 분야 행복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52175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8(28쪽)
3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의 행복 연구들의 연도별 게재현황,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를 고찰함으로써 이 분야 행복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의 행복 연구들의 연도별 게재현황,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를 고찰함으로써 이 분야 행복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까지 이루어진 국내학술지논문 및 석?박사학위논문 총 11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행복 관련 논문의 연도별 게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행복 관련 논문은 2003년부터 시작되었고, 2009년부터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2년 이후부터 최근 3년 간 급증하였다. 둘째, 행복 관련 논문을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모두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교사 행복과 타 변인과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론 ‘부모 행복과 타 변인과의 관련성’, ‘유아 행복과 타변인과의 관련성’ 순서로 연구가 이뤄졌다. 셋째,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으로는 교사, 부모, 유아, 예비교사, 문헌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유형으로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결과를 살펴본 결과, ‘교육활동과 유아 행복과의 관계’, ‘교사의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직무 관련 변인과 교사 행복과의 관계’, 그리고 ‘유아의 능력변인/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부모 행복과의 관계’ 연구가 주로 이루었으며, 이를 통해 유아, 교사, 부모의 행복은 이러한 변인들이 큰 상관을 갖고 있음이 가장 많이 입증되는 결과를 낳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studies on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period, themes, methodologies, and resul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9 articles published till the ...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studies on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period, themes, methodologies, and resul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9 articles published till the April, 2014,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had dramatically increased for the last three years with its first appearance in 2003 and the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in 2009. Second,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5 research themes, and the theme of "the teacher"s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was the highest number of articles, and "the parents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and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were the next in order. Third,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was current teachers, parents, young children, preliminary teachers, and literatures in order, and the number of research methodology was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analysis in order. Forth, the following factors like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teachers" happiness related to the work-related satisfaction/stress", and "the parents" happiness related to the fostering methods/stress or the abilities of their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verified as the most popular factor for happiness of each subjec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민일보, "초등생들 ‘행복 조건’ 1위는 ‘행복한 가정’...고등학생은?"
2 고승재, "제주지역 유아국악교육 실태 조사 : 제주시 유치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2
3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 긍정 심리학의 관점" 학지사 2011
4 Shimoff, M., "이유없이 행복하라" 황금가지 2009
5 "육아정책 Brief" 육아정책연구소 21 : 1-4, 2014
6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7 신지혜, "유아행복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28, 2014
8 권기남,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257-270, 2010
9 이시자, "유아놀이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63-289, 2010
10 유수경,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3-314, 2009
1 국민일보, "초등생들 ‘행복 조건’ 1위는 ‘행복한 가정’...고등학생은?"
2 고승재, "제주지역 유아국악교육 실태 조사 : 제주시 유치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2
3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 긍정 심리학의 관점" 학지사 2011
4 Shimoff, M., "이유없이 행복하라" 황금가지 2009
5 "육아정책 Brief" 육아정책연구소 21 : 1-4, 2014
6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7 신지혜, "유아행복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28, 2014
8 권기남,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257-270, 2010
9 이시자, "유아놀이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63-289, 2010
10 유수경,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3-314, 2009
11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백서 2001~2005" 양서원 2005
12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3 김성숙,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77-400, 2013
14 조형숙,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19-445, 2011
15 김치곤,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05-333, 2013
16 우민정,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81-97, 2011
17 김정은,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8 백경순,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93-411, 2013
19 우효진,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한은애,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최수경,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81-198, 2013
22 김시내,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Bormans, L., "세상 모든 행복" 흐름 출판사 2012
24 Seligman, M. E. P.,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물푸레 2009
25 권석만, "긍정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9
26 김상림, "국내 숲유치원 관련 논문의 동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87-113, 2014
27 조형숙, "교사관련 국내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20, 2014
28 양진희,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59-280, 2013
29 조재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0 김성범, "가족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2
31 한태숙,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4-2004"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19-238, 2005
32 Uusitalo-Malmivaara, L., "Social factors explaining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111 (111): 603-615, 2013
33 Powdthavee, N, "Parental unemployment and children's happiness: a longitudinal study of young people's well-being in unemployed households" 24 : 253-263, 2013
34 Headey, B., "Parent transmit happiness along with associated values and behaviors to their children: a lifelong happiness dividednd?" 11 (11): 909-933, 2014
35 이내찬,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40, 2012
36 Rogers, M. A. M., "Happiness and children's health: an investigation of art, entertainment, and recreation" 93 (93): 288-289, 2003
37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3-9, 2002
자연친화적 헝겊인형놀이가 유아의 사회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연구
피해 대상자에 따른 유아의 사죄행동, 죄책감, 대인감정이해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