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창의적 역할 관계에서 임파워먼트 조절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mpowerme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Creative Ro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8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leadership on their creative roles an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ir empowerment. To this end,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200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the recover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mpowerment had an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creative rol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the teacher, the more influential the creative role. Training for the creative role of teacher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ise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 enhance empowerment and self-leadership when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expect an in-depth study on self-leadership of teacher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leadership on their creative roles an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ir empowerment. To this end,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leadership on their creative roles an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ir empowerment. To this end,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200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the recover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mpowerment had an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creative rol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the teacher, the more influential the creative role. Training for the creative role of teacher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ise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 enhance empowerment and self-leadership when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expect an in-depth study on self-leadership of teacher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혜광, "헤어미용실 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조직공정성과 조직후원인식의 효과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2 박희경,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 하성호, "조직문화유형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 산업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0

      4 조희수,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슈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박성애,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 수행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7 김익철,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 개인 및 집단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체 K자동차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영규, "산업교육 강사의 진정성리더십과 변화행동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9 김원규, "병원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LMX,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8

      10 안병주,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오혜광, "헤어미용실 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조직공정성과 조직후원인식의 효과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2 박희경,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 하성호, "조직문화유형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 산업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0

      4 조희수,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슈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박성애,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 수행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7 김익철,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 개인 및 집단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체 K자동차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영규, "산업교육 강사의 진정성리더십과 변화행동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9 김원규, "병원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LMX,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8

      10 안병주,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이기호, "교사가 지각하는 멘토링과 셀프리더십·변혁적 지도성 및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12 박숙희, "교사 창의성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6 (6): 149-164, 2007

      13 車美貞, "創意性 訓練 프로그램의 構成方法, 敎師訓練 與否가 幼兒의 創意的 行動에 미치는 영향"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1

      14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44 (44): 682-696, 2001

      15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31 (31): 278-302, 1995

      16 Houghton, J. D.,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17 (17): 672-691, 2002

      17 Conger, J. A., "The Empowerment Process : Inter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 1988

      18 Manz, C. C.,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19 : 18-35, 1991

      19 Manz, C. C., "Super Leadership :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1990

      20 Manz, C. C.,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5 (5): 361-367, 1980

      21 Short, P. M.,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hitin school environment" 52 (52): 951-960, 1992

      22 Spreitzer, G. M.,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38 (38): 1442-1465, 1995

      23 Torrance, E. P., "Guiding creative talent" Prentice-Hall, Inc 1962

      24 Torrance, E. P.,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ity?" 6 : 114-143,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