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구개발비와 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이익지속성 및 기업특성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 between R&D expenditure and valuation : the earnings pers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fi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51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경영학과 ,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5.82 판사항(5)

      • DDC

        657.4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60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52-56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orrelation there is between the earnings persistence characterized by time-series features of individual firms and representing the quality of profits and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which has not ever discussed in any previous studies and whic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the firm’s continuous growth and to analyze the value relevance of R&D expense according to such financial character as financial soundness, growth feature and cash flow.
      For these, first, the effect on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of the following year of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has been verified. Second, what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R&D expense causes by the financial soundness of firms was examined. Third, again what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it results in according to their growth feature was reviewed. Finally, if it creates any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depending on the scale of cash flow generating from sales activities has been empirically estimated.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following year’s expenditure of R&B expense at the level of 5%,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 earnings persistence. When the dummy variable, the value of earnings persistence divided by median, was applied,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following year’s expenditure of R&D expense at the level of 10%, which suggests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 earnings persistence than those with relatively lower earnings persistence. The estim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ummy variable where the earnings persist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vealed that its effect on the following year’s expenditure of R&D expense was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relative level of 5% among the Group 1 of High Rank, which indicates that the firms with earnings persistence of the group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 earnings persistence than the other ones.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y firm’s financial sound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means that the procurement of development expense the firms with unsound financial structure is not secure to result in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y firm’s growth feat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suggests that R&D has more effect on firm value since the firm with higher increasing rate of sales can solve the uncertainty of R&D.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y cash flow generating from sales activit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means that if the scale of cash flow from sales activities has some effect on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well-oiled expenditure of R&D expense the probability of succeeding in R&D is high enough for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is study has additionally estimated what effect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has on the expenditure of the development expense treated as the following year’s assets, of the research funds treated as cost and of ordinary development expense, the results of which are the followings.
      The effect of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on the expenditure of development expense treated as the following year’s asse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leads to the opinion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may have a very high probability for recognizing it as the expenditure of the development expense which will create higher benefit in the future from the long-term point of view.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on the expenditure of ord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 treated as the following year’s expens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hich indicates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may have a relatively low probability of recognizing R&D expense as the expenditure of that treated as cost.
      This study, as an expansion of previous studies which verified mainly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earnings persistence, has gone one step further to examine if firms have been investing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ir earnings persistence from long-term point of view.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on R&D expense and value relevance, this study has made a contribution by successfully verifying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R&D expense and value depending on the such firm’s characteristic variables as financial soundness, growth feature and cash flow.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orrelation there is between the earnings persistence characterized by time-series features of individual firms and representing the quality of profits and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which has not ever discussed ...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orrelation there is between the earnings persistence characterized by time-series features of individual firms and representing the quality of profits and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which has not ever discussed in any previous studies and whic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the firm’s continuous growth and to analyze the value relevance of R&D expense according to such financial character as financial soundness, growth feature and cash flow.
      For these, first, the effect on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of the following year of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has been verified. Second, what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R&D expense causes by the financial soundness of firms was examined. Third, again what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it results in according to their growth feature was reviewed. Finally, if it creates any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depending on the scale of cash flow generating from sales activities has been empirically estimated.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following year’s expenditure of R&B expense at the level of 5%,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 earnings persistence. When the dummy variable, the value of earnings persistence divided by median, was applied,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following year’s expenditure of R&D expense at the level of 10%, which suggests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 earnings persistence than those with relatively lower earnings persistence. The estim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ummy variable where the earnings persist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vealed that its effect on the following year’s expenditure of R&D expense was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relative level of 5% among the Group 1 of High Rank, which indicates that the firms with earnings persistence of the group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 earnings persistence than the other ones.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y firm’s financial sound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means that the procurement of development expense the firms with unsound financial structure is not secure to result in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y firm’s growth feat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suggests that R&D has more effect on firm value since the firm with higher increasing rate of sales can solve the uncertainty of R&D.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by cash flow generating from sales activit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means that if the scale of cash flow from sales activities has some effect on the expenditure of R&D expense for well-oiled expenditure of R&D expense the probability of succeeding in R&D is high enough for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is study has additionally estimated what effect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has on the expenditure of the development expense treated as the following year’s assets, of the research funds treated as cost and of ordinary development expense, the results of which are the followings.
      The effect of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on the expenditure of development expense treated as the following year’s asse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 at the level of 1%, which leads to the opinion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may have a very high probability for recognizing it as the expenditure of the development expense which will create higher benefit in the future from the long-term point of view.
      The degree of earnings persistence on the expenditure of ord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 treated as the following year’s expens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hich indicates that the firms with higher earnings persistence may have a relatively low probability of recognizing R&D expense as the expenditure of that treated as cost.
      This study, as an expansion of previous studies which verified mainly the effect of R&D expense on the earnings persistence, has gone one step further to examine if firms have been investing R&D expense for maintaining their earnings persistence from long-term point of view.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on R&D expense and value relevance, this study has made a contribution by successfully verifying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R&D expense and value depending on the such firm’s characteristic variables as financial soundness, growth feature and cash fl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의 지출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이익의 질을 대표하고 개별 기업의 시계열적 특성을 가진 이익지속성과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연구개발비의 지출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기업들의 재무적 건전성, 성장성, 현금흐름 등 재무적 특성에 따라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이익지속성의 크기에 따라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셋째,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성장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의 차이 검증 및 넷째, 연구개발비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에 따라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익지속성의 크기가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5%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익지속성이 큰 기업일수록 이익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증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익지속성을 중앙값으로 나눈 더미변수를 활용하여 이익지속성의 크기가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10%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익지속성이 큰 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이익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증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익지속성을 3그룹으로 나눈 더미변수를 활용하여 이익지속성의 크기가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상위 1그룹에서 상대적으로 5% 수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익지속성이 상위 1그룹에 속한 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증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재무구조가 건전하지 않은 기업은 개발비용의 조달이 불확실하여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성장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개발비는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연구개발비의 불확실성이 해소 되므로 기업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개발비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에 따라 가치 관련성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는 연구개발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고 연구개발비 지출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면 연구개발의 성공가능성이 높아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확장으로, 선행연구에서는 연구개발비가 이익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검증했다면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이익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개발비에 투자를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면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기업의 특성변수인 재무적 건전성, 성장성 및 현금흐름에 따라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공헌점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의 지출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이익의 질을 대표하고 개별 기업의 시계열적 특성을 가진 이익지속성과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필수불가...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의 지출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이익의 질을 대표하고 개별 기업의 시계열적 특성을 가진 이익지속성과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연구개발비의 지출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기업들의 재무적 건전성, 성장성, 현금흐름 등 재무적 특성에 따라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이익지속성의 크기에 따라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셋째,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성장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의 차이 검증 및 넷째, 연구개발비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에 따라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익지속성의 크기가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5%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익지속성이 큰 기업일수록 이익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증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익지속성을 중앙값으로 나눈 더미변수를 활용하여 이익지속성의 크기가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10%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익지속성이 큰 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이익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증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익지속성을 3그룹으로 나눈 더미변수를 활용하여 이익지속성의 크기가 차기연도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상위 1그룹에서 상대적으로 5% 수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익지속성이 상위 1그룹에 속한 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증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재무구조가 건전하지 않은 기업은 개발비용의 조달이 불확실하여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성장성에 따라 가치 관련성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개발비는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연구개발비의 불확실성이 해소 되므로 기업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개발비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에 따라 가치 관련성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는 연구개발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고 연구개발비 지출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면 연구개발의 성공가능성이 높아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확장으로, 선행연구에서는 연구개발비가 이익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검증했다면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이익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개발비에 투자를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면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기업의 특성변수인 재무적 건전성, 성장성 및 현금흐름에 따라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공헌점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4
      •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 6
      • 제1절 이익지속성에 관한 선행연구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4
      •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 6
      • 제1절 이익지속성에 관한 선행연구 6
      • 제2절 연구개발비 지출 결정에 관한 선행연구 8
      • 제3절 연구개발비지출과 기업가치에 관한 선행연구 10
      • 제4절 본연구와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12
      • 제3장 연구의 설계 14
      • 제1절 연구가설의 설정 14
      • 제2절 연구방법론 17
      • 1. 연구의 설계 17
      • 2. 검증모형 18
      • 제3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3
      • 1. 종속변수 23
      • 2. 독립변수 24
      • 제4절 표본의 선정 26
      • 제4장 실증분석 결과 28
      • 제1절 기술통계량 결과 28
      • 제2절 상관관계 분석 결과 29
      • 제3절 회귀분석 결과 32
      • 1. 이익지속성과 차기연도 연구개발비에 대한 검증결과 32
      • 2. 재무적 건전성에 따른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 대한 검증결과 38
      • 3. 성장성에 따른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 대한 검증결과 40
      • 4. 현금흐름에 따른 연구개발비의 가치 관련성에
      • 대한 검증결과 41
      • 제4절 추가분석 43
      • 1. 연구개발비를 자산과 비용으로 구분한 후 추가분석 43
      • 2. 추가분석에 대한 검증결과 45
      • 제5장 결론 49
      • 제1절 연구결과 49
      • 제2절 연구의 공헌 및 한계점 51
      • 참 고 문 헌 52
      • Abstract 5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uide to Economerics, Kennedy, , 1992

      2. R&D와 기업가치관계, 김병기, , 2008

      3. The ConceptofEarnings Quality, Bernsteins, J.Siegel, , 1979

      4. 201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2012

      5. The Accounting Based Valuation of CorporateR&D, Sougiannis.T, , 1994

      6. 연구개발 지출기업의 투자결정요인, 권순창, 김형국, , 2007

      7. A Earnings Innovatives.EarningsPersistenceandStock, Kormendi, , 1987

      8. 연구개발투자지출의 재무적 결정요인, 최정호, , 1997

      9. 연구개발투자의_결정요인에_관한_연구, 이정길, 김영갑, , 2008

      10. 재무비율에 의한 기업가치평가와 투자, 김민철(Kim Min Choul), 전성빈(Chun Sung-Bin), 이아영(Lee, A-Young), 한국경영교육학회, , 2008

      1. Guide to Economerics, Kennedy, , 1992

      2. R&D와 기업가치관계, 김병기, , 2008

      3. The ConceptofEarnings Quality, Bernsteins, J.Siegel, , 1979

      4. 201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2012

      5. The Accounting Based Valuation of CorporateR&D, Sougiannis.T, , 1994

      6. 연구개발 지출기업의 투자결정요인, 권순창, 김형국, , 2007

      7. A Earnings Innovatives.EarningsPersistenceandStock, Kormendi, , 1987

      8. 연구개발투자지출의 재무적 결정요인, 최정호, , 1997

      9. 연구개발투자의_결정요인에_관한_연구, 이정길, 김영갑, , 2008

      10. 재무비율에 의한 기업가치평가와 투자, 김민철(Kim Min Choul), 전성빈(Chun Sung-Bin), 이아영(Lee, A-Young), 한국경영교육학회, , 2008

      11. Earings. Book Values and Dividend in SecurityValuation, Ohlson, , 1995

      12.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지속성과 가치관련성, 전성일, 김정은, 한국회계학회, , 2008

      13. TheStock Market'sValuation ofR&D Investing Duringthe1980s, Hall, , 1993

      14. The capitalization, amortization, and valuerelevanceof R&D, T.Sougiannis, Lev, The Capitalization Amortization andValue-RelevanceofR&D, , 1996

      15. 연구개발비의 자본화를 통한 이익조정의 고찰, 고대영, 전성일, 김문태, 한국회계정보학회, , 2006

      16. Corporate Research andDevelopment Expenditures and Share Value, Chan, , 1990

      17. TheInvestment-FinanceLink:Investmentand U.S.FiscalPolicyinthe1990s, Fazzari, , 1993

      18. 비용처리 연구개발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노희천(Roh Hee Chun), 전영준(Jeon Young Jun), 한국세무학회, , 2011

      19. 연구개발비 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친 다기간 효과 분석, 김선구, 연룡모, 대한회계학회, , 2007

      20. 실제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 이세용(Lee Se-Yong), 노밝은(Rho Bahl-Geun), 대한회계학회, , 2011

      21. 무형자산 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연구, 조성인, 정혜영, , 2004

      22. 이익지속성을 통한 이익의 질이 신용평점에 미치는효과, 박길영, 김문태, , 2009

      23. 연구개발비가 기업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동우(Yang Dong-Woo), 박경주(Park kyung-Joo), 한국기술혁신학회 ,, 연구개발비가_기업경영_성과에_미치는_영향에_관한_연구, , 2006

      24. Amortization policy foradvertis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Hirschey, , 1985

      25. Earnings Expectations andDiscretio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Perry, R.Grinaker, , 1994

      26. 이익지속성, 이익유연화 및 재무분석가의 이익 예측정확성, 이세철 ( Se Chul Lee ), 한국회계정보학회, "이익지속성, , 2012

      27. The Information inDiscretionary Outlays: Advert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Ettredge Michael, Bublitz Bruce, "The Information in DiscretionaryOutlays:Advertising, , 1989

      28. 연구개발비지출이_기업이익과_기업가치에_미치는_영향분석, 김진황, , 2007

      29. 연구개발비 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연구(산업별 비교), 전성일, 정혜영, 김현중, , 2003

      30. Correlation between advertising and R&Dexpenditures:dealingwithimportantintangibles, Blankey, , 2007

      31. R&D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효과: 패널자료기법을 활용한 실증분석, 이해영 ( Hae Young Lee ) , 이재춘 ( Jae Choon Lee ), 신범철 ( Beom Cheol Cin ) , 한국산업경제학회, , 2009

      32. Is public R&D a ComplementorSubstitute forPrivateR&D:A Review ofthe EconometricEvidence, David, Hall, , 2000

      33. An AnalysisofIntertemporalandCross-sectional Determinants of Earnings Response Coefficents, Collins, , 1989

      34. Do Stock Prices Fully Reflect Information inAccruals and Cash Flows about Future Earnings?, Sloan, Do Stock PricesFully ReflectInformation in Accrualsand Cash Flows AboutFuture Earnings?, , 1996

      35. 정부의 연구개발투자 보조금은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촉진하는가?, 홍필기 ( Pil Ky Hong ), 서환주 ( Hwan Joo Seo ), 한국재정정책학회, , 2011

      36. 적정 수준 이상의 연구개발비 지출이 기업의 미래 이익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철 ( Young Chul Kim ), 최만식 ( Man Seek Choi ), 한국회계정보학회, , 2011

      37. 유가증권상장기업과 코스닥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준우, , 2009

      38. The Determinants of Industrial research andDevelopment:A Study of The Chemical, Drug, and PetroleumIndustries, Grabowski, "The Determinants of Industrial research andDevelopment:A Study of The Chemical, , 1968

      39. 회계이익의 지속성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와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임태균, 정석우, 한국회계학회, , 2004

      40. 재벌 기업의 대주주경영자는 비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와얼마나 다른가?:한국 상장기업의 소유구조, 자본구조 및 기업 가치에 관한실증연구, 박경서, 백재승, "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는 비재벌기업의 대주주경영자와 얼마나 다른가?:한국 상장기업의 소유구조, ,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