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의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 연구

        신혜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2021년, 교육부는 ‘초ㆍ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원양성 기능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국가의 정책 전략과 더불어 현직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의 강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과 관련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한 초등교사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는 왜 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가, 둘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셋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교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2011년~2021년 사이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초등 교사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해 4차례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이유는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 진로를 위한 보험 차원에서, 소진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또 특정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이유를 통해 교육대학원을 지원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속에서 학교 현장에 활용되는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고,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고 적응을 하면서 수업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또 대학원 생활에서 논문을 쓰느냐, 쓰지 않느냐에 큰 의미를 두었고, 교과 전공인지 비교과 전공인지에 따라 수업에 대한 인식에 서로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직장) 생활과 병행하며 공부하는 교사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고, 교육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교육과정 안에서만 교류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에게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경험은 계속 배움의 길로 이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켰고, 학교 현장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모습은 연구참여자 중 소수에 해당되었고, 변화의 활용의 모습은 일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기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training in-service teachers and fostering teacher education as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However, the ambiguous par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led to problems with diversity in educational curricula, lack of quality management, and ineffective operation due to the mixture of its role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continued. In 2021,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a plan for improvement measures in educ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with reduced function for teacher training. Establishing direction and strategy to support the graduate school's re-educating operations to enhance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national policies is critical.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tudied and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y do teachers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and how do th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rd, what do the teachers learn from re-education experienc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tween 2011 and 2021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our analysis processes by transcribing the interviews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s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various with motivation to be a recognized teacher, to secure a career, to avoid exhaustion, and to choose a specific graduate school. Second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whether they were us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classes while taking classes and adapting to course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y put a significant meaning on whether to write a thesis or not in graduate schoo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lass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subject courses or extracurricular.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studying and working simultaneously and only had exchanges within the curriculum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Thirdly, the experience of re-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inue learning, expanding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us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school field.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such features and utilized such chang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re-education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 현직교사의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수학 경험 연구

        석재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teacher re-education process, but the number of major installations and freshmen is decreasing. The study sough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incumbent teacher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s.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teachers who studied at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operated on a seasonal ba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otives for applying fo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Extremely for students," "to see the forest of education," and "a spoonful of promotion." The course experience was shown as "school field rather than theory,"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time of healing camp," "like Argos' eyes," "papers is that student do for oneself" and "fellowship like soldiers". The use of experience has been shown as 'use the knowledg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in the school fiel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flection on teaching life'. Through this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turned ou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at we are doing now," while the overall experience in the re-education proces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the sweet and salty experi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은 교사 재교육과정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나, 최근 전공 설치와 신입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가 교육행정 전공에서 과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절제로 운영되는 국립의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의 지원 동기는 ‘궁극적으로는 학생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숲을 보기 위해서’, ‘승진 한 숟가락’으로 나타났다. 과정 경험은 ‘이론보다는 교육현장’,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부’, ‘힐링캠프의 시간’, ‘아르고스의 눈과 같이’, ‘논문은 스스로’, ‘전우애’로 나타났다. 경험 활용은 ‘교육행정 전공의 지식을 현장으로’, ‘교육정책의 이해와 수용’, ‘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도 제고’, ‘교직 생활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는 ‘우리가 지금 하는 것이 곧 교육행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단짠단짠 교육대학원 경험’으로 나타났다.

      • 교육활동을 활용한 규방가사 교육 방안 연구

        권수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에서는 고전문학이 가진 가치를 인식하고 올바르게 수용하여 더 나아가 현대 속에서 그 의미를 습득하고 후대를 위한 또 하나의 고전을 창작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고도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그 방법에 대해 제안해보았다. 고전문학 중에서도 현재 문학 제재로서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규방가사를 대상으로 하여 규방가사가 가진 가치를 밝히고 그를 교육해야 할 필요성과 동시에 교육방법을 강조하였다. 효과적인 고전문학의 교육을 위해 현재의 고전문학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규방가사가 다루어지고 있는 실상을 파악해보고 효과적으로 규방가사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우선 현 중등교육 안에서 규방가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상을 살펴보기 위해 2009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목록을 분석해 보았다. 최근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문학 작품의 갈래별(고전 운문, 고전 산문, 현대 운문, 현대 산문, 외국 문학) 작품 수를 통해 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의 위치를 파악하고, 고전문학 안에서도 갈래별 통계를 내려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를 통해 여러 가지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는데 요약하면 고전문학이 다루어지는 작품 수나, 국어과 내 세부 교과목 등에서 만족할 만하지 못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특히 본고의 논의 제재가 되는 규방가사의 경우 교과서 제재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그를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본격적인 규방가사 교육방법에 대한 고찰로 들어가기에 앞서, 규방가사의 개념과 분류, 화자의 성격 등 갈래론적 내용을 정리하였다. 고전시가의 특성상 각 갈래가 갖는 성격이 분명하게 다르기 때문에 교육방법에 앞서 규방가사의 성격을 언급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규방가사를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교수해 나갈 지 구체적인 작품인 <규원가>와 <덴동어미화전가>를 통해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드라마, 대중가요 등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읽기와 듣기의 보조자료로 삼았고, 일기쓰기와 편지쓰기의 쓰기 활동, 그리고 토론하기와 모의 재판 하기의 말하기 활동을 학습자에게 내면화시키기 위한 활동 수업으로 제안하였다.

      • 한국어 교육 실습 개선 방안 연구

        임보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실습 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로 현재 한국어 교육 실습이 실제 교육 경험을 체득하기에 많은 제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 실습은 참관 수업, 모의 수업, 실제 수업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국립국어원에서는 이 중 두 형태의 수업을 필수적으로 이행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 기관이 실제 수업의 기회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참관 수업 및 모의 수업의 내용도 교사로서의 교수 경험을 얻기에는 불충분하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를 보면 자국어 교사들에게 다양한 교육 실습과 인턴쉽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교육 실습 과정에서 반드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제 수업을 포함하고 있어 예비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 나서기 전에 충분한 교수 경험을 얻을 수 있다.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제도적, 내용적인 기준으로 나누어 방안을 제안했는데 먼저 실제 수업 과정을 반드시 포함할 것을 주장한다. 보다 많은 예비 교사들에게 고르게 수업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2~3명의 예비 교사가 함께 수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수업을 진행할 때 구성주의 교수 이론에 입각하여 수업 내용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국인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의사 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디딤말하기, 협동학습, 상황학습이론 등의 교수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구성한다. 제도의 개선과 수업 내용의 발전을 통해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해야 하는데 한국어 교육 기관의 협조 또한 필수적이라는 점을 제안한다. 한국어 교육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인 교사들이 그 경쟁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육 실습이 보다 실제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 고등학교「법과 사회」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형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ubject of ‘Law and Society’, an elective course of high school social science, seeks for its application to real life by promoting to understand ideas and principles of law and helping to establish constitutionalism. Among others, the purpose of this subject is to have students qualified with appropriate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s as democratic citizens, having both leg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are required for society where basic right are guaranteed and duty should be perfumed. However, there has been a criticism that the textbook of ‘Law and Society’ was summariz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Law and the contents were hard to follow, even though it was published to realize its intention of enhancing legal thinking ability on all kinds of legal problems in everyday life and establishing lawful society and justice. On top of that, several disadvantages were pointed out for inquiries activities. In specific, it was criticized that excessive number of pages of the textbook were occupied for inquiries activities, which meant that it was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Also, it was wonder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 of inquiries activities and contents of the main textbook were appropriately linked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s were suitabl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problems and suggestions of high school textbook of ‘Law and Society’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main pages of the book. The problems of the analysis were provided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 was hard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made them feel the book was difficult to follow. In particular, the book was composed following the style of Introduction to the Law as separated by each type of the law. Second, the inquiries activities failed to achiev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due to unsuccessful difficult level adjustment. In specific, social problems in inquiries activities should have reflected the times to cultivate learners’ legal awareness and a variety of legal thinking. However, the list of laws which were related with youth was limited and legal forms which could be utilized in real life were not enough. Third, the textbook was lack of professionalism as there was only one writer who majored law among 4 writers. Also, guide books which could be used for instruction were limited and no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ovided in the book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learning should be revised according to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more concrete contents of law should be added, and legal forms which have higher efficiency of use should be included in the textbook. Second, law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rom adolescent problems to compose contents of textbook reflecting practical reality. Moreover, the contents should be made of available contents which easily be applied in everyday life. Third, more diverse fields of law professionals should join writing the textbook and be invited from local community to practically promote study within the same subject in social science along with redefi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law education. As a more concrete method of law education should include case study method, simulation, role play, and a mock trial. In conclusion, the textbook of ‘Law and Society’ has a limitation for all levels of learners. The scope of the textbook and topics were far beyond its ability to cover within one textbook, resulting in distracted contents and losing its own status in law education textbook. Therefore, more effort and consideration should be on making better and concrete textbook to be selected by more learners. ‘법과 사회’ 과목은 고등학교 사회과의 선택과목으로서 법치주의를 실현하고 법이념과 원리를 이해하여 실생활에 적용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실생활 속에서 법적 문제들을 합리적이고 정당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여 기본적 권리가 보장되고 의무가 이행되는 사회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법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겸비한 민주 시민으로서의 지식과 기능 및 태도를 갖추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법과 사회’ 교과서는 ‘법치사회 실현과 정의구현을 위하고, 실생활에 당면하는 모든 법적 문제를 해결하는 법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함’이라는 취지에서 출판되었지만, 법학개론을 요약한 내용으로 구조화되어 있고 내용은 어려우며 이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탐구활동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구현한다는 의지와 맞지 않게 교과서의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본문 내용과의 연관성 문제와 난이도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법과 사회’ 본문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법과 사회’ 교과서는 첫째, 법 분야별로 구성되는 법학개론식의 체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교과서 내용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게 한다. 둘째,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난이도 조절의 실패로 인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의 성취를 어렵게 하였다. 셋째, 시대를 반영한 사회적 문제를 통하여 학습자가 법의식을 함양하고 다양한 법적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유도했어야 하나 청소년과 관련된 법의 열거가 부족했고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법률 서식의 부족 등의 문제점이 나타난다. 셋째, 집필진 4명 중 법학 전공자는 단 1명으로 전문성이 결여되었고 수업에 활용 가능한 법 지침서의 부족이 문제 되었으며 교과목 담당 교사의 능력을 함양 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첫째,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교과서의 적절한 분량이 조절되어야 하며 영역별 구체화된 법의 내용이 보충되어야 하겠으며 활용도가 높은 법률 서식이 추가되어야 한다. 둘째, 실제적인 현실을 반영한 교과서 내용 구성을 위해 청소년 문제에서의 법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법학 전공자 집필진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법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의 재정립과 더불어 지역사회 법 전문가 초빙하며 사회과 동일 과목 공동 연구모임의 활성화를 통해 현실성 있는 법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법교육의 방법은 사례연구법,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모의재판 등을 통해 법교육을 구체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법과 사회’ 교과서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정확하게 맞추어진 교과서라고 보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너무 많은 내용과 수많은 주제를 다루려다 보니 그 내용이 산만해지고 법교육 교과서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교육의 학습자들의 선택을 받고 민주 시민 육성을 위한 진지한 고민을 통해 결과물을 내 놓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작중인물 교육연구 : 염상섭의 『삼대』를 중심으로

        공미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소설의 인물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단순한 인물의 의미로 그치지 않는다. 학습자들은 소설을 읽음으로써 작중인물과 만나고 그들의 삶을 간접 경험한다. 이런 경험은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혀 나가고, 작중인물의 삶과 가치관을 동일시할 수 있다. 이는 소설 작품을 단순히 이해한다는 차원을 넘어서서 삶의 가치나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와 같이 작중인물 교육은 소설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의의를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며,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이러한 기능을 잘 수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Ⅱ장에서는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목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학교육의 목표와 소설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작품인 염상섭의 『삼대』의 인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봉건적 인물, 이중적 인물, 진보적 인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작중인물 교육의 모형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작품을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인물을 교육하기에 적합한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물교육의 여러 모형 중에서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여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본고는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인물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학습자들이 소설 작품을 즐겨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소설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데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고의 작중인물 지도 방안을 보충하고 새로운 지도 방안을 더 많이 모색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Characters teaching. Among those various fictions included in the textbook,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Third Generation" by Sang-Seob Yeom. This selection is suitable for teaching the character of the novel, has a very high educational effect. The Characters of a novel are not just simple characters in the novels. Learners can meet the characters and go through their lives by reading novels. Thanks to these experiences, they are able to widen an awareness of a world an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a life and value of characters of a novel. It has an importance in that learners can find the value and style of living beyond a dimension that they simply understand the work. Therefore, teaching the characters of a novel has a critical status in novel education. We should ensure of that meaning and need to guide for learners to accept the functions.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purpose of literature in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proposed a new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novel education. In chapter Ⅲ, I studied the characters of ‘Third Generation' by Sang-Seob Yeom which is included in current Korean high school textbook for the 10th grade. I analyzed the types which are based on feudal, hypocritical, and progressive. In chapter Ⅳ, I specifically presented a model of teaching on the characters of the novel which consists of before-reading, during-reading, and after-reading activities to be suitable to teach the characters. Also I made a method for applying a model to classes for the high school. This thesis has an aim to make a proposal on teaching characters of a novel for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nd to help realize the ultimate goal of the novel education. I hope that this thesis can provide assistance to further studies by adding and finding the new ways of teaching characters of a novel.

      • ICT를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활동 분석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을 중심으로

        심화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21st century is the information age, which allows us to learn extensively using new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quipmen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utilizing ICT has become essential not only in English class, but also in all other classes. Capability of making it easy to attract learners' interests and developing 4 linguistic skills naturally are advantages of utilizing ICT in class. Thus,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as guides of studying should include divers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to maximize learning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are suggested in the 2nd grade middle school through their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based on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find better alternatives to use ICT effectively in learning English. In this study, 6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for 2n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which are used in many middle schools in Daejeon, and examined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by following 3 criteria: First, define how many ICT application activities are contain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Second, define how many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are distribut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ird, define what kinds of skill-integration activities are present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textbook D has the greatest number of ICT application activities with 111 times, followed by the textbook B with 70 times. As for the activity books, the activity book D-1 has the highest frequency (103 times), followed by the activity book C-1 (95 times). Except the textbook A and the activity book A-1, all other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had ICT application activities for more than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there were 2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3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nd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Listening-writing tasks took the first place in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Listening-speaking-writing tasks were the second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listening-speaking tasks. Third, in listening-writing tasks of 2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listen and fill in the blanks', 'listen and fill the charts', 'dictation', and 'listen and correct the errors' were preferred. In listening-speaking tasks, 'listen and answer', 'listen and talk with a partner', 'listen and share one's own story', and 'discuss and share the project' were mainly presented. Fourth, Listening-speaking-writing tasks were the representative tasks of 3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They can be divided into 2 types: 'talk with a partner after listening and fill in the blanks' and 'write about discussion and share the ideas'. Fifth,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re 3.2% of total. Types of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re classified based on types of ICT media, which are the activity using internet and the other one using slides or video.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alternatives as followings: First, since every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contain some contents about other country's culture, they should provide them not only with content, but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searching activities through internet. As providing the information searching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h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websites to help them not to waste too much of time. Second,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should not be limited in using one specific equipment, like CD-ROM, but opened up for many other ICT equipments. Teachers should be able to make the best choice from various ICT equipments properly rather than being limited in one specific ICT equipment. Third, there is a need for a great variety in type of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in the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indispensible to include more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by providing diverse group works. Group works such as project and role play can make students communicate naturally and have confidence in English.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itable tasks which can do both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Running a website for the class or using the email will be effective for not only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developing ICT application ability. Based on these analyses, teacher's attention and effort are required to utilize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effectively. Teachers should use ICT equipments not imprudently, but appropriately t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4 linguistic skills effectively. 21세기는 지식정보화 사회로, 다양하고 참신한 ICT 매체의 활용을 통하여 광범위한 학습이 가능한 시대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영어 교과에 있어서도 ICT의 활용은 필수가 되었다. 영어 교과에서 ICT를 활용함으로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언어의 4기능을 통합 발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은 학습의 안내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여 다양한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을 제시함으로서 ICT 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교수-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이바지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 제시되고 있는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점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이에 대한 연구로 먼저 ICT 활용 활동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후에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기능 통합 활동들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6종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듣기 CD-ROM 활용에 치우쳐 있고 ICT 활용 코너를 마련하였더라도 ICT를 활용하는 과업을 제시하기보다 “~에 대해 알아보자”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ICT를 활용하여 기능 통합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구성 방안에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는 문화에 대한 코너를 마련하고 있는데, 문화 내용 학습 시 단순히 그 내용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화와 관련된 동영상을 제시하거나 그 문화와 관련된 것을 직접 검색 또는 경험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둘째,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한 자료 조사 활동을 제시할 때는 학습자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사이트 주소를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 정보가 제시가 되고 있지 않는 경우, 교사는 반드시 이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어려움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어야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 대체로 CD-ROM 활용을 통한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한 가지 특정 ICT 매체에 의존하기보다 교수-학습 상황에 맞는 적절한 ICT 기기를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ICT를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활동 분포에서 출현이 적었던 듣기와 읽기 통합 활동, 듣기, 말하기, 읽기의 통합 활동,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 활동의 빈도를 높여 언어의 균형적인 기능 발달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은 읽기 지문을 바탕으로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읽기 지문을 듣기, 말하기, 쓰기 활동과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서 학생의 4기능 통합적 발달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ICT를 활용한 4기능 통합 활동의 비중을 늘리고, 다양한 모둠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모둠 활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역할극을 진행함으로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고, 협동심을 발휘하며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다각적 사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여섯째, 교사는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ICT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실에서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학습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쓰기 활동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는 점에서 교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데, 학급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과제를 홈페이지에 개재하거나 이메일로 과제를 제출하게 한다면 쓰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학생의 ICT 소양 능력 기르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다. 이렇듯 6종 교과서와 학습활동책을 분석해봄으로서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이 학습자 중심에서 흥미롭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가 IC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ICT 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과업을 제시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언어의 4기능을 통합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성인대상 미술관 전시연계프로그램 현황 연구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조희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ettlement of five-day workweek and adults' desire for making good use of spare time & lifelong learning requir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role of art museum. Along with this, education personnel is being stationed at art museum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law for promotion of culture, art education, setting the educational role of art galler to face new times. The paradigm of art museum has changed from exhibition centered into viewers centered, and under such situation, the questions in what aspects those programs are connected with the exhibitions planned and offered by art museums to help the viewers for their understanding of exhibition, and with what education theory based system and teaching. learning method is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being planned, is truly a well-timed proposal on problems. Education connected with art museum has started in children centered way, and the way is extending toward teenagers gradually. But the reality is the insufficiency of the study on the practice & actual state of the programs for adults, the majority of viewers. With such perception, this researcher like to propose th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related with the exhibition at art museums for adults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tate of such program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museums. First, the idea and deployment of the art museum education were looked into and the changed educational function and importance of art museums were re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art museum-connected education was analyzed by arranging the related studies which have been fragmentarily argued till now, and the classification of museum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related with the exhibition at art museums. Then, the current state of exhibition-related programs for adults which are under way at home and aborad art museums. In the midst of the exhibition-related programs for adults conducted by many institutes show differences a little or a lot in education contents and forms, The US and the UK showed the commonness as follow. First, they are visitors centered programs. Learners are perceived as the existence of activ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rather than perceived as passive existence. Second, they are the programs as special experiences. They are carried on before or after the opening of art museums by a few personnel with experts' explanation in various forms of combining social gathering and participants' convenience. Third, they are based on education focusing exhibition. Large scale of special programs connecting exhibition with education are conducted along with exhibition putting general public in the center. The trait of domestic exhibition-related programs targeting adults is the activation of writing and writers' visiting studios, and recently, exhibition -connected programs are vitalized. Such analysis tells that the viewers acquire special experiences in the environment, art museums rather than information and learning from the program practiced at art museums, and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such experience set the viewers to revisit should be attended. The significance of such discussion is the proposal of the data on the contemporary status for the art museum educators. The study on the matters could offer suggestive poin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ograms for adult-targeted education at art museums, and it would be useful for the people in charge of art museum education in planning and developing adult-targeted program from now on. This researcher hopes the criticism on this writing would be contributiv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hereafter. 주 5일제의 정착과 성인들의 여가선용 및 평생학습에 대한 욕구는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의 제고를 요청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으로 미술관에 교육인력이 배치되면서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미술관의 패러다임은 전시중심에서 관람자 중심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미술관이 전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제공하고 있는 전시연계프로그램들은 과연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가, 또한 미술관 교육은 어떠한 교육이론적 체계와 교수방법론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시의적절한 문제제기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미술관 교육은 어린이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왔으며, 점차 청소년에게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람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성인에 대한 프로그램의 실시 및 실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미술관의 특성에 맞는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해 봄으로써 성인대상 미술관 전시연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먼저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전개를 살펴보고 변화된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중요성에 대해 재고하였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논고되었던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여 미술관 교육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류와 미술관 전시연계교육의 개념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미술관에서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각 기관의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은 교육내용과 형식면에서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이는데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관람자 중심의 프로그램이다. 학습자를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프로그램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별한 경험으로서의 프로그램이다. 미술관 개관시간 이전 또는 이후에 전문가의 작품설명과 함께 소수의 인원으로 진행되며 사교 혹은 참가자의 편의를 결합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교육중심의 전시가 바탕을 이룬다. 대규모의 전시연계교육 특별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일반대중이 중심이 되는 전시회를 진행한다. 국내의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은 글쓰기와 작가 스튜디오 탐방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최근 전시연계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오늘날 미술관 프로그램에서 관람객이 얻는 것은 더 이상 정보와 학습이 아니라 미술관이라는 환경에서의 특별한 경험이며 그러한 경험의 질이 관람객을 다시 방문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는 미술관 교육자들을 위한 동시대 현황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대한 연구는 성인대상 미술관 교육의 한국적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미술관 교육 담당자들이 성인대상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작업을 하는데 있어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고의 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들이 발전적으로 개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