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러닝 연구동향과 학습효과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김득준 이러닝학회 2019 이러닝학회 논문지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이러닝과 학습효과와의 관계성을 메타 분석함으로써 이러닝의 적용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이러닝을 통한 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긍정적인 결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평균 효과크기(Mean ES=.301)는 다소 작은 것으로 보이며, 학습자 배경변인과 이러닝 환경변인 측면에서 이러닝의 학습효과를 살펴보면 환경적 요인이 학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n e-learning in Korea and meta-analyze relations between e-learning and its effectiveness with an eye o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Overall effectiveness of learning through e-learning proved positive, but the mean effect size was somehow small (Mean ES=.301). When e-learning’s effectiveness was studied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e-learning environmental variables, the latter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 아세안 대학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및 수업 운영 사례

        박종선 이러닝학회 2015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2011년부터 현재 진행되고 있는 ACU프로젝트 중에서 CLMV 회원대학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수업 운영과정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ACU프로젝트에 참여하는 CLMV 회원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이러닝 콘텐츠는 현재 40개 과목이며 자체 학점과정으로 운영되는 이러닝 기반의 블랜디드 수업은 84개 과목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CU프로젝트에서 CLMV 회원대학이 체계적으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2단계 방안과 이러닝 수업운영을 지원하는 방안을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2016년 트렌드로 분석해 본 이러닝의 현재와 미래

        허원 이러닝학회 2016 이러닝학회 논문지 Vol.1 No.1

        2016 년의 이러닝 트렌드를 조사해보면 몇 가지의 공통 키워드가 발견된다. 이러한 이러닝의 키워드는 기술적인 발전, 사회적 변화, 그리고 전 세계적인 교육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6년에 언급된 이러닝 트렌드들을 기반으로 이러한 것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며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설명해 보고자 한다. A survey of e-learning trends in 2016 reveals some common keywords. These e-learning keywords are influenc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social change, and the global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paper, I will try to explain how to apply, implement them in actual education field.

      • 유아교육기관의 E-Learning 활용이 유아의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 기본생활습관을 중심으로

        정영심 이러닝학회 2017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8 No.2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기본생활습관을 주제로 이러닝 앱을 활용하여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교육활동을 실시하였을 때와 일반 그림 자료 등의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교육하였을 때를 비교 관찰하였다. 두 집단의 유아들을 일반 그림 등을 활용한 일반 교수자료와 이러닝 앱을 통해 기본생활습관 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행동반응을 관찰하였다. 두 집단 중 이러닝 앱을 활용한 집단의 유아들이 교육활동의 집중과 학습효과를 보였으며 기본생활습관 학습을 행동으로 실천하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 이러닝 환경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교 연구

        한금주,손진곤 이러닝학회 2016 이러닝학회 논문지 Vol.1 No.1

        온실 가스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 등 범지구적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축하는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교통수단을 활용해야 하는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ICT 기술을 활용하는 이러닝 환경으로 변환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두 학습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된 요소를 정하였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각각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에 따르면 이러닝 환경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면대면 학습 환경에 비해 5.7배 감축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started with a hypothesis that CO2 emission could be reduced if we transform learning environment from the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 needs transportation to e-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 does not need transportation but only ICT devices. In this paper, we have selected major factors of CO2 emissions and calculated CO2 emissions from each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e-learning environment can reduce total amount of CO2 emission as much as 5.7 times than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이러닝 시스템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 활용에 대한 연구

        강신영,박지수,손진곤 이러닝학회 2017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8 No.2

        최근 정보통신(IT)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교육인 이러닝 시스템은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습득된 지식은 여러 학습사이트, 소설 네트워크 등을 통해 공유되고 확대 재생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시스템의 학습활동을 통해서 생성된 자료들이 주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이러닝 시스템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 한지공예 학습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설계

        김은수,손진곤 이러닝학회 2016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7 No.1

        최근 이러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다변화 하면서도 한지공예의 한 부분인 지승공예의 이러닝 콘텐츠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 맥을 잇는 지승공예의 이러닝 콘텐츠 설계를 위한 학습자 설문조사를 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러닝 콘텐츠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 해외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석을 통한 이러닝콘텐츠개발 NCS 활용 방향 고찰

        김자미 이러닝학회 2016 이러닝학회 논문지 Vol.1 No.1

        본 연구는 해외의 NCS 개발 및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해 이러닝콘텐츠개발 NCS의 활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미국, 영국, 독일 등의 NCS 개발 및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이러닝콘텐츠개발 NCS의 개발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닝콘텐츠개발 NCS는 2014년 개발되었고, 2016년 수정 보완되었다. 보완의 과정에서 교수설계 능력단위가 포함되었다. 콘텐츠개발과 교수설계가 전혀 다른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NCS 세분류에 묶인 것은 KECO의 오래된 분류체계에 근거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NCS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며, 활용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utilizing NCS for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by analyzing overseas NC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we analyzed the cases of NC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the US, the UK and Germany. Second, we analyzed the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NCS for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NCS for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were developed in 2014,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2016. In the process of supplementation,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y units were included. Although contents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design are completely different areas, they were included in one NCS subcategory. We proposed that it was based on the old classification system of KEC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we not only showed that NCS development is important, but also provided a clear direction with regard to how they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 준·고령자의 스마트기기 기반 이러닝 인식 조사

        윤송이,김용 이러닝학회 2015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6 No.1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이러닝의 스마트기기 기반으로 확대에 영향을 끼쳤으나, 준·고령자 대상의 연구 및 개발은 미미하다. 이에, 준·고령자의 인식조사를 통해 준·고령자 대상의 스마트기기 기반 이러닝 개발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기기 기반의 이러닝을 할 경우 시간관리 및 혼자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고, 준·고령자 전용 과정 개발 희망 및 컴퓨터 등 정보화 학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활성화되고, 준·고령자의 이용률 향상에 기여하길 바란다.

      • 마이크로 러닝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

        박야성,김용 이러닝학회 2016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7 No.1

        이러닝 콘텐츠는 보다 작고 짧은 형태로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상호작용이 가능하면서 크기도 작고 시간도 짧은 콘텐츠를 빠르게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논문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상호작용을 통해 제작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방안을 마이크로 러닝 콘텐츠와의 유사성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이크로 러닝 콘텐츠는 제작의 편리성과 수정 및 보완이 용이함을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 저작도구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