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검사(劒士)의 문학적(文學的) 형상화(形象化)에 대한 고찰(考察)

        조혁상 ( Cho Hyuk-sang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본고에서는 검술에 능통한 武臣과 義俠, 그리고 劒僧의 일화를 중점적으로 소개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면서 그 안에 나타난 劒士의 문학적 형상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劒士의 劒은 기본적으로 나라를 지키는 護國劒과 正義로움을 행하는 義劒이라는 두 가지 의상을 지니며, 이러한 면모가 드러난 刀劍文學 작품은 刀劒과 國防意識, 그리고 刀劒과 義俠心의 상관관계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한 작가의식의 산물이라 단정지을 수 있다. 또, 검사가 僧侶일 경우에는, 호국검과 의검의 의상과는 별개로 隱逸者의 孤劒과 惡人의 邪劒적인 의상이 표출된다. 한편, 기타 검사들의 경우에는 復?의 화신인 검사의 형상이 부각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소개한 여러 야담 및 傳에서 懲罰者인 무신 및 의협에게 징벌당하는 악인의 유형은, 奴僕·盜賊·乾達·僧侶 등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한다. 심지어는 사람이 아닌 존재인 악한 鬼神까지도 등장하여 무인에 의해 징벌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검사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의 여러 면모를 총체적으로 검토해보면, 검술 자체보다는 검술을 행하는 검사에 대한 형상화에 초점을 맞추는 문학적 시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부분은, 검이라는 기물 자체의 성능보다는 검의 소장자와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검의 가치를 결정했던 조선시대 士人들의 보검에 대한 관념과도 일맥상통한다. 이같은 점이 바로 도검을 소재 및 제재로 사용하는 조선의 도검문학이 지닌 공통적 관념이라 정의내릴 수 있다. This paper shows various kinds of storeis about Korean traditional swordsmen(劍士) during JoSeon dynasty. Some of generals, military officers (武臣), and chivalrous fighters used swords. Most of their swords had two images - the patriotic guardian sword(護國劒) and the justice sword(義劒). These two images are reflected in the Sword literature(刀劍文學), which shows the link between the sword and patriotism and the link between the sword and justice. In addition, some of the monks also became a swordsman(劒僧). Most of their swords had two images - the sword of loneliness(孤劒) and the sword of evil(邪劒). Sometimes, these swordsmen became the punishers(懲 罰者) or the avengers(復?者) who are fighting for revenge. Typical enemies of the korean swordsmen were bad servants, thieves, gangsters and wicked monks. The swordsman literature not just focuses on sword fighting skills but also on the swordsmen themselves. These ar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word Literature.

      • KCI등재

        江海 張心學 한시의 刀劍意象에 대한 고찰

        趙赫相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9

        江海 張心學(1804~1865)은 49세에 武科에 급제, 五衛將ㆍ摠戎將ㆍ同副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1862년(철종 13) 通津府使에 제수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본디 文官을 지향하여 누차 文科에 응시했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武科에 응시하여 급제한 다음 무관으로서 여생을 보내게 되었으며, 자신이 문관이 되지 못하고 무관이 된 처지에 대해 글을 통해서 자주 비통함을 드러냈었다. 이러한 장심학이 저술한 『江海文集』 1~3卷에는 수많은 한시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장심학의 文武兼全을 상징하는 刀劍意象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종종 보인다. 장심학의 도검 소재 한시들은 문학적 소양을 갖춘 무반의 도검문학작품이 어떠한 형태로 창작되었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주며, 조선말기 도검문학작품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끔 하는 좋은 예시가 된다. 본고에서는 우선 장심학의 생애와 그 행적을 검토하고, 장심학의 한시에 나타난 刀劍意象의 유형과 실체를 자질의 상징, 무관의 기물, 비장미의 표상, 문무겸전, 기타 등 5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서, 우리는 조선말기 문무를 골고루 갖춘 사대부 장심학의 도검문학작품이 지닌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Zhang SimHak(江海 張心學) passed in the MuKwa(武科: the military service exam) at 49 years old in 1852. He served as a OuWiJang(五衛將), a ChongYungJang(摠戎將), a DongBuSuengJi(同副承旨), and a TongJinBuSa(通津府使). At first he wanted to pass in the MunKwa(文科: the civil service exam), but he failed several times. After he passed the MuKwa(the military service exam), he served his whole life in the military service as an officer, during that time he wrote many poems of a painful heart because of failing the MunKwa exam. Especially he wrote some poems about Sword Imagery(刀劍意象). These poems show various form of Sword Imagery, and symbolize MunMuKyumJun(文武兼全).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deeds of Jang Sim-hak, and divides the types and reality of sword imageries shown in the poems of Jang Shim-hak into five categories.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confirm the true nature of the sword literature of Jang Sim-hak, who had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 KCI등재

        조선후기 도검(刀劒) 소재(素材) 과거(科擧) 답안(答案) 사례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검책문(劒策問)」과 「검대책문(劒對策文)」을 중심으로-

        趙赫相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3

        조선의 과거제도는 500여 년간 조선 정부의 주도 하에 실시되었으며, 科擧試驗을 통해 수많은 관인들이 배출되었다. 그런데 과거시험 문제의 다양한 양태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도검을 소재로 한 극소수 과거시험 문제와 답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호란을 전후로 한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劒策問」과 「劒對策文」이 바로 그것이다. 「劒策問」은 과거시험에서 考官인 執事가 시험 응시자인 擧子들에게 劒에 대해서 질문한 글이며, 「劒對策文」은 「劒策問」의 질문에 대한 書生의 답변이다. 집사가 제시한 각종 도검과 도검 사용자에 관한 질문에 대해, 서생은 각종 典故와 用事를 화려하게 구사하여 이에 대한 답을 정리하였다. 「검책문」과 「검대책문」은 각종 도검관련 전고와 용사를 십분 활용한 刀劒文學작품의 바람직한 사례가 되기에, 조선시대의 도검문학 작품 연구에 있어서 타작품을 분석할 때 많은 참고가 되는 글이다. 그리고 「검대책문」에서 검 자체보다는 검을 사용하는 주인에 더 비중을 두는 특징은, 여타 문체의 도검문학 작품들에서도 수도 없이 나타난다. 검이라는 무기는 결국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일 뿐이며, 그 사람이 누구인가 하는 점이 더 중요한 것이다. The examination system of Joseon was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oseon government for more than 500 years where numerous officials were produced through various kinds of the public office examination[科擧試 驗]. However, in the process of examining various patterns of policy questions, we identified a few policy questions and answers based on the Sword[刀劒]. These are the author's unknowns of 「GumChaekMoon(劒策問)」 and 「GumDaeChaekMoon(劒對策文)」,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period after the Horan(胡亂: the Qing Dynasty’s invasion of Joseon). 「GumChaekMoon(劒策問)」 is an article in which the public office interviewer[考官, 執事] asked questions about the Sword and Swordmen to the public office applicants[擧子] in the tests, and GumDaeChaekMoon(劒對策文)」 is an answers to the questions of 「GumChaekMoon(劒策問)」. In response to the questions asked by the interviewer about various Swords and Swordmen, Seo-saeng(書生: scholar) summed up the answers by using various maxims about deceased swordmen and scholars. 「GumChaekMoon(劒策問)」 and 「GumDaeChaekMoon(劒對策文)」 are desirable examples of Sword literature, which is a useful reference for analyzing other works in the study of Sword literature[刀劒文學]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In addition, the emphasis on the sword owners over a sword itself is shown in many other sword literatures; after all, the sword is just a tool of man, and more important thing is who is the owner.

      • 조선조 검무(劒舞)의 무술적(武術的) 성격에 대한 고찰

        조혁상 ( Cho Hyuk-sa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09 한국무용사학 Vol.10 No.-

        검무(劒舞)는 검(劒)을 들고 추는 춤이다. 이러한 검무는 본디 살인(殺人)을 위한 무술(武術)인 검술(劒術)에서 출발하였으나, 조선시대까지 전승되는 동안 검무는 무술 자체가 아닌, 무술적인 요소를 간직한 춤으로 정형화되었다. 조선조(朝鮮朝) 기녀 검무(妓女 劒舞)의 원형인 황창랑 검무(黃昌郞 劒舞)는, 신라의 어린 자객인 황창랑이 추었던 검무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러한 황창랑 검무의 원형은, 기본적으로 편수검(片手劒) 두 자루를 이용한 쌍검무(雙劒舞)이다. 신라의 환두대도 유물이 거의 대부분 편수검이라는 점과 황창랑 검무가 쌍검무였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삼국시대 신라에 편수검 두 자루를 쌍검으로 사용하는 무술인 쌍검술이 분명 존재했었고, 그러한 무술적 경향이 황창랑 검무에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황창랑 검무가 시대의 변천에 따라 기녀 검무로 정착되면서, 검무의 목적 또한 무술수련의 방편에서 공연무용 그 자체로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검무가 가지는 본래의 무술적 성격은 검무의 기예에 그대로 남아있었으며, 이는 한국검술의 전통적인 쌍검문화를 반영하는 증거가 된다. 이러한 기녀 검무는 주로 조선의 검무시(劒舞詩)에서 그 형상이 문학적으로 묘사되었고, 이를 통해 우리는 당시대의 검무가 어떠한 무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조선조의 기녀 검무 중 검무의 무술적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것은 밀양검무이다. 밀양권번 출신의 기녀들에게 검무를 사사 받은 김은희가 밀양검무의 검기를 다시 소도(小刀)로 바꾸고, 박제가의〈검무기 (劒舞記)〉를 바탕으로 18세기 당시 밀양검무의 동작 일부를 복원하면서 밀양검무는 그 면모를 일신하게 되었다. 이러한 밀양검무의 동작은 검을 이용한 공격이 주가 되는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검무에 비해서 검술에 좀 더 가까운 형상을 간직하고 있다. Geommu, known as a korean traditional sword performance has been established for a thousand year. Basically, it was originated from a swordsmanship and has been standardized as a taditional dance in Joseon dynasty. Especially, HwangChangnang`s Geommu(황창랑 검무) which is based on the original form of Kinye-Geommu of Joseon, was developed from the dance of young assassin, HwangChangnang in Shilla dynasty. The original form of HwangChangnang`s Geommu has a basis on a Double Sword Dance (DSD) with two One Hand Swords. For instance, most of WhanDuDae-Do(환두대도) in Shilla dynasty was a One Hand Sword, and HwangChangnang`s Geommu was a DSD. This indicates that sword fighting skills with a Double Sword was existed in Shilla dynasty, and it was reflected to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about HwangChangnang`s Geommu. As HwangChangnang`s Geommu was transferred to KiNye-Geommu, the purpose of Geommu has also changed from a martial arts training to a dance performance. Howeve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about Geommu was still remained as sword dance skills, and it represents the traditional korean double sword culture. A detailed description of KiNye-Geommus can be found in a korean heritage, Geommu Poem. Throughout this, we can have a bettter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based on the Geommu in Joseon dynasty. Milyang Geommu(밀양검무), which has been descended till now, demonstrate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onal martial arts. Kim Eun Hee, who has researched for many years on the history of Milyang Geomm; from Ki Nyes of Milyang Kwon-Bun(KiNye federation) changes the sword of Geommu to So-Do(a dagger), and re-estalishes the 18th Geom-Mu skills which based on < GeommuKi >(검무기) of Park Je-Ka. Milyang Geommu`s skills are quite aggresive and similar to a real swordsmanship compared to the other generation of Geommus.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조선후기(朝鮮後期) 도검문학(刀劒文學)의 비장미(悲壯美)에 대한 고찰(考察)

        조혁상 ( Hyuk Sang Cho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古來로부터 刀劒은 강인한 힘 그 자체를 상징해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나이라면 본능적으로 희구하는 강함에 대한 意想을 가장 응축적으로 담고 있는 무기가 바로 도검인 것이다. 조선의 사대부는 이러한 도검에 대한 미학적 감수성을 문학적 형상화의 과정을 통해 재구성하여, 도검을 중요 소재 및 제재로 하는 ``刀劒 文學``을 창출하였다. 도검 문학을 창작한 조선시대 사대부에게 있어서 도검은 과연 어떠한 의미를 지닌 기물이었는가? 사대부에 의해 창작된 도검 문학에서 도검은 일차적으로 人命殺傷用 冷兵器로서의 본원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문학적 형상화의 과정을 통해 정의를 추구하는 사대부의 정신을 상징하는 義劒으로서 그 존재감을 강하게 드러내기도 하고, 心身修養의 器物인 修養劒·惡獸와 妖鬼를 물리치는 피邪의 神物인 神劒으로서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문학적 형상을 지닌 도검은 사대부 자신의 剛直한 義氣를 투영하는 대상물로 도검 문학 속에서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도검 문학 속의 도검은, 때때로 작품의 悲壯美를 부각시키는 장치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敵을 擊滅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닌 도검은, 도검문학의 주인공이 처한 비극적 상황을 타개할 수 없을 때 劒匣 속에서 悲痛함을 표현하는 龍吟을 토해낸다. 그리고 좌절한 주인공이 부질없이 칼을 쓰다듬는 撫劒의 모습에서도 비통함의 情調가 드러난다. 도검문학 속에서 드러나는 이와 같은 비통함은 도검문학의 비장미를 간접적으로 노출시킨다. 비통함이 담긴 비장미가 때로는 도검문학 작품 속의 도검 형상을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도검을 휘두르고 화살을 날리며 적과 맹렬히 싸우던 영웅적 사대부가 刀折矢盡의 상황에 맞닥뜨리게 되어 戰場에서 壯烈히 戰死하는 순간, 부러지거나 팽개쳐진 도검은 곧 사대부 자신의 좌절 그 자체를 의미한다. 강직한 義氣가 賊의 凶劒으로 인해 꺾여버린 것이다. 그러나 이는 죽임을 당하는 순간의 좌절일 뿐 그 의기가 결코 스러지지는 않았음을 독자가 알기에, 그에 대한 안타까운 감정이 극대화되면서 비통함을 공감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작품의 비장미를 더더욱 느끼게 된다. 이러한 비장미는 검무시 속에서도 발견된다. 부친의 원수를 갚기 위해 검무로 백제왕을 암살한 후 도륙당한 黃昌郞을 다룬 황창랑 검무시는, 소년 영웅이었던 황창랑의 기개를 중국의 협객과 비교하여 칭송하면서 동시에 아들을 잃은 황창랑 모친의 痛恨도 아울러 그려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17~18세기 조선의 도검문학에서 나타나는 비장미의 문학적 형상화에 주목하였다. 도검 문학 속의 비장미가 지닌 미학적 면모를 조명하는 본고의 작업은 조선조 도검 문학의 미학적 실체를 정립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Since ancient times, the sword has been a representation of strong power.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swords have communicated the image of strength and power, the ideals that a brave man desires instinctually. SaDaeBu(士大夫), The ruling aristocracy of the Joseon Dynasty, reconstructed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the sword by the process of literary imagery to make a ``sword literature(刀劒文學).`` There are three major images involving the sword in korean literature: ShinGeom(Amulet Sword for averting evil), UiGeom(Sword of justice), and SuyangGeom(Sword that improves spiritual culture). These sword images, which reflect the upright and chivalrous spirit of SaDaeBu, sometimes highlight the tragic beauty of sword literature. In examining this literature, We see a powerful sword that can destroy evil enemies, but lacks the ability to overcome the tragic situation of the sword literature`s hero, is seen to roar like a dragon(龍吟) to express bitterness from within its case. We see a scene, where a discouraged hero is stroking the sword(撫劒), which is a symbol of the hero`s tragic situation, and shows the feeling of pathos. This kind of feeling about pathos in korean sword literature, exposes tragic beauty indirectly. Sometimes tragic beauty, including pathos, is exposed directly in the shape of a sword within the sword literature. The heroic SaDaeBu, who brandished a sword and shot arrows against his enemies untill all of his arrows were spent, dies in a battlefield grasping a broken sword. A broken sword represents the frustration of the heroic SaDaeBu. But, the frustration was only at the time of his death, his spirit never fades away. Tragic beauty is also found in Geommu Poetry(劒舞詩). Most of all, the HwangChangnang Geommu Poem(黃昌郞劒舞詩) generally extols HwangChangnang`s courage(it is often compared with that of Chinese Heros) and his sword dance skill(he was the famous boy assassin in Silla Dinasty period, who repeatedly stabbed his victim, after he assassinated the king of Baek Je). The HwangChangnang Geommu Poem also described HwangChangnang`s mother`s sadness at the death her child. In 17th and 18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e sword is represented in a variety of symbolic images. This paper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sword imagery that convey tragic beauty. It would be a departure point of study to establish the aesthetic form of a sword literature.

      • KCI등재

        계찰괘검(季札掛劍)의 본의(本意)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해검현묘론(解劒懸墓論)」을 중심(中心)으로 -

        趙赫相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7

        季札掛劍은 中國 春秋時代 때 吳나라 公子 계찰이 서나라 임금의 무덤가 나무에 검을 걸어놓고 떠난 일화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계찰이 上國으로 사신 행차를 가는 도중 徐國을 지날 때, 서나라 임금이 계찰의 검을 보고 소장하기를 원하였으나, 계찰은 사신으로서 중원의 각 나라를 검을 차고 방문해야 했기 때문에 검을 바치지 않았다. 그 후 계찰이 임무를 완수하고 다시 서나라에 도착하자 이미 서나라 임금이 죽었기에, 이에 계찰은 서나라 임금에게 검을 주고자 했던 본래의 자기 뜻에 따라 보검을 풀어 무덤가 나무에 걸어놓는다. 이 이야기는 信義의 象徵으로서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회자되었다. 久堂 朴長遠(1612∼1671)의 『久堂先生集』 第16卷에 실린 갑술년(1634) 별시 대과 초시 합격 답안[甲戌別試初試入格]인 「解劒懸墓論」에서는 이러한 계찰의 괘검 행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박장원의 글은 季札의 掛劒이 지니고 있는 심층적 의미를 분석하여, 괘검을 단순히 신의의 상징으로만 파악하는 일차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괘검이라는 행위의 파급효과마저도 계자의 계산속에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박장원은 계찰이 이러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掛劒이라는 행위를 실천하여 서나라 군주와의 우정을 표하고, 약속에 대한 신의를 보여 揚名하였으며, 吳君으로부터 왕위를 원한다는 혐의를 피하겠다는 목적까지 달성하였다고 보았다. 이것이 바로 계찰괘검의 본의이며, 이를 통해 계찰이 오군의 오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암살의 위협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었다고 박장원은 통찰한 것이다. JìZhá’s hanging sword(季札掛劍: JìZháGuàJiàn) is an idiom that refers to the event in which JìZhá(季札) hung his sword on a tree near the tomb of the king of XúGuó(徐國). When JìZhá passed through XúGuó on his way to the ShàngGuó(上國) as an ambassador, the king of XúGuó wanted to have the JìZhá's sword. But JìZhá did not offer his sword because he had to visit each country with the formal-dress sword. When JìZhá completed his mission and arrived in XúGuó, the king of XúGuó already died. Then, JìZhá unpacked his sword according to his original wish to give it to the king of the XúGuó, and hung it on a tree near the king’s tomb. This story has long been talked about by people as a faithful behavior. KuDang Park Jang-Won(久堂 朴長遠: 1612-1671) wrote 「the Editorial of Hanging Sword on the Tomb(解劒懸墓論)」 in 1634 as the answer sheet of the special great national examination, he explains in detail about the act of the hanging sword of JìZhá in these articles. Park Jang-Won's article analyzes the meaning of the hanging sword, revealing that even the ripple effect of the act of the hanging sword was in JìZhá’s calculation, away from the common view of identifying the sword as just a symbol of good faith.

      • KCI등재

        조선의 신검(神劍)에 대한 고찰 - 도검문학작품(刀劍文學作品)과 현존(現存) 유물(遺物)을 중심으로 -

        趙赫相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6

        朝鮮의 神劍은 怪力亂神과 惡獸를 刺殺하는 辟邪의 劍이다. 이러한 신검은 그 製作法부터 神異함을 지니며, 그 효능에 있어서는 怪獸와 鬼神, 妖怪 등을 제거할 수 있기에 조선왕실에서는 신검의 일종인 寅劍을 대량으로 제작하였고, 아울러 민간에서도 벽사검의 성격을 지닌 다양한 신검을 주조했었다. 신검의 유형을 살펴보면, 寅劍과 辰劍, 龍虎劍, 七星劍 및 기타 도검 등이 있었는데, 형태상으로 궁중의 대형 인검류처럼 살생에 사용하기 불가능한 외형을 지닌 신검도 있었고, 실전용 長劍이나 環刀, 短刀의 형상을 지닌 신검도 있었다. 조선 왕실에서는 정기적으로 수많은 재화를 들여 신검인 인검을 대량으로 제작하였고, 민간에서도 인검과 기타 신검들을 제작 및 소지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시대의 벽사에 대한 관념적 사유가 어떠한 방식으로 실제 역사에 실체화되었는가 하는 점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조선의 신검이 어떠한 기물인지 알아보기 위해 도검문학작품과 유물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선왕조실록』의 각종 인검관련 기사들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조선 도검유물의 사진을 수록하였다. 그리고, 조선후기 도검제작법인 「造劒式」과 黃胤錫의 「淸道郡産寶釼」을 인용하여 신검의 제작방법을 알아보았으며, 또 신검의 실체와 효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서 林昌澤의 「龍虎劒銘 幷序」, 張維의 「古意星名體」, 황윤석의 「청도군산보검, 兪彦鎬의 「三寅劒贊」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Holy sword(神劍) of JoSeon(朝鮮) can slice evil power, ghost, and monsters. This sword, which is made by a special way of blacksmith skill, contains a extraordinary ability to kill demons. Kings of JoSeon Dynasty ordered people to make holy swords, and some blacksmith also made a unique holy sword. There are various kinds of Korean holy sword - In-Geom(寅劍), Jin-Geom(辰劍), dragon tiger sword(龍虎劍), and seven stars sword(七星劍). These swords had a shape of long sword(長劍), hwando(環刀), dando(短刀). These swords were introduced in Sword literatures(刀劍文學), so we can read some stories about these holy swords and understand the power of holy sword in the true sense. This paper shows articles of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and real antique Korean swords pictures, method to making holy sword produce 「Method of making a sword(造劒式)」, also some Sword literatures(刀劍文學): LimChangTak(林昌澤)’s 「Dragon Tiger Sword Maxim(龍虎劒銘)」, JangYoo(張維)’s 「Old meaning poem about the name of stars(古意星名體)」, HwangYounSuk(黃胤錫)’s 「Special Sword of ChungDoGoon(淸道郡産寶釼)」, YooUnHo(兪彦鎬)’s 「Admiration of the SamIn-Geom(三寅劒贊)」.

      • KCI등재

        조선중기 도검(刀劍)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일연구(一硏究) - 16~17세기(世紀) 초엽(初葉) 한시(漢詩)를 중심(中心)으로 -

        조혁상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5

        조선중기의 刀劍文學은 조선후기의 도검문학에 비해서 주로 한시를 중심으로 창작되는 편향성을 보인다.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조선중기 작가들의 작품 중에서 劍을 소재로 한 시만 검토해보더라도, 무려 2,289수 가량이나 되는 한시 작품들이 상존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작품들의 작가군의 유형은 文臣·武臣·一般 士大夫가 절대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간혹 여항문인의 한시나 검에 관련된 僧侶들의 禪詩들이 보이기도 한다. 특히 16세기 말기에 이르러서는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의 전란으로 인해 상기 작가군의 유형에 士大夫 義兵將과 義兵, 僧兵將 등이 더해지게 된다. 그리고 국난 극복의 의지가 투영된 護國劍의 意想이 전란체험을 겪게 된 작가들의 작품 속에 더욱더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문집총간 전체 중 ‘劍’에 관한 검색 결과에서 도검문학에 대한 자료의 분포 양상을 추출하기 위해 <16세기 작가별 ‘劍’소재 도검문학작품 분포표>를 작성하였고, 본 분포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각 문집에 수록된 226명의 작가별 작품 검색결과의 수량을 전체작품수(3,081)와 한시작품수(2,289)로 분류하였다. Korean Sword literatures(刀劍文學) of th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show the tendencies of creating Chinese poetry about Sword. 2,289 poems about sword are the colle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of the 16-17th SaDaeBu(士大夫) still remains now. These SaDaeBu includes civil officials(文臣) and military officers(武臣) and others who didn’t serve in the public service(一般 士大夫). And there were other small groups of writers of Korean Sword literatures, lower-class people and monks. Especially, in the late 16th century, because of the ImJinWheRan(壬辰倭亂), Righteous Army leaders(義兵將), Righteous Army soldiers(義兵), and Monk Army leaders(僧兵將) also became the sword literature writers. In addition,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Korean Sword literatures, this study creates a typology of the 16th century sword literatures, classifying the works of 226 writers into Chinese poetry and others.

      • KCI등재

        팔공산진시□(八公山陣詩)의 도검의상(刀劍意象)에 대한 고찰

        趙赫相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5

        丁酉再亂 중 1597년(선조 30) 9월 22일, 의병장 樂義齋 李訥(1569~1599)은 大邱 八公山에서 왜군의 기습으로 전투를 벌이던 중 왼팔에 적탄을 맞았다. 상처의 피가 발뒤꿈치까지 흘러내릴 정도의 심각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고통을 참고 전투를 지휘하여 마침내 적을 무찌른 이눌은, 부상의 고통에 신음하며 「在公山陣爲賊丸所中呻吟賦詩」를 지었다. 이눌의 이 시에 뒤이어 수많은 의병장과 義士들이 총 52수의 시를 남겼는데, 이 시들이 실린 시축을 八公山陣詩, 줄여서 公山詩이라 한다. 이 중 도검의상이 나타나는 작품들이 총 17수가 있고, 李坰의 「書公山詩後」 뒤에도 李宜潛의 1수가 추가되어 있는데, 조선중기의 도검문학 작품 중 의병장이 부상을 입고 신음하며 도검의상이 드러난 시를 남기고 다른 의병장과 의사들이 이에 호응하여 도검의상이 표현된 시를 지은 사례는 매우 희귀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팔공산진시축의 한시에서 나타나는 도검의상들은, 냉병기가 난무하던 정유재란 당시의 전장 상황을 떠올리게 함과 동시에, 의병장의 용맹과 힘 그리고 가열찬 애국심과 忠君의 정신을 아울러 담고 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또한 의병장의 부상에 대해 다른 의병장들이 시를 지어 위로하는 문화가 전장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시어 안에 검이 종종 등장한다는 사실은, 조선의 사대부들이 지녔던 文武兼全의 정신이 刀劍意象詩語에 의해 문학적으로 표출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On September 9th, 1597, during JungYuJaeRan(丁酉再亂), Lee Nool(李訥), who was a Righteous Army leader(義兵將), was wounded on the left arm by the Japanese enemy's bullet in PalGongSan(八公山) of DaeGu(大邱). Despite pain and blood shed from a wound, he led a Righteous Army of PalGongSanCamp to the victory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After the end of the battle, Lee Nool wrote 「the poem of painful groan because of gunshot wound in PalGongSanCamp(在公山陣爲賊丸所中呻吟賦詩)」. Following this poem, many righteous army leaders and warriors wrote 52 poems, which were put in a PalGongSanCamp poem-scroll(八公山陣詩)or GongSan poem-scroll(公山詩). 17 poems in this scroll and another 1 poem contained the Sword Imagery(刀劍意象). In the Middle Joseon Dynasty(朝鮮中期), it was very unique example about these poems of sword for the consolation to Righteous Army leader(義兵將)’s pain of a wound. Sword Imageries(刀劍意象) of PalGongSanCamp poem-scroll(八公山陣詩) showed the scene of battlefield with cold steels during JungYuJaeRan(丁酉再亂), and also represented the braveheart, power, patriotism, and a sense of loyalty of Righteous Army leaders(義兵將). Poetic diction of Sword Imagery(刀劍意象詩語) of PalGongSanCamp poem-scroll(八公山陣詩) hold up a true mirror to the SaDaeBu(士大夫)’s spirit demonstrating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文武兼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