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라신화(耽羅神話)에 보이는 여성성(女性性)의 역사문화적 의미

        전영준 ( Jeon Young-joon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6 동국사학 Vol.61 No.-

        제주의 문화자산으로서 신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재평가의 움직임은 다양한 탐라신화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가 당연한 자연법칙처럼 믿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격적이라 할 만큼 탐라신화에는 지혜롭고 강인한 여성상이 등장하며, 이들에 대해 주목하는 최근의 연구는 제주 사회의 구성요소에 대한 본질적 탐구라 할 만하다. 제주도의 독특한 종교문화는 열악한 제주여성들의 삶의 정황에 기인한 것이다. 絶海孤島의 지리적 제한, 척박한 자연환경과 어려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제주여성들은 집안일, 밭일, 바닷일에 더해 사회적 역할까지 감내해야 하는 고난의 삶을 살아내야 했다. 삶을 위협하는 자연의 변화에서 생명 보존과 풍요에 대한 강한 염원은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신앙과 敬畏로 표현되었다. 다양한 성격의 신화와 공간이 창출되었고, 신앙 공간의 주된 행위자는 척박한 제주 사회를 이끌었던 여성이라는 점이다. 장기간에 걸친 여성 우월적인 문화패턴이 인류역사 초기에 존재했었음을 알리는 증거들은 여러 민족의 건국신화에 잘 드러난다. 性的인 역할과 능력에 대한 기대치가 근래에 들어 크게 달라지면서 우리의 각별한 관심을 끄는 것은 인류 역사의 초기에는 여성우월적인 문화패턴이 자연스러운 것이었으며, 더욱이 그런 시대가 아주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것 또한 역사적 사실이다. 인간생활의 총체적인 표현이 역사이며, 이것에는 생활습속을 포함한 신앙, 의식의 한 형식으로 신화를 품고 있다. 제주에 전승되고 있는 풍부한 내용의 신화는 그럴 만한 역사적 배경 위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원래 신화의 형성은 이성의 지배, 과학기술의 발달이나 산업화 현상 등 합리주의의 근대적 요소들과는 공존하기 어려운 것인데, 제주인의 역사는 이 같은 反신화적인 요인들이 비교적 약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탐라신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잘 드러나는 여성적인 감성요소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은 제주의 역사가 전근대적인 단계에 오래 머물렀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근대 유럽의 계몽적 합리정신이 추상적인 자연법칙을 발견하고 자연과학과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기계문명과 산업사회를 일으켰던 역사는 남성적인 이성능력의 소산이었다. 반면, 합리주의와 산업문명에 의해 마멸되지 않은 소박한 인간성의 온존상태와 같은 여성적인 감수성과 보호본능을 강하게 드러내는 탐라신화는 제주 역사문화의 전개과정에서 풍요를 담당하는 주체적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한반도의 여러 건국신화가 전쟁과 투쟁으로 점철되는 영웅신화로 여기의 여성상이 객체 또는 매개체의 역할에 제한되어 있지만, 탐라신화에 보이는 여성상은 여성영웅으로서 천지와 국토를 창조하고 풍요를 가져다주는 주체로서의 역할이 부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미래의 제주사회를 이끌어 갈 새로운 가치 발견이라는 측면에서, 이제까지 홀대받았던 탐라신화의 가치는 새롭게 인식되고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주문화의 전승 기반으로서 탐라신화에 보이는 여성성의 역사문화적 이해는 제주문화의 외연을 확장하는 계기이면서도 탐라신화의 역사적·문화사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일정한 방향성을 提高할 수 있을 것이다. A move to newly perceive and reevaluate Jeju Island`s myths as Jeju Island`s cultural asset is based on previous scholars` studies of various Tamra mythologies. Tamra mythologies show such wise and strong feminine images as can be shocking to those who see male dominance over women as natural law. Recent studies focusing on these images deserve to be considered as intrinsic explorations into the components of Jeju Island`s society. Jeju island`s unique religious culture is based on bad life situations of the Jeju Island women. In the remote and isolated island with geographic limitations, harsh natural environment and turbulent history, the women of Jeju Island had to go through hardships to play social roles as well as to work around the house, in fields and at sea. Their strong desire for survival and abundance in the changes in nature that poses a threat to life was expressed in faith and awe of supernatural beings. Different types of myth and space were created accordingly, and major leaders in the space of faith were women that led the Jeju Island`s harsh society. Many tribes` state-founding myths clearly show proofs that there was a long-term female-dominating culture pattern in the early stage of human society. As the expectation of gender role and capacity has changed greatly these days, people are currently paying keen attention to the facts that female-dominating culture pattern was natural in the early stage of human history and that such a stage lasted for a very long time. The comprehensive expression of human life is history, which contains myths as a form of faith and ceremony including manners and customs. Myths with rich contents inherited to the Jeju Island people have their sufficient historical backgrounds. The formation of a myth is difficult to coexist with modern factors of rationalism such as the rule of reas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or the phenomenon of industrialization. Nevertheless, these anti-mythical factors had relatively little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e Jeju Island people. Feminine emotional factors revealed well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inheritance of Tamra mythologies are found a lot;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e Jeju Island was kept for a long time in the pre-modern stage. Enlightenment rationalism in modern Europe helped to discover abstract natural law and to develop machine civilization and industrial society using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ies. This history was the outcome of masculine reasoning ability. Meanwhile, Tamra mythologies clearly reveal feminine sensitivity and protective instinct such as the maintenance of simple humanity that is not destroyed by rationalism and industrial civilization. It is noteworthy that Tamra mythologies have been granted subjective roles in being responsible for abundance in the process of the Jeju Island people`s historico-cultural development. Many state-founding myths i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heroic myths filled with wars and strifes. Although feminine images in these myths are limited to the roles of objects or intermediaries, feminine images seen in Tamra mythologies are characterized as heroines having been granted the roles of entities to create heaven and earth and to bring about abundance. In terms of the discovery of a new value to lead the future Jeju Island`s society, it is necessary to newly perceive and reevaluate the value of Tamra mythologies that have been neglected up to now. So, a historico-cultural understanding of femininity seen in Tamra mythologies as the foundation for the inheritance of the Jeju Island`s culture will be a trigger to expand the realm of the Jeju Island`s culture and also to improve the sense of direction for reestablishing the cultural-historical status of Tamra mythologies.

      • KCI등재

        추수 금대영(金臺榮)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

        김주용 ( Kim Joo-yong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6 동국사학 Vol.61 No.-

        3·1운동 이후 민족분열을 획책한 문화통치로 변화는 합법적인 활동영역 확대로 이어졌다. 일제의 의도는 민족구성원 상호간 대립·갈등을 조장하는 가운데 불신감을 도모함이었다. 식민통치에 우호적인 사회지도자 육성은 궁극적인 지향점이나 마찬가지였다. 동아일보사·천도교계·개신교계 등은 실력양성론에 입각한 문화계몽운동을 주요 현안으로 부각시켰다. 개조론 풍미는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과 맞물려 있었다. 근대교육 시행에 의한 사회개조는 시급한 당면과제였다. 당시우후죽순처럼 조직된 청년단체는 이를 반증한다. 김태영이 1920년 9월 동양선교회 안성복음회 주최인 교회간친회 모임을 주선한 이유도 여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김태영은 1920년 4월 동아일보사 안성분국 기자로 활동하였다. 이듬해 2월 안성분국장과 1923년 8월에는 안성지국 승격과 동시에 지국장이 되었다. 이후 1940년 8월 신문이 폐간될 때까지 20년 동안 그는 언론인으로서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에 충실했다. 안성지역 사회운동 전반에 관한 사실이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된 배경은 김태영의 열성에 힘입은 바가 크다. 언론을 통한 외부 세계와 소통·교류확대는 이곳 다양한 사회운동을 진전시키는 기폭제나 다름없었다. 1920년 4월 1일 조직되었으며 안성군의 민족운동을 주도하고, 청년야학회를 설립하여 문맹퇴치에 노력하는 한편 안성공원에서 운동회 등을 개최하여 주민들의 단결을 도모하였다. 김태영이 집행위원장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는 1928년 10월 이 단체를 탈퇴할 때까지 청년운동·여성운동·형평운동·교육운동·언론운동 등을 주도하는 인물이었다. 신간회 안성지회 정치문화 총간사로서 활동도지역사회와 본부와 원만한 교류를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교육운동에도 매우 열성적·적극적인 자세였다. 민립대학기성회 안성지방 상임위원 취임은 이를 반증한다. 유치원 설립에도 의연금을 기부하는 등 근대교육보급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1925년 안성청년회 임원들과 강습소인 安靑學院을 설립한 이래 1930년 5월에는 초등교육기관인 안청학원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이외에도 구호활동 등을 통하여 안성지역의 생활향상을 도모했다. 이처럼 김태영은 안성지역의 근대부터 현대를 관통하는 중요한 인물이라고 할수 있다. 변혁기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민족적 자존심을 지켜나갔던 김태영은 독립유공자로 포상되지 못했지만 일제와 타협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라고 할 수 있다. After March. 1 Movement, Japanese imperialism`s culture ruling for disruption of nation seemed like an expansion of legal activity. An intention of Japanese imperialism was promoting distrust in the nation member and encouraging conflict. The final aim of them was raising amicable social leader about their colonization. Dong-A Daily News·Cheondogyo·Protestant had characterized skill-cultivation theory and culture enlightment. A theory about a renovation of nationality appeared with these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nstruction enforced by modern education was urgent problem to Korean, so a lot of youth organizations against Japanese culture ruling could be made in this period. The example of this was that Kim Taeyeong arranged Anseong gospel society hosted by Oriental Missionary Society in September 1920. Kim Taeyeong was a reporter of part of Dong-A Daily News located in Anseong from April 1920. Next year, he became a director and the part of Dong-A Daily News in Anseong was raised to the official branch of that in August 1923. Until the News paper`s discontinuance, he was faithful to his role as a journalist during 20 years. The reason why the social movement in Anseong reported in detail was because of his enthusiasm. Using press, expansion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the outside world were trigger for a variety of social movement in Anseong. The Anseong branch was organized in March 1 1920. He took the lead of Anseongun`s national movement, established youth night school for a crusade against illiteracy and held sports meeting in Anseong park to promote unity of residents. He was an chairman of an executive committee and exerted his influence. He was the leader in the domain of a youth, feminine, social equality, education and media movement until he withdrawn from this committee in October 1928. His activities as an assistant administrator of Singanhoe in Anseong were to plan amicable exchange between a community and a head office. He had kept enthusiastic attitude in education movement. An inauguration of standing member in the organization of founding movement of private college in Anseong demonstrated his education movement. His donating for founding kindergarten showed his efforts to dissemination of modern education. He found Anseong Hakwon(Anseong academy) with the board member of Anseong youth organization in 1925. Anseong Hakwon was changed in May 1930 as primary institution, at the same time he became a chairman of Anseong institution. He also had promoted helping improve people`s lives through relief activities. In conclusion, Kim Taeyeong could be called the most important figure throughout modern to contemporary history. He stuck to his decision to the last and kept national pride although he lived during the change period. Even if he wasn`t rewarded as an independence patriots, he could be called uncompromising independence activist with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역서(曆書)와 역사(歷史): 조선후기의 상수학적(象數學的) 년대기서(年代記書)와 시헌력(時憲曆)

        박권수 ( Park Kwon-soo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인간의 역사를 우주론적 시간의 장구한 변화 속에다 배열하여 설명하려는 것을 ‘우주론적 연대기’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조대에 편찬된 우주론적 연대기서인 洪啓禧의 『經世指掌』(1758)과 徐命膺의 『皇極一元圖』(1774)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우주론적 연대기서의 서술 전통을 살펴본다. 특히 『經世指掌』과 『皇極一元圖』에 이르러 소옹에서부터 신흠에 이르기까지 상수학적 차원, 혹은 역학적 차원에서만 전개되던 우주론적 연대기의 서술 전통이 시헌력을 중심으로 하는 천문학적 지식과 만나서 함께 결합하고 발전하였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의 상수학 지식전통과 우주론적 연대기관념, 나아가 천문학 지식 이 18세기 조선에 이르러 흥미로운 방식으로 교차하고 융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radition of cosmological chronology in the late Joseon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books of this tradition, Gyeongse-jijang 經世指掌 edited by Hong Gae-hee 洪啓禧 in 1758 and Hwangeuk-Ilwondo 皇極一元圖 published by Seo Myong-ung 徐命膺 in 1774. With this examination, I show that many kinds of knowledge from history, cosmology, philosophy, Xiangshu-xue 象數學, and astronomy were integrated in these two book. I also show the tradition of constructing chronology book was newly innovated and developed in these books with adding the part of calendar tables which were expected to predict the future events. The authors of these cosmological chronology books, Hong Gae-hee and Seo Myong-ung thought that the history and the cosmological change of civilization could be properly understood with the perspectives of astronomical knowledge.

      • KCI등재

        백남운(白南雲)의 단군신화 인식

        이경섭 ( Lee Kyoung-sup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7 동국사학 Vol.63 No.-

        백남운은 식민지시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관점에서 『조선사회경제사』와 『조선봉건사회경제사』를 저술하여 식민주의 사관을 극복하고 한국사의 보편적 발전 과정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특히 고대사의 영역을 다룬 『조선사회경제사』의 緖論에서 「단군신화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서는 일본인 연구자들의 단군 인식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최남선, 신채호 등 민족주의 역사가들의 단군신화 해석에 대한 비판이 중점이었다고 생각된다. 특히 당시는 학술계에서 조선학운동의 흐름이 가시화되던 시기였으며, 이미 단군이 조선의 역사와 문화의 기원이자 상징으로 대중적인 영향력을 획득하고 있었다. 세계사적 보편성 속에서 조선사를 체계화시키려 노력한 백남운의 관점에서는 단군으로부터 기원하고 상징되는 조선 민족의 형상화는 ‘하나의 특수한 문화사관’이며, 과학적 역사관으로 조선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위협적인 ‘반동적’ 역사관에 다름 아니었다. 이에 백남운은 단군신화가 계급사회의 산물이며 시대에 따른 변화의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단군이 실재적이지도 특정한 인격자도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백남운은 『조선사회경제사』에서 제기한 단군신화론을 견지하고 있었다. 미군정 아래에서 부르주아민족주의자들이 교육이념으로 홍익인간을 차용하려고 할 때에도 일제의 그것과 다름없는 국수적 반동사관이라고 적극적으로 비판하였다. 또한 한국전쟁기 저술로 추정되는 『조선력사』에서도 기존의 단군신화 인식에 근거하였고, 이후 북한학계에서 진행된 단군신화 토론회에서도 자신의 신화 인식을 견지하였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당시 북한 역사학계는 고조선과 단군신화를 연결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백남운의 단군인식은 비판을 받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당시 김일성에 의한 ‘주체의 제기’라는 배경에서 북한 역사학계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 민족주의 역사학의 관점을 보다 강화시키려는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과정은 완고한 마르크스주의자였던 백남운이 북한 역사학계에서 서서히 배제되어가던 정황을 암시한다고 생각된다. Baek Nam-woon wrote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Society and The Economic History of the Feudal Joseo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Marxist historical studies during the colonial days, trying to overcome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demonstrate the universal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history. In his “Critical Opinions of the Dangun Myth” in the introduction of his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Society that covered the ancient history, in particular, Baek criticized some nationalist historians including Choi Nam-seon and Shin Chae-ho for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myth. From the perspective of Baek that tried to systemize the Joseon history in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history, the embodiment of the Joseon people that originated in Dangun and were represented by him was a “single particular view of cultural history” and “reactionary” view of history that was very threatening to the understanding of Joseon history based on the scientific view of history. Baek pointed out that the Dangun Myth was an outcome of the hierarchical society and was subjected to possible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made it clear that Dangun was neither real nor certain man or character.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aek maintained his theory on the Dangun Myth that he raised in his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Society. When the bourgeois nationalists tried to adopt the idea of Hongikingan as the educational ideology of the nation under the US military regime, Baek actively criticized it as a nationalist reactionary view of history that was the same as the view of history advocated by the ruling Japanese. Baek maintained his old attitude toward the Dangun Myth in his The Joseon History,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and at the discussions about the myth held by the academic circles of North Korea. In the early 1960s when the historical circles of North Korea tried to connect the Dangun Myth to Gojoseon, however, his perception of the myth was under fire. This flow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circles of North Korea trying to reinforce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t historical studies instead of Marxist historical studies in the background of “Juche” raised by Kim Il-sung those days. This process implies the circumstances in which Baek, who was a stubborn Marxist, was gradually excluded from the historical circles of North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택리지』를 통해 본 이중환의 역사인식 -인물과 사건 기록을 중심으로-

        신병주 ( Byung Ju Shin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5 동국사학 Vol.58 No.-

        본 논문에서는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의 가계와 생애, 『택리지』의 주요 구성, 그리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관련 서술, 함흥차사와 홍순언에 관한 기록 등 역사적 사건과 인물 기록을 중심으로 이중환의 역사인식의 단면을 검토해 보았다. 『택리지』는 기본적으로는 지리지임에도 불구하고 역사 관련 서술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이것은 이중환이 그만큼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관련된 지역 정보에 떠오르는 역사적 사실과 斷想이 있으면 최대한 기록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몇 가지 역사 관련 기록을 다른 문헌들과 비교해 보면 내용상 차이가 나는 것이 다수 발견되었다. 그러나 참고문헌이나 전거가 없이 기록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저자가 어떤 자료를 구체적으로 참고해 정리한 것인지도 알 수가 없다. 자신의 상식과 기억에 의존하였다면 이중환의 역사에 대한 식견과 관심을 대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택리지』가 광범위하게 유포된 책임을 고려하면 『택리지』에는 당대인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이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연려실기술』과 같은 역사서나 『성호사설』처럼 치밀한 고증에 바탕을 두지 않아, 역사자료로 활용하기에는 허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택리지』에 정리된 다양한 내용의 역사 관련 기록들은 실록이나 『연려실기술』과 같은 기록과 비교하여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life and family of Yi Jung-hwan, the author of 『Taek’ri-ji』. Also examined is the internal structure of 『Taek’ri-ji』, and his documentation of the wars with the Japanese and Qing forces, as well as King Taejong’s repeated dispatching of emissaries to Yi Seong-gye in Ham’heung, and a person named Hong Sun-eon. Analysis of his own recording of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would hopefully shed some light upon his own historical point of view. 『Taek’ri-ji』 is primarily a sourc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but contains many historical details as well. This was because Yi Jung-hwan was very much interested in history, and wanted to include local historical references (as well as his own opinions, some thoughts that came to his mind) in the book as much as possible. But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documentation in this book and those in other sources. In this 『Taek’ri-ji』 there are no source of references, so we cannot confirm what kind of sources Yi Jung-hwan consulted. If he wrote this book based upon his own knowledge and memories, that would sure be an extraordinary thing.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Taek’ri-ji』 was widely circulated at the time, this book may have contained historical details that were known and understood by many of the Joseon people at the time. But unfortunately, unlike other historical texts like 『Yeollryeo-shil Gisul』 or 『Seong’ho Sa’seol』, this book is not based on meticulous confirmation of historical facts, so one should be careful in using it as a source of historical information. All the things in 『Taek’ri-ji』 should be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Yeollryeo-shil Gisul』 or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연구논문 : 역사가와 이론(2)

        양홍석 ( Hong Seuk Yang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5 동국사학 Vol.58 No.-

        본 비평논문은 왜 역사학에서 사회과학적 이론이 필요한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역사학자들은 왜 사회과학 이론에 빠져 들어가게 되는 것인가? 그리고 타 학문 분야에서 수용한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역사학의 지평확대에 미친 순기능과 역기능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확인하기 위해서 최근 역사학의 명저를 선택하여 확인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서 역사가들이 사회과학의 뛰어난 이론들을 수용하여 자신의 전문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이해와 지평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것은 매우 놀랍고 경이로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이론에 대한 편집광적 몰입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런 추세로 인하여 역사학은 새로운 돌파구와 흥미를 유발하였고, 그 결과로 지금까지 본 것과 같이 값진 성과물들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역사학은 인문학의 정점에 있는 학문으로 과거를 공부하는 것이고 과거는 누구나 알다시피 현재의 관전 시점과는 완전히 다른 마치 이상의 나라의 엘리스가 보는 세계이다. 그런 세계를 관조하기에는 일찍이 그리스 시대부터 지금까지 준비되어온 독창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시대의 자료들을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아주 혹독한 자기 검열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 무엇보다도 가설에서 시작해서 이론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학과는 완전히 다른 입장에서 서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 필자는 사회과학의 이론은 순기능에 비해서 역기능을 역사학에 제공하였다고 감히 말할 수 있었다. 특히나 여기에 소개하고 있는 최근 십년간의 약 7권의 주요저작들을 그런 측면에서 놀라운 보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merican History Researchers have greatly been effected by social science and its ideas. In this point, the essay is to rethink about wether this trend is good or not. So many critical history literature have owed magnificent ideas of social science. And so we historians have never escape these trends in the history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end, I selected the contemporary 7 critical history writings. Their new understandings and horizons of histories are resulted from indebting of social sciences’ ideas. Therefore I think that all these recently history books and their writers could not obtain their critical luminary status without obtaining social science ideas. Nevertheless, History disciple have developed since Greece its unique identity through sophisticate and elegance methodological approaches. Concretely speaking, social science researching methode are very deferent from humanist history approaches. The former, above all, construct hypotheses and accumulate its accurate material while history directly go to the manuscript and speak without special assumption. On conclusion, I think, we historians are very heed to catch social science ideas and instead should indulge our unique methodology to study past human beings and its relationship. And so, we historians could much more explains at the least in the problems about in the past than any other discipline such as social science.

      • KCI등재

        문화혁명 이전 17년간(1949~1966) 역사극의 역사진실과 예술진실 논쟁

        김은수 ( Kim Eun-soo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20 동국사학 Vol.69 No.-

        1960년대의 ‘역사극 논쟁’은 吳唅의 「談歷史劇」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극의 인물과 사실은 반드시 역사적 근거가 있어야 하며, 역사의 실제 정황을 반영하지 않는 극은 역사극이 아니라 故事劇이다. 둘째, 역사주의와 애국주의 교육에 대한 역사극의 역할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역사극의 창작은 역사사실에 근거하면서 ‘歷史眞實과 藝術眞實’의 통일이 필요하다. 논점은 주로 역사인물과 역사사건을 ‘當代化’하는 과정에서 ‘史實’을 어떻게 다루어야하는가를 둘러싸고 벌어졌다. 吳唅은 歷史眞實을 강조하는 역사극의 개념을 제시하였고, 歷史劇, 故事劇, 神化劇을 구분하였다. 李希凡 등은 역사인물을 ‘當代化’할 수 있다면 ‘史實’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역사극 문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역사사실 만들기’ 작업과도 관련되었다. 역사가들은 ‘歷史事實’의 확보가 사료에 근거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였지만, 극작가들은 역사 규율에 입각한 ‘역사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면, 그들의 상상에 의해 창작된 인물과 사건이 ‘역사사실’을 더 정확히 밝혀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The debate on historical drama in the 1960s began with Wu Han’s “on historical drama”. The argument is as follows. First, people and things in historical dramas must have historical basis. Dramas that do not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of history are not historical dramas, but story plays. Second, we should attach importance to the role of historical pays in the education of historicism and patriotism. Thirdly,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acts, the creation of historical drama needs the unity of “historical reality and artistic reality”. The argument mainly revolves around how to deal with “historical facts” in the process of “contemporaneity” of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Wu Han put forward the concept of historical drama which emphasizes the historical truth and distinguishes historical drama, story drama and myth drama. Li Xifan and others believe that if historical figures can be “contemporary”,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historical facts”. “Shaping historical facts” for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related to the issue of historical drama. Historians insist that the assurance of “historical facts” should be based on the position of historical materials, but playwrights believe that if we correctly recognize the “historical truth” based on historical laws, then the people and things created according to their imagination can more accurately find out the “historical facts”.

      • KCI등재

        日本文獻の壬辰倭亂(文祿·慶長の役)の記錄とその限界

        츠노도모아키 ( Tsuno Tomoaki ),이미정(번역)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7 동국사학 Vol.62 No.-

        본고는 2016년 10월 21일 동국대학교에서 개최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년 추계학술회의에서 구두 발표한 「日本文獻の壬辰倭亂(文祿·慶長の役)の記錄とその限界」의 내용을 수정·발전시킨 것이다. 본고에서는 임진왜란을 야기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발급 문서를 중심으로 당시의 조선과 그 諸地域에 대한 호칭을 검토하여 일본 문헌에 보이는 對朝鮮認識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한계와 “朝鮮曲筆”의 배경에 대해 언급하였다. 조선과 그 諸地域에 대한 호칭의 사례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국가로서의 高麗. 행정구획으로서의 朝鮮·高麗·百濟·新羅. 慶尙道·全羅道·忠淸道에 대한 ‘白國’, ‘赤國’, ‘靑國’. 그러한 호칭이 생겨난 대전제가 되었던 것은 朝鮮에 대한 히데요시의 중대한 오해와 착각이었다고 생각된다. 히데요시의 중대한 오해라는 것은 조선은 이미 일본에 복속하였다는 認識이다. 또한 히데요시의 착각이라는 것은 조선뿐만이 아니라 明도 정복할 수 있다는 인식이다. The author made an oral presentation entitled "Japanese Literature Records on the Imjin War (Bunroku-Keicho War) and its Limitations" at the Institute of Dongguk History and Culture 2016 Fall academic meeting which was held at Dongguk University on October 21, 2016. This paper is based on that presentation. This paper considers appellations for Choson and its various regions at that time mainly through the analysis of Toyotomi Hideyoshi’s documents. Hideyoshi initiated the Imjin War. The paper also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recognition of Choson as seen in the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I refer to the background of such limitations and misrepresentations about Choson. Examples of appellations for Choson and its various regions are as follows. Korea 高麗 as an appellation for the nation. Korea, Choson, Baekje 百濟, and Silla 新羅 as appellations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Shirokuni 白國, Akakun 赤國and Aokuni 靑國 as appellations for Gyeongsang Province 慶尙道, Jeolla Province全羅道 and Chungcheong Province忠淸道. I suggest that the major premises of forming such appellations were Hideyoshi’s gross misunderstanding and illusion. His misunderstanding was based on his recognition that Choson had already submitted itself to Japan. The illusion was his recognition that Japan would be able to conquer Ming 明 as well as Choson.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주필산(駐필山) 전투와 안시성(安市城)

        서영교 ( Young Gyeo Seo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5 동국사학 Vol.58 No.-

        645년 6월 20일 당태종이 안시성 앞에 나타나자 전열을 정비한 연개소문은 15만의 병력을 보냈다. 그것은 수도 평양의 방어를 고려하지 않은 비정상적인 규모의 전력투입이었다. 연개소문은 당태종을 잡고 전쟁을 종결지으려는 심산이었다. 그러나 고구려군과의 전투에서 당태종이 이끄는 당군이 승리를 거둔다. 패배한 연개소문은 粟末 말갈인을 사신으로 삼아 설연타 칸에게 보냈다. 설연타의 진주가한이 임종의 병석에 누어있는 사이에 병권을 거머쥔 그의 아들이 10만 군대를 일으켜 오르도스의 하주(夏州)로 향했던 것 같다. 그곳은 장안의 북쪽으로 당나라의 수도권과 가까우며 탁 트인 평원이다. 세계 최강의 제국이라 해도 제3세력에게 수도권이 위협 받는 상황에서 고구려원정은 활력을 잃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주필산 전투 이후 안시성에 대한 공격이 주춤해진 것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우리는 여기서 안시성이 당태종의 침공을 막아냈다고 본 기존 시각을 지양하고 황제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설연타의 개입이 분명해졌고, 향후 불투명한 상황에서 안시성에 대한 지속적인 맹공을 펼친다면 당군 주력의 전력 소진을 피할 수 없다. 7월 초부터 60일 동안 用功 50萬이 투여되는 토산공사를 진행했다. 당태종은 안시성에 대한 맹공을 실시하지 않고 설연타의 움직임을 관망을 하면서 60일 동안 공사를 진행하는 중간 책을 취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공사는 시간을 소진했지만 전력의 소진은 막았다. 당태종과 그의 군대는 9월 18일 고구려에 철수했고 이듬해까지 설연타와 전쟁을 했다. Because Emperor the war went by in a strange direction. IN 645 Taejong(唐太宗) appeared before Anshi Fortress(安市城), the dictator of Goguryeo Yeon-gaesomun(淵蓋蘇文) spent 1.5 billion troops. Only the emperor be catched everything ends. But the emperor defeated Goguryeo army. Losers Yeongaesomun were asking for help to Khan’s Mongolia. Khan’s army of 100,000 attacked in Ordos, the capital northern Part of the Tang Dynasty. Goguryeo expedition partly has lost vitality. Tang troop could not be run out of power in Koguryo. Wait and see the situation, he built a mountain before Anshi Fortress. It was the middle of measures to preserve the military. Taejong had to be a war in Mongolia until the following yea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