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산산성 출토 신라 짐꼬리표[荷札] 목간의 地名 문제와 제작 단위

        李京燮(Lee, Kyoung-sup)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이 글에서는 성산산성 짐고리표목간[荷札]의 기초적인 분석을 통하여 목간에 나타난 지명 표기의 문제와 제작지를 구명해 보았다. 먼저 목간에 나타나는 지명의 위치에 대한 비정을 진행하여 소백산맥을 경계로 한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해당하는 上州의 범위였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으며, 논란이 되었던 仇利伐을 屈火郡ㆍ屈弗郡 등으로 불렸던 《삼국사기》지리지의 曲城郡, 즉 현재의 안동시 임하면 일대로 새롭게 비정하였다. 이어서 그동안 목간 이해의 커다란 난맥이었던 本波ㆍ阿那ㆍ末那ㆍ前那를 해당 목간의 전체적인 기재내용과 서식으로부터 지명과 관계된 용어임을 확인하고서 그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本波ㆍ阿那ㆍ末那ㆍ前那는 지명과 관계된 용어이기는 하지만 지명 그 자체는 아니라고 보았다. 그리고 ‘那’가 땅(地), 들(평야)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前那의 사례로부터 어떤 방향이나 위치의 지역(혹은 구역)을 표현하는 것임을, 고구려ㆍ백제의 方位部의 사례에 견주어 밝힐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산산성 짐꼬리표목간의 형태와 크기, 기재내용과 서식 등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목간이 제작된 단위가 기본적으로 행정(성)촌이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최근 제기된 목간의 那제작설에 대하여 목간 자체에 那이 확인되지 않으며, 那으로 간주했던 鄒文의 경우도 鄒文村이라는 표기가 확인되는 것에서 郡제작설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중고기 인명표기 방식을 근거로 목간에 나타나는 村은 모두 행정촌이며, 村 상위의 지명은 郡이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수취의 결과물인 목간에 나타나는 촌과의 비교는 적합하지 않은 점과 수취의 기본단위가 행정성촌이라는 시각에서 목간의 촌은 행정촌과 자연촌 모두일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Several place names in Silla Kingdom were confirmed on wooden tablet for the parcel notes of the goods excavated from Seongsan Sanseong. These names may be set up as follows. So far Gammunsung(甘文城) was considered as Gaeryeong-myeon in Gimcheon-Si city, Gota(古?) as Andong-Si city, Geupbeolsung(及伐城) as Sunheung-myeon in Yeongju-si city, Gubol(仇伐) as Danchon-myeon in Uiseong-gun county, Subol(須伐) as Sangju-Si city, Maegokchon(買谷村) as Dosan-myeon in Andong-Si city, Mulsabol(勿思伐) as northern area of Gyeongsangbuk-do province, Chiumun(鄒文) as Geumseong-myeon in Uiseong-gun county, and so on. Especially, the location of Guribul(仇利伐) controversially issued is newly set up Imha-myeon in Andong-Si city. This region could be understand as a competent area of Sangju during Silla Period. Also it seems that this region supplied its goods through the Nakdongriver into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in Haman-gun county at lower reaches of the river. This article explained such terms as Bonpa(本波), Ana(阿那), Malna(末那), and Junna(前那) that did not solved on the basis of written contents or the form of documents as yet. It seems that these terms not only related to geographical designations but also served as usage for area pointed out any direction or any location. Hence, I could concluded that the wooden tablets- making as stated above was not made in such regional unit as gun(郡) which had not appeared on the stage of history but such unit as administrative village or administrative castle.

      • KCI등재

        新羅 月城垓子 木簡의 출토상황과 月城 周邊의 景觀 변화

        李京燮(Lee Kyoung-Sup)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9

        木簡에 내재한 歷史像을 밝히기 위해서는 出土 情報의 확보와 이에 대한 검토가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지만 月城垓子 木簡은 출토된 지 20년이 지나서야 출토위치가 분명하게 밝혀졌고 그나마 이를 토대로 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 글은 보고자가 정리했던 출토 유구의 위치와 층위를 토대로 共伴遺物과의 관계 속에서 목간의 연대를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목간의 시대를 전후한 해자와 月城 周邊의 景觀 변화를 추구하였다. 먼저 유구(해자) 자체와 연대추정의 표지가 될 수 있는 共伴遺物의 비교를 통하여 月城垓子 목간의 연대가 5세기 후반에서 7세기 중후반에 해당하며, 그 중심연대를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전반으로 보았다. 이 과정에서 목간의 출토상황에 대한 보고서의 오류를 바로잡기도 하였다. 이어서 최근 알려진 4호 해자의 변천을 주목하여 해자 주변이 어떤 의미에서 변화하고 정비되었는가를 밝혔다. 文武王 19년(679)의 宮闕 重修와 東宮의 창건에 이어지는 內外 諸門의 額號를 정하였던 것에 주목하여 宮城인 月城과 東宮의 出入施設로서 해자의 역할 변화를 설명하였다. 궁궐 내외의 문과 출입시설들은 동궁의 창건과 더불어 일괄적으로 정비되었는데, 이때 확대된 宮闕地區에 속한 복원 石築垓子와 3·4·5호 해자가 權威的 造景 機能의 石築垓子로 재조성되었다. 그러나 官衙地區에 속하며 월성의 출입시설과 이렇다 할 관련이 없던 1·2호 해자는 매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문헌자료와 현재까지 진행된 발굴조사의 성과를 고려해 월성의 정문인 北門, 東門과 西門의 위치 및 출입상황 등을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나아가 전체적으로 궁성의 범위가 확대되어가는 추세를 분석하여 월성의 북문과 庫門外庭을 기준으로 동쪽은 月池와 東宮·南宮으로 대표되는 궁궐지구, 서쪽은 관아지구로 구획되었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月城 周邊의 景觀 變化는 문무왕대에 일시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적어도 6세기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眞興王代 皇龍寺 창건으로 귀결되는 왕궁의 확장 노력과 월성해자 목간의 출토상황·묵서 내용에서 월성외곽의 궁궐과 관아지구 형성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국 고대 목간의 용도와 형태 분류

        이경섭(LEE, Kyoung-sup)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7 No.-

        고대 한국의 목간은 현재까지 신라와 백제의 유적에서 600여 점 정도가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전체 목간의 용도와 형태를 정리하면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들 목간은 형태상으로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홈형, 기타의 목간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용도는 크게 文書목간, 꼬리표[附札]목간, 기타 목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문서목간은 문서의 발신과 수신이 확인되는 좁은 의미의 문서목간과, 帳簿・集計・傳票・考課 등의 기록목간으로 분류된다. 꼬리표목간은 이동하는 세금이나 공진물에 부착된 짐꼬리표[荷札]와 물품의 보관에 사용된 물품꼬리표[物品附札]로 나눌 수 있다. 기타 용도로는 呪術・儀禮, 典籍(論語), 글자 연습용, 명함, 구구단 목간 등의 사용이 확인된다. 목간을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된 목간의 표면을 깎은 부스러기도 발견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서목간은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목간들이 이용되었고, 꼬리표목간은 홈형 목간이 사용되었다. 기타 용도의 목간들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특히 좁은 의미의 문서목간은 주로 다면(원주)형 목간이 사용되었고, 기록목간은 장방판형 목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꼬리표 목간은 주로 아래쪽에 홈을 새겼고, 백제의 꼬리표 목간은 위쪽에 홈을 새겨서 사용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러한 경향은 통일 이후 위쪽에 홈을 새긴 꼬리표 목간으로 변화한다. 기본적으로 목간의 제작과 사용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형태가 채택되어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In Korea, approximately 600 wooden ancient tables have been excavated in relics of Silla and Baekje.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by sorting out the entire ancient wooden tablets of Korea by the use and form. The wooden tablets were made in the forms of rectangular plate, multisided, circumferential, groove, and other types. Their uses mainly include documents, receipts, and others. Wooden tablets for documents are further divided into wooden tablets as documents whos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checked in a narrow sense and wooden tablets as records including ledgers, accumulations, statements, and evaluations of merits. Wooden tablets for receipts can be divided into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tributary payments or taxes and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goods used to store goods. Other uses included incantations and ceremonies, Jeonjeok (Analects of Confucius), practice of writing letters, business cards, and multiplication table. Fragments were also found which were from the planing of wooden tablets on the surface for recycling. In this process, wooden tablets of rectangular plate, multisided, and circumferential types were used for documents, and those of groove type were used for receipts. Wooden tablets of other uses were made and used in various forms that would suit their uses. Basically, the production and use of wooden tablets was based on the selection and use of forms that would suit their uses.

      • KCI등재

        특집 -북한 고조선 연구의 기원과 성립 :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단군신화 인식과 특징 -리상호와 리지린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경섭 ( Kyoung Sup Lee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5 No.-

        이 글은 초기 북한의 역사학계에서 진행된 단군신화를 둘러싼 논의가 어떠한 문제의식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어떠한 결과로 귀결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북한의 고조선 논쟁은 1959년에서 1963년까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주요 쟁점은 고조선의 위치와 영역에 대한문제였다. 고조선의 중심지를 요녕설(遼寧說)과 평양설(平壤說)로 보는 견해가 대립하였는데, 요녕설은 주로 역사학자들이 주장하였고 평양설은 고고학자들이 주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사학자들의 요녕설이 논쟁의 우위를 차지할 무렵 단군신화에 대한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토론을 주도했던 연구자는 요녕설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리상호와 리지린이다. 이들은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신화 속에 내재된 역사적 사실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북한역사학계는 단군신화가 원시사회 이래의 현실을 반영하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이며, 국가의 기원과 역사지리 문제 등에서 중요한 사실을 기록한 신화라고 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계열의 단군신화 연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기반한 백남운의 단군신화 인식을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이 당시 단군신화와 고조선 연구의 사학사적 의미는 북한 역사학계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 북한식의 민족주의 역사학으로 전향(轉向)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problematic consciousness was involved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Dangun myth in the historical studies circle of North Korea in its early days and what results they reached. The disputes over Old Joseon in North Korea were intensive between 1959 and 1963 with a focus on the location and area of Old Joseon. There were two confronting views on the central location of Old Joseon: one argued it was Liaoning, and the other argued it was Pyeongyang. The former argument was usually led by historians, whereas the latter by archaeologists. About the time when the argument to support the Liaoning theory by historians took dominance over the other, a panel discussion took place about the Dangun myth. The panel discussion led by Lee Sang-ho and Lee Ji-rin that were strong advocates of Liaoning theory. They tried to find historical facts inherent in the myth, putting an emphasis on its historicity.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circle of historical studies recognized that the Dangun myth was the founding myth of Old Joseon to reflect the reality since the primitive society and contained important records of facts about the origin, history, and geography of the st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esearches on the Dangun myth and Old Joseon those days, however, was that it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the North Korean circle of historical studies to convert from Marxist historical studies to North Korean-style nationalist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백남운(白南雲)의 단군신화 인식

        이경섭 ( Lee Kyoung-sup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7 동국사학 Vol.63 No.-

        백남운은 식민지시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관점에서 『조선사회경제사』와 『조선봉건사회경제사』를 저술하여 식민주의 사관을 극복하고 한국사의 보편적 발전 과정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특히 고대사의 영역을 다룬 『조선사회경제사』의 緖論에서 「단군신화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서는 일본인 연구자들의 단군 인식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최남선, 신채호 등 민족주의 역사가들의 단군신화 해석에 대한 비판이 중점이었다고 생각된다. 특히 당시는 학술계에서 조선학운동의 흐름이 가시화되던 시기였으며, 이미 단군이 조선의 역사와 문화의 기원이자 상징으로 대중적인 영향력을 획득하고 있었다. 세계사적 보편성 속에서 조선사를 체계화시키려 노력한 백남운의 관점에서는 단군으로부터 기원하고 상징되는 조선 민족의 형상화는 ‘하나의 특수한 문화사관’이며, 과학적 역사관으로 조선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위협적인 ‘반동적’ 역사관에 다름 아니었다. 이에 백남운은 단군신화가 계급사회의 산물이며 시대에 따른 변화의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단군이 실재적이지도 특정한 인격자도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백남운은 『조선사회경제사』에서 제기한 단군신화론을 견지하고 있었다. 미군정 아래에서 부르주아민족주의자들이 교육이념으로 홍익인간을 차용하려고 할 때에도 일제의 그것과 다름없는 국수적 반동사관이라고 적극적으로 비판하였다. 또한 한국전쟁기 저술로 추정되는 『조선력사』에서도 기존의 단군신화 인식에 근거하였고, 이후 북한학계에서 진행된 단군신화 토론회에서도 자신의 신화 인식을 견지하였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당시 북한 역사학계는 고조선과 단군신화를 연결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백남운의 단군인식은 비판을 받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당시 김일성에 의한 ‘주체의 제기’라는 배경에서 북한 역사학계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 민족주의 역사학의 관점을 보다 강화시키려는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과정은 완고한 마르크스주의자였던 백남운이 북한 역사학계에서 서서히 배제되어가던 정황을 암시한다고 생각된다. Baek Nam-woon wrote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Society and The Economic History of the Feudal Joseo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Marxist historical studies during the colonial days, trying to overcome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demonstrate the universal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history. In his “Critical Opinions of the Dangun Myth” in the introduction of his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Society that covered the ancient history, in particular, Baek criticized some nationalist historians including Choi Nam-seon and Shin Chae-ho for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myth. From the perspective of Baek that tried to systemize the Joseon history in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history, the embodiment of the Joseon people that originated in Dangun and were represented by him was a “single particular view of cultural history” and “reactionary” view of history that was very threatening to the understanding of Joseon history based on the scientific view of history. Baek pointed out that the Dangun Myth was an outcome of the hierarchical society and was subjected to possible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made it clear that Dangun was neither real nor certain man or character.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aek maintained his theory on the Dangun Myth that he raised in his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Society. When the bourgeois nationalists tried to adopt the idea of Hongikingan as the educational ideology of the nation under the US military regime, Baek actively criticized it as a nationalist reactionary view of history that was the same as the view of history advocated by the ruling Japanese. Baek maintained his old attitude toward the Dangun Myth in his The Joseon History,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and at the discussions about the myth held by the academic circles of North Korea. In the early 1960s when the historical circles of North Korea tried to connect the Dangun Myth to Gojoseon, however, his perception of the myth was under fire. This flow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circles of North Korea trying to reinforce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t historical studies instead of Marxist historical studies in the background of “Juche” raised by Kim Il-sung those days. This process implies the circumstances in which Baek, who was a stubborn Marxist, was gradually excluded from the historical circles of North Korea.

      • KCI등재

        성산산성 목간과 신라사 연구

        이경섭(LEE, Kyoung-sup)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7

        지금까지 성산산성 목간은 245점이 보고되었는데, 목간 연구와 신라사를 해명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상의 지위를 차지한다. 그 연대는 최근 壬子年이 써진 목간이 발굴되어 592년설이 유력하게 제기되었지만, 판독이 확실하지 않다면 여러 가지 정황상 6세기 중후반의 어느 시기라고 생각된다. 대부분의 목간은 신라의 上州와 下州를 중심으로 행정촌 단위에서 수취되어 성산산성으로 보내진 곡물류의 짐꼬리표(荷札)목간이다. 이들 곡물은 신라가 가야지역을 지배하기 위하여 파견한 군대 주둔과 築城을 위한 軍資로서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목간의 촌락 표기를 살펴보면, 촌락의 경제력 차이가 확인되며 촌락 내부의 취락들이 분화하는 모습들까지 확인된다. 또한 이전에 차별적·집단적인 지배를 받던 奴人들은 일반 민들과 함께 거주하면서 국가적인 수취체계 속에 편입되어 있는 상태였다. 역역 동원에 관한 문서목간인 218호 목간은 진내멸촌주의 구두 보고를 제3자인 書者가 목간으로 기록하였던 것으로 보았으며, 문서의 수신자인 弥卽尒智 大舍는 下州의 行使大等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re are total 245 wooden strips reported at the mountain fortress of Seongsan, and they have garnered attention as very important materials to understand wooden strips and the history of Silla. One of the wooden strips reads the Year of Imja, which adds more power to the argument that they were made in 592. If the decoding results are not certain, the many different situations point to the middle or late sixth century. Most of wooden strips were the tags of grains that were collected at the administrative village level around Sangju and Haju in Silla and sent to the mountain fortress of Seongsan. These grains must have been used to serve the troops dispatched by Silla to the Gaya region and build a fortress at the military level. The marks of villages on the wooden strips show economic differences among the villages and even the division of settlements in the villages. The Noin(奴人), who used to be subjected to discriminating collective rule, lived with common people and were included in the national collection system. Wooden Strip No. 218 is estimated as a wooden strip documenting the mobilization of labor force. Its addressee seems to be Daesa Mijeukiji that was Haengsadaedeung of Haju.

      • KCI등재

        6~7세기 한국 목간을 통해서 본 일본 목간문화의 기원

        이경섭(Lee, Kyoung-sup)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지금까지 한국의 고대 목간은 대략 700여 점 이상이 출토되어 보고되었다. 이 가운데 묵서가 있는 것은 450여 점 정도이며, 신라의 목간이 70% 정도의 분량을 차지한다. 가장 먼저 국가적으로 문자를 사용하였다고 생각되는 고구려의 목간은 아직 출토되지 않았다. 한국 출토 목간은 중국 간독과 일본 목간의 출토 점수에 비하여 매우 적은 수이지만, 고대 동아시아지역의 목간문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서사문화의 측면에서 고대 중국의 간독문화가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졌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 목간과는 시기적으로도 이어지고 있어 직접적인 비교 연구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개별 목간들을 대상으로 단편적으로 진행되었을 뿐, 동아시아지역에서 목간문화가 어떻게 전파되고 변용 •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관점은 부족하였다. 고대 중국의 간독문화는 고조선의 멸망 이후 설치된 한사군을 매개로 직접 유입되었다. 그러나 고대 한반도 서북부지역은 식생 환경의 영향과 고대국가가 미성숙한 사회구조의 한계 등으로 죽간의 문화가 현지에서 전개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대 한국의 서사문화는 죽간이 배제된 목간의 문화가 채택되어 한국적인 변용의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성장과 함께 목간문화는 해당 국가의 역사적 경험과 상황에 맞게 전개되었다. 문자문화의 경우 중국의 왕조나 군현세력과의 교류와 대립의 과정 속에서 고구려와 백제가 먼저 발전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한국의 목간문화는 이미 4세기 무렵에는 국가 내부적으로 어느 정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알려지고 있는 목간은 6세기부터 8세기의 목간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고대 일본의 목간은 지금까지 40여 만 점 정도가 알려지고 있는데, 가장 오래된 목간의 연대는 640년대 무렵의 목간들이다. 이후 소수의 목간들이 발견되다가 天武천황(672~686)대인 飛鳥淨御原宮 시대를 경과하면서 목간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701년 大寶令의 제정과 시행을 전후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수의 목간이 출토하고 있다. 먼저 고대 일본에서 죽간이 사용되지 않았던 것은 고대 한국의 목간문화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초기 일본 목간의 특징은 비록 한정된 출토유적에서 적은 수의 목간들이 출토하지만, 그 목간의 종류는 문서목간과 꼬리표 목간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확인된다. 반면에 기재내용이나 서식에 있어서는 정형화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양상은 초기 일본의 목간문화가 어느 정도 완성된 형태로 유입되어 한정된 사회 국면에서 전개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곧 고대 한국과의 교류 속에서 유입되었다고 해석해도 좋다. 특히 고대 일본의 문자문화와 관련된 전승을 통하여 볼 때 백제계 도래인집단의 역할이 크게 주목되는데, 현재 알려지고 있는 목간의 형태나 기재내용 등에서 7세기 이후 백제목간의 영향이 7세기 전반 이후의 일본 목간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The narrative culture of ancient East Asia originated in the bamboo and wooden documents culture of China, which started to be introduced in the northwest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via the Four Commanderies by Han after the collapse of Gojoseon and underwent transformation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regions and natio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ncient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In ancient Korea, character culture first developed in Goguryeo and Baekje that had confrontations against and exchanges with the Chinese dynasties in high frequency. The character culture based on wooden documents developed in each nation since the fourth century with wooden documents used broadly in Unified Shilla. Most of Korean wooden documents that are currently known were made in the sixth to eighth century, and they are compared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most of which were made in the seventh and eighth century, for similarities across various asp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arly wooden documents of ancient Jap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oden documents in the sixth and seventh century. The origin of Japanese wooden documents culture is estimated to have begun with the direct introduction of ancient Korea’s wooden documents culture that had reached certain level of completion. As Japan had close exchanges with Baekje, it seems that Baekje’s character culture and further wooden documents culture had the biggest influences on Japan’s wooden documents culture.

      • KCI등재

        신라(新羅) 삼천당(三千幢)의 성격(性格)과 추이(推移)

        이경섭 ( Lee Kyoung-sup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9

        신라의 삼천당은 진흥왕 5년(544) 大幢과 함께 가장 이른 시기에 왕경지역에 설치되었던 군사조직이다. 이와 관련된 기록이 태종무열왕 때 인물인 취도 열전에서 확인되는데, 이 글에서는 삼천당의 운용 양상을 검토하여 그 성격을 분명히 밝히려 하였다. 태종무열왕 5년에 벌어진 조청성 전투는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에게 북쪽 변경의 33성을 빼앗긴 국가적 위기 상황 아래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이에 태종무열왕은 김흠운이 출전한 낭당이 포함된 군사를 일으켜 조천성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자 다시 취도의 삼천당을 출전시켰다. 이때 김유신의 부대가 함께 출전하여 조천성(도리천성)을 탈환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취도가 배속된 삼천당은 국가적인 위기상황에 해당하는 긴급한 상황에 주력군단들을 예비적으로 지원하는 부대로서 활동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취도처럼 승려였던 인물도 자원하여 배속될 수 있었던 병원구성의 방식으로 보아 강력한 전투력을 보지한 군단은 아니었던 듯하며, 주력군단의 예비지원부대의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진흥왕 5년에 대당과 함께 삼천당이 설치되었던 이유 또한 예비지원부대의 성격으로 대당에 대응하여 창설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태종무열왕대까지 이와 같이 성격으로 존재하던 삼천당은 통일 이후 신라의 왕경에 국왕권과 더욱 밀착된 대규모 군단인 9서당이 들어서게 되면서 왕경에서의 존재이유가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마침 이 무렵 지방제도가 9주 체제로 정비되면서 지방의 군제 또한 새롭게 정비되는 계기를 맞이하였는데 왕경의 예비지원부대의 성격을 지녔던 삼천당은 삼천당주 ―삼천감 ―삼천졸 계열의 군관조직을 근간으로 10정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10정은 대대감 ―소감 ―화척 계열의 기병부대를 중심으로 하면서, 이를 예비적으로 지원하는 기존 삼천당의 삼천당주 ―삼천감 ―삼천졸 계열의 군관조직이 결합하여 새롭게 성립한 지방군 체제였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이면의 역사적 사실 속에서 軍號十停의 분주에 십정의 異稱으로 삼천당이 기록되었던 것이다. 왕경의 삼천당이 십정 조직으로 전환 배치되어 지방군 체제 속에 새롭게 정립된 시기는 외삼천이라고도 불렸던 신삼천당이 설치되던 문무왕 12·16년 무렵이 아니라 9주 체제가 완비되는 신문왕 5년에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Silla's Samcheondang(三千幢) was installed in the fifth year of King Jinheung(眞興王)'s reign(544), and its specific activities were introduced in the biography of Chuido(驟徒) in Samguksagi(三國史記) as the unit to which he was assigned. Furthermore, it was recorded as "Or call it Samcheondang [或云三千幢]" in the Bunju(分註) to explain the Sipjeong(十停) of Mugwan (武官) in Jikgwanji(職官志). As for the origin of Samcheondang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of Silla, it was estimated to have been run as an independent unit based in the Capital as a preliminary backup forces unit against Tang. Reflecting the corp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the old Tang-Samcheondang relations, Sipjeong install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as comprised of cavalry in the Daedaegam(隊大監) line and infantry in the Samcheondangju(三千幢主) lin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illa's Samcheondang was present in the military system of early Silla and had certain impacts on the complete military system of Unified Silla.

      • KCI등재
      • KCI등재

        宮南池 출토 木簡과 百濟社會

        李京燮(LEE Kyoung-sup)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궁남지 목간은 출토 상태의 양호함과 함께 판독된 문자의 내용으로 보아 지금까지 알려진 한국의 목간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목간을 이해하는 가장 기초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용도에 대한 해명은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목간이 어떠한 용도로 제작되었으며, 또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배경과 목간문화 속에서 위치하는가를 추구한 결과물이다. 먼저 목간의 용도를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는 목간 자체의 정보에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형태와 判讀, 書式의 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궁남지목간은 문서목간에 속하는 帳簿목간이며 나아가 하나의 목간이 완결된 정보와 기능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丁과 歸人(部夷)의 관계를 목간 앞ㆍ뒷면의 표리관계에 주목하여 정은 서부후항의 일반민들이며, 귀인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사람들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문헌에 등장하는 萬盧國, 邁盧ㆍ邁羅(王), 邁羅縣의 지명이 목간의 邁羅城과 같은 지역이라는 판단 하에 지명 연구들을 참고하여 전북 옥구(군산)지역으로 비정하였다. 서부후항의 丁과 외래계인 歸人은 非血緣的 관계이며, 이들은 매라성의 水田 5形과 모종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 관계를 유추하는 데 많은 시사를 주는 자료가 武寧王 10년(510)의 游食者 歸農과 義慈王 2년(642)의 大耶城民 徙民 기사이다. 游食者는 안정적인 재생산기반을 갖추지 못하여 농업생산구조에서 이탈한 계층을 의미하고 歸農은 곧 국가에 의한 徙民에 다름 아니다. 이와 같은 歸農(徙民)정책은 유식자들에게 최소한의 재생산기반을 제공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토지의 지급을 자연스럽게 상정할 수 있다. 전쟁포로를 나라 서쪽의 州縣으로 分居(徙民)시켰다는 것은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두 사례를 통하여 백제가 인민을 토지에 결합시키기 위한 사민정책을 시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료상의 大耶城民은 목간의 歸人에 견줄 만하고 游食者는 2명의 丁에 대응시킬 수 있을 듯하다. 귀인의 유형에 전쟁포로는 충분히 해당될 수 있으며, 목간의 丁도 비록 서부후항에 거주하지만 성인남자 2명으로 나열된 것에서 유식자의 처지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徙民의 實例는 궁남지목간의 내용에 근거한 용도를 생각할 때 연관성이 많다. 西部後巷의 丁을 중심으로 형성된 8인은 邁羅城으로 徙民되어 水田 5形을 지급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목간에 등장하는 丁과 歸人(部夷)들은 토지 소유나 노동력의 확보 등 안정적인 재생산기반을 형성하지 못했다고 여겨지므로 徙民(歸農)이 행해지면서 국가권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編戶되어 給田이 이루어졌다. 궁남지목간의 용도는 바로 徙民과 給田의 과정에서 사용된 ‘徙民給田籍’이었다고 생각된다. The article was written in order to define the use of the wooden tablet that were excavated from Gungnamji(宮南池). Until now, the wooden tablets from Gungnamji were thought to be used as the record of family registration, entry pass, labor mobilization documents, and comparison documents for tax collection. However, upon a closely checking on the forms and written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 it became recognizable that the purpose of the wooden tablet was to record the deportation of people and land provision. In the wooden tablet, there are two persons of Jeong(丁), four persons of Junggu(中口), who are stipulated as Guyin(歸人) [or Buyi(部夷)], and two persons of Sogu(小口). Jeong is considered to be people of the lower class who were living on the back streets(Hoohang, 後巷) of the west side(Seobu, 西部) of the capital city, while Guyin are migrants from outside Baekje society. The government, after enrolling them into its demographic registration, forced them to move to Maeraseong(邁羅城), Okgu(沃溝)[Gunsan(群山)] in today’s Jeonbuk(全北) province and supplied them with land. It seems the nation implemented the policy in order to make people who are excluded from means of production to be engaged in agriculture and, in turn, to collect taxes steadily from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