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 교과서, 현대사를 어디까지 서술할 것인가?

        방대광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4 역사와 교육 Vol.18 No.-

        본인은 고등학교 현장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로서 교과 서 서술에서 현대사의 범위를 어디까지 포함시키는 것이 좋을지, 또한 수능 시험에서 현대사를 어디까지 출제하는 것을 바람직한지 에 대해 의견을 피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 집필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교과서 서술 내용, 수능 시험에 출제된 현대사 문제에 대해 고찰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역사 교과서 서술 범위와 출제 범위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학생들은 한국 현대사를 배움으로써 역사적 존재로서의 개인의 배경과 토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삶에 대한 성찰도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현대사의 많은 논쟁도 역설적으로 보자면, 학생들 이 자신만의 역사인식을 형성하고 역사인식의 주체로 서나가는 과 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현대사의 하한을 집필 당시를 기준 으로 하고 있는 교과서와 바로 전 정부까지 다루고 있는 교과서가 있으며, 통일 노력은 8종 모두 바로 전 정부까지 다루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최근 3년간 수능 시험에서 한국 근ㆍ현대사와 한국사 과목에서 정치사는 6월 민주 항쟁, 경제사는 김영삼 정부의 경제 정책, 통일 노력은 노무현 정부의 통일 정책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사 교과서 서술과 수능 시험 출제와 관련하여 현대사의 범위 를 어디까지 해야 할지에 대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역사 교과서 서술과 현대사의 하한, 즉 현대사의 범위를 정하기에 앞서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특히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현대사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편, 역사 교과서 집필, 학교 현 장의 현대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구체적 으로 제안하자면 교과서 서술과 수능 시험에서 현대사의 하한을 전 정부까지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2013년 많은 사회적 논란 끝에 검정 통과된 한국사교과서는 2014년 입학한 고등학생들부터 필수 과목으로 배우게 됐다. 또한 한국사 과목은 금년 신입생들에게 적용될 2017학년도 수능 시험에 서 필수 과목이 되었기 때문에 그만큼 이전에 비해 역사교육에 대 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 의 역사 교사들은 더욱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도록 하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통해 제대로 된 가 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올바른 역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더 큰 관심을 가지고 도와주도록 해야 할 것이며, 향후 교육과정 개 편과 교과서 집필에 있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전개되어야 한다 고 간곡히 당부 드리고 싶다. Students lear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undation of existence as an individual, you can check is that you can reflect on life can be. Paradoxically,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s much debate term, students are aware of their own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recognition of the subject can be seen as standing ou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at the time of writing contemporary history based on the lower limit of the government to deal with textbooks and textbooks just before and just before the reunification efforts are eight kinds of government to deal with all that can be seen. Korean SAT in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Korean history roots politics in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course, the economic lives of the Kim Young-sam government economic policy, the Roh government's efforts to unify unified policy can be seen to include. Korean SAT described in history books and a range of questions in relation to modern history, you should know a few things about how far you want to offer. First, the history of modern history textbooks describe and lower, that is, to determine the scope of modern history, and writing curriculum standards prior to be cautious, especially you. Second, in relation to education and curriculum reform in modern history, a history textbook writing, the modern history of education in schools is needed systematic review. Third, the specific proposals in the gritty modern history textbooks describe the lower limit of the SAT exam and I think it is up to the government. Many social controversy at the end of 2013 black Korean history textbooks in 2014 passed a year for admission into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quired courses of study. Korean history course can also be applied to the 2017 academic year freshmen SAT subject tests required much earlier than this because the social interest in history education will increase. From this viewpoint, the history of schools and teachers have more heavy responsibility uisikreul history students have the right to form a proper alignment will try. In addition, schools can be made so that the correct history of the academic education, as well as have a greater interest in the government need to help them and, in the future curriculum reform and textbook writing got more attention and effort should be deployed'd like to earnestly urge.

      • KCI등재

        세계의 공동 역사교과서와 공동 역사서의 편찬과 간행 - 현황과 실태, 그 의의를 중심으로 -

        황인규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4 역사와 교육 Vol.19 No.-

        본고는 ‘세계의 공동 역사교과서·교재와 동아시아 공동 역사교 과서의 가능성 모색’이라는 주제로 세계의 공동역사 교과서의 편 찬 실태와 간행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현재 세계의 공동 역사 교과서는 2006년에 간행된 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가 유일 하며, 독일-폴란드 공동역사교과서가 머지 않아 간행된 예정이라 고 한다. 독일-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는 양국의 언어로 출판되었 으며, 제도권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다. 명실공히 양국의 공동 역사교과서로, 세계 역사상 양국의 공동 역사교과서가 오랜 협의 끝에 편찬 간행된 것이다. 독일은 민족주의적 자만과 제국주의적 침탈로 현대사의 매우 큰 피해와 오점을 남겼으나 역사분쟁이 아닌, 역사 화해의 길을 과감 히 추진해 나갔다. 독일과 역사분쟁을 겪은 체코, 이스라엘 등과 양 국의 공동 역사교과서의 간행 협의가 진행되었으나 이스라엘-팔 레스타인 공동 역사서(2003)가 간행되었을 뿐이다. 여기에는 독일 게오르그-에케르트 국제연구소(GEI)의 공이 매우 컸으며, Unesco의 노력도 매우 컸다. 유네스코는 유럽을 위시해서 아프리카, 남미 등 세계의 공동 역사서를 간행하는 데 앞장을 섰다. 대부분의 지역이 유럽 제국주의가 가해자로서 피해를 가했던 지역 국가이다. 제1·2차 세계대전을 겪은 유 럽은 유럽 공동체의 정체성을 절감하고 13 국의 학자와 교사들이 모여 지역 공동 역사서인 새 유럽의 역사 를 간행하였다(1995, 1997). 서유럽의 역사를 유럽 공동 역사교과서 를 표방하였지만 동유럽이 소외되고 현대사의 주역이라고 할 미국 을 배척하는 등 또 하나의 유럽 시민국가의 역사에 머물고 말았다. 지역 공동역사서는 유럽에서 발칸반도의 남동유럽 공동역사서 (1999~2006), 유고슬라비아 공동역사서(2009) 등도 간행되었지만 현재도 역사와 현실의 분쟁을 겪고 있다. 이러한 공동역사서는 TNA(Trans-national Non-State Actors)라고 할 초국가적 역사 NGO 독 일의 게오르그-에케르트 국제 연구소나 EUROCLIO와 활동에 힘입 은 바 크다. 특히 UNESCO에 서구 열강과 제국주의의 침탈을 받은 아프리카(1964~1999), 라틴아메리카(1987~1999) 및 카리브연안 (1995~2007), 그리고 중앙아시아(1999~2009) 등에서도 공동 역사 서가 오랜 기간의 협의 노력 끝에 간행되었다. 지역 내 각국의 공통 된 사회와 문화의 정체성을 회복 또는 확립하기 위한 것이며, 양자 가 아닌, 다자(多者)간의 협의 사례이다. 동북아시아의 한국과 일본 중국도 역사화해를 시도하여 한·중· 일 공동역사 부교재가 간행되기에 이르렀으나(2005~2012) 현재도 한·중·일은 최대의 역사 분쟁을 겪고 있어서 아쉬움이 크다. 동아시 아 3국은 동북아의 범주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의 무대에 동참하고 앞서 나아가야 하겠다는 시야의 확대가 요청되고 있다. This manuscript is reviewed for publication and compilation of the status of the world's publishing joint history textbook studies. The joint history textbook was published in 2006, Germany - France joint history textbook world today is unique. Polish publishing joint history textbook was published so soon - Germany that going forward. Germany - France joint history textbook is published and used in 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and in the language of the two countries. Our shared history in world history textbook was published after a long consultation, the published. German nationalist pride and imperial exploitation of modern times very great damage and left a stain. But the history went ahead and resolutely the path of reconciliation. Czech Republic and Israel, and our shared history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negotiations are under way. The Israeli-Palestinian joint history book was published. Georg Eckert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GEI) and UNESCO were also make a great contribution. UNESCO is Throughout Europe and Africa, Latin America, including that published by the joint history of the world to take the lead. Most of the region of the European imperialism as perpetrator of damage inflicted on local country 13 country’s scholars and teachers gathered together and community history, Publications, a history of the new Europe(1995, 1997). The history of Western Europe announced that it had published one of the joint history textbook, but Europe and Eastern Europe are isolated and was opposed to the United States to said to be a major part of modern history, including another European citizens ended up staying in the nation's history. Common history textbooks were be heavily indebted to TNA(Trans-national Non-State Actors); Georg-Eckert-Institut für internationale Schulbuchforschung, EUROCLIO. UNESCO published jointly published history textbook ; General History of Africa eight volume set(1964~1999), General History of the Latin America(1987~1999), General History of the Caribbean(1995~2007), Hiatory of Central Asia(1999~2009), Disarming History(1999~2006), Common history textbooks of Yugoslavia (2009). The identity of each country or of establishing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of recovery that it formed for Consultation of the several countries. South Korea and Japan, China is also a history Historical Reconciliation. East Asia three countries category of the East Asia is not only to stay in East Asia and ultimately the world participating in a stage have to get ahead.

      • KCI등재
      • KCI등재

        몽골 역사교과서의 영토교육 내용에 대한 검토 -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TS. 체렝도르지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5 역사와 교육 Vol.20 No.-

        몽골은 러시아와 중국 등 세계 최대 강국들 사이에 위치해 있으나 현재 동아시아에서 영토 이웃 국가와 영토분쟁이 없는 유일한 나라이다. 따라서 교과서에는 영토문제에 대한 서술은 거의 없고 다른 국가의 영토 분쟁에 관해서도 언급을 피해 왔다. 다만 몽골의 역사적인 영토 인식에 대한 서술은 적지 않게 발 견된다. 본고에서는 최근 10년간 사용된 교과서의 국경 및 영토 관련 내용을 검토했는데, 특히 유목국가의 영토 에 대한 인식과 국경 형성의 역사적 과정을 서술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몽골에서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세 가지 계열의 몽골사 교과서가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한 종류만 발행되고 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세 가지 몽골사 구 교과서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신 교과서 사이에는 국 경 및 영토 관련 내용과 분량에 차이를 보인다. 구 교과서에서는 몽골의 영토 확장과 수복, 국경분쟁과 같은 내용들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다룸으로써 영토에 대한 자각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전근 대시기 국경과 영토에 대한 서술이 많은 점이 특징적이다. 이에 반해 2011년 이후 통일된 신 교과서에 는 이전과 비교하여 국경 및 영토 서술 비중이 줄어들었다. 세계적으로 영토에 대한 관심과 그에 따른 분쟁도 다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몽골의 역 사교과서에도 국경 및 영토에 대한 내용이 좀더 확대되고 상세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Mongol is located between the super powers such as Russia and China, but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no territorial conflict in East Asia currently. Therefore, in educational texts, there are no writings on the territorial problems and have avoided territorial conflicts in other areas. However, writings on perceptions on historical Mongol territory can be identified often. This article examined educational texts that were used for 10 years regarding territorial boundaries and land. Particular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perception of territory in a pastoral country and historical process of establishment of borders. In Mongol, three affiliation of Mongol educational texts were used from 2005 and 2010, but only one type was published afterwards. The old text published by three affiliations used in 2005 and 2010 and the new text currently in use no differs in the amount of content of the narratives on borders and territory. In the old text, it emphasizes self-awareness and importance of territorial expansion, rehabilitation, and territorial disputes in a historical context. Especially, the large amount of narratives on boundaries and territories of pre-modern era is its characteristics. In contrast, the new text, uniformed into one affiliation, have reduced the amount of narratives on boundaries and territories. Globally, various conflicts rising from interest in territory have been occurring at various aspe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ongol historical texts to expand and specify its content on territory and borders.

      • KCI등재

        제1차 교육과정의 국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성강현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6 역사와 교육 Vol.22 No.-

        교과서는 수업을 위해 적합하도록 편집된 도서로 교수 학습의 기본이 되는 교재이다. 교과서는 그 시대의 역사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국사 교과서는 더욱 그러하다. 해방 이후 미 군정기를 벗어나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하면서 독립국가로서의 첫 발을 내딛는 교육이 제1차 교육과정기이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 공포된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 이후, 1963년 2월 15일 문교부령 제120호로 개정된 ‘교육과정령’이 공포되기까지의 교육과정을 말한다. 이 시기의 교과서는 해방 이후 미 군정기에 급작스럽게 만들어진 조잡한 교과서를 벗어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한 결과물이기도 하였다. 특히 국사 교과서는 일제에 의한 식민사관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1956년 검인정을 통과한 중학교 10종과 고등학교 4종의 교과서는 이후 확대하였다. 중등학교 교과서의 저자는 대부분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과 일본의 와세다대학, 동경제국대학 등에서 역사를 전공한 학자들에 의해 저술되었다. 이들은 일제 식민사관으로 교육받아 이를 벗어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국사 교과서는 문교부의 지도목표를 바탕으로 저술되었는데 전근대사가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식민지를 벗어나 자주적 독립국가의 건설인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일제 강점기의 식민지배 청산과 독립운동에 대한 강조가 주요한 의제였음에도 이에 대한 내용이 국사 교과서에 거의 서술되지 않아 학생들은 역사 수업을 통해 자주적 역사관을 배울 수 없었다. 이러한 측면은 교과서의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제 식민사학의 주요 이론인 정체성과 타율성의 근거가 되었던 주요 사건에 대한 서술 내용은 일제 식민사학의 주장을 크게 벗아나지 못했다. 단군에 관하서는 설화로 서술하여 우리 역사의 출발에 대한 자주적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타율성과 관련해 일제가 많이 강조하던 한 군현의 지배는 상세히 서술되어 우리 역사가 외래의 충격에 의해 발전했음을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었다. 우리 역사의 자주적 활동을 보여주는 나당전쟁은 간략하게 서술하였고 묘청의 서경천도운동과 동학농민운동은 반란으로 기술되었다. 또한 장보고의 해상활동과 공민왕의 개혁은 개인 역량의 부족으로 실패하였다고 그 의미를 축소하였다. 식민사관의 또 다른 이론인 당파성을 강조하던 붕당정치는 긍정적인 측면의 내용보다 부정적 측면이 강조되어 서술되었다. 일제강점기 최대의 독립운동이었던 3⋅1운동은 분량에 비해 내용이 부실하게 서술되어 있었다. 이처럼 국사 교과서의 내용은 식민사관의 극복이라는 해방 이후 한국사의 과제를 실현하지 못한 채 간행되었다.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한계는 몇 가지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교과서 간행을 주도하던 문교부가 교과서 편찬의 기준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둘째, 교과서를 저술한 학자들이 식민사관을 벗어나고자 노력하지 않았다. 셋째, 6⋅25전쟁의 여파로 이념 대결이 강화되어 민족사학의 정립이 도외시되었기 때문이었다. 넷째,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미흡하였다. 다섯째, 미군정기의 여파가 작용하고 있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는 이후 교과서 간행의 시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국사 교과서는 여전히 식민사관의 수혜 속에서 학문적 성과를 이루었던 학자들이 만들었기 때문에 주체적 역사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후 국사 교과서 서술의 모범이 되지 못하였다. Textbooks are said to be books which are the basis of teaching-learning and edited to fit for a class. Textbooks, especially history textbooks, reflect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time when they are written. The first curriculum was made wh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fter its Liberation.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extended from Ordinance No. 35 of the Ministry of Education(April 20, 1954), Ordinance on Curriculum Time Allocation, to Ordinance No. 120 of the Ministry of Education(February 15, 1963). Textbooks in those times have improved a lot since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especially history textbooks needed to overcome a colonial view of history. The number of 10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4 history textbooks for highschool which got official approval in 1956 had increased since then. But, most of the author of middle school textbooks specialized in history in Waseda University and Tokyo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had limits in getting out of a colonial view of history because they were educated under it. History textbooks in those days were written based on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emodern history made up about 80% of their contents. Although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an independence movement had to be emphasized, they were little written in the history text and students could not learn the independent historical view in the class. Description of historical ev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ere the basis of identity and heteronomy, inherited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e writers recognized Dangun just as a myth, not a historical fact. They described with detail Han’s rule of Gojoseon, which Japanese historians emphasized greatly. This implied that our history had developed through outside influences. They simply wrote Silla-Dang War, and described Movement of Transferring the Capital by Myocheong and Donghak-Peasant Revolution as a rebellion. In addition, they underestimated Jangbogo’s Marine Activity and King Gongmin’s reforms as a failure because of individual inability. Bungdang politics, another colonial view of history, were depicted in a very negative way.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the largest independence movement, were explained roughly. This poor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without overcoming colonial views of history.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the limits of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first curriculum. First of all, the Ministry of Education didn’t present the criterions for editing a history textbook. Writers of textbooks also didn’t try to overcome their colonial view of history as well. In addition, the national view point of history couldn’t establish its stand in the aftermath of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Civil War. Then, there were little research in the historical world. Lastly, the aftermath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n continuous influences on the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ublic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first curriculum was a touchstone of subsequent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s, it couldn’t be a model for history textbooks because they were written by the historians who learned a colonial view of history, not an independent view of history.

      • KCI등재

        동아시아 역사 갈등, 어떻게 풀 것인가?

        조광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4 역사와 교육 Vol.19 No.-

        역사교육은 인접국 상호간의 이해증진과 평화공존 및 공동발전 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만큼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육의 주요 도구가 되는 역사교과서의 편찬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특정국가의 일부 역사교과서들은 쇼비니즘 적‧군국주의적‧패권주의적 역사이해를 통해서 주변국에 대한 편견 을 조장시키고, 인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동아시아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 특히 한국 과 중국, 일본은 상호 인접한 국가로서 서로의 역사에서 많은 부분 을 공유하고 있다. 그만큼 한‧중‧일 삼국은 공통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추구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으 나, 한 사건에 대한 사실 인식이나 그 평가에 있어서 일정한 편차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동아시아 역사분쟁의 실체는 일본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검정에 대한 문제로 나타나게 되었다. 역사교과서의 서술 내용으 로 인한 역사분쟁의 발생은 동아시아 삼국의 우호와 친선에 큰 장 애가 되었고, 세계의 평화를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한 일이 되지 못 했다. 이에 동아시아의 NGO에서는 상호 이해와 우호를 증진시켜 공동발전과 번영을 이루고 동아시아의 평화 증진 에 기여하기 위해 국제적 연대를 기초로 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한국 과 중국의 역사연구자들도 역사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신중한 검토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동아시 아의 역사분쟁은 NGO 차원의 노력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 가 아니다. 현재의 상황에서 역사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사 교과서에 대한 저작권이나 검정권을 가지고 있는 정부 당국의 성 의 있는 노력이 전개되어야 했다. 물론 이에 앞서서 동아시아 각국 의 당국자와 학자들은 상호 진지한 노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이 노력은 자국중심/일국중심의 역사를 지양하여 자국과 타국의 상호관계에 대한 역사적 진실에 접근하려는 자세에서 출발할 것이 다. History education is based on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mutual understanding, peaceful coexistence,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Thus, our educational world has paid special attention to publication of a history textbook, a major tool for history education. Yet, some countries' history textbooks, which induce to possess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militarism, hegemonism, and chauvinism, caused prejudices about neighbouring countries, and as a result, national conflicts. This phenomenon could be found in East Asia, where Korea, China and Japan are sharing their history as neighbouring countries. Although it is fair to say that these three nations recognize responsibility to seek for consensus and understanding on the same historical events, there are some disagreements on understanding or evaluation on certain cases. These historical conflicts, produced by the history textbooks' contents of description, have been an obstacle to friendship and amity among East Asian countries, and consequently harrassment to the world peace. Hence, NGO in East Asia has put enormous effort to expand mutual understanding and friendship for collaborative development through international solidarity. Still, a historical conflict is not a problem that NGO level endeavor could solve. To solve the conflict under the present situation, sincere effort of the governments, which have copyrights and power to qualify history textbooks, is necessary. Consolidation of sincere cooperation among the academic researchers is also required. This effort should be started from the attitude of sublating ethnocentric historical viewpoint and seeking truthful historical facts in rela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nations.

      • KCI등재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과 대안

        이수정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4 역사와 교육 Vol.19 No.-

        일제 강점기를 전후하여 나타난 일본 사학계의 임나일본부설 등 의 선입견으로 가야사는 국사 교과서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보다 제한적으로 서술될 수밖에 없었다.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를 분석 해 본 결과, 5차 교육과정 시기에 집필된 국사 교과서에서 가야사 는 이전 시기의 교육과정에 비해 분량면이나 내용면에서 비약적으 로 발전하였다. 이는 1980년대부터 가야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성 과를 바탕으로 문헌사적으로 가야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7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고등학교 교과서가 분류사 체제를 선 택하면서 가야사는 정치사를 제외한 경제, 사회, 문화적 서술은 제 시되지 못했다. 이를 보완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야사 서술 부분은 이전 교육과정 시기의 가야사 서술보다 비중이 축소되는 한계는 있었지만, 사진자료와 지도 등 보조 자료를 활용하여 부족 한 서술 부분을 보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국정 교과서 시기(3차 교육과정〜7차 교육과정)의 교과 서에서 앞선 교육과정 시기의 가야사 서술 내용을 그대로 서술하 여 국정 교과서 체제의 교과서 서술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 가야사 서술은 초기 교육과정시기에 비해 많이 발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삼국에 비해 뒤쳐진 느낌이 다. 역사 교육의 목적은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키워가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가야사 서술을 바라 본다면 정치사적 접근만으로 역사 사실을 서술하여 역사 교육의 본질을 흐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이 든다. 가야는 분명 삼 국 시대를 아우르는 긴 시기동안 고구려, 백제, 신라와 함께 호흡하 며 공존하였다. 정치사적 입장을 뛰어 넘은 다양한 문화 관점에서 가야사 서술 이 이루어진다면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이 더욱 풍부해지고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Gaya's history had been described restrictively compared to the history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due to preconceptions such as IMNAILBONBU of Japanese history fields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since Korea's liberation, there were saltatory developments of descrip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Gaya in its quantity and content in the 5th educational curriculum's textbooks compared to former curriculums. This is why active progress in study of Gaya history through the philology after 1980's based on the archeological performance in Gaya area. History of Gaya did not presented in the side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scription except its political history as adoption of system of categorization history in highschool textbook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ough there was a limit like to the reduction of quantity of Gaya history, there was a remedy lack of description using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picture and maps in 2009's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t is easy to find the limit of description in the national textbooks from 3rd 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it copied prior curriculum's decription of Gaya history. In spite of the development in description of Gaya history since Korea's liberation compared to the early curriculum, it was left behind description of three Kingdoms of Korea.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develop a variety of views. Considering the description of Gaya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in this light, it raises questions that it blur the nature of history education to describe only based on the political history. Gaya definitely existed with Goguryeo, Baekje and Silla during a long time covered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Description of Gaya through cultural point of views overcoming a view of the political history lead to a rich description and saltatory development of ancienty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 KCI등재

        교육과정 규정력과 교과서 집필자 행위주체성에 대한 사례 연구 –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은홍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23 역사와 교육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집필 과정 에서 집필자가 교육과정 규정력 아래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교과서 내용을 집필했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성취기준을 교과서 집필자가 어떻게 해석하여 교과서 내용 구 성에 반영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교과서 집필자 2명을 인터뷰하였고, 그들의 교과서 집필이라는 체험 속에서 그 의도를 어떻게 구현하였는지에 집중하였 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의미단위로 코딩하였고, 9개의 범주와 3개 의 테마가 도출 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 성취 기준의 용어를 집필자 가 어떠한 고민을 거쳐 교과서에 구현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집필자들은 교 육과정에 제시된 기준을 자신의 관점을 가지고 해석하여 의미를 만들어 냈으 며,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내용을 구성하고 선택하는 자율성을 가진 행위주 체로 분명하게 존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author wrot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under the curriculum Influ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To do so, I examined how textbook authors interpreted the new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and reflected them in their textbook content organization. Two textbook authors were interviewed, focusing on how they implemented their intentions in the experience of textbook writing.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oded semantically, and nine categories and three themes emerged. This process revealed how authors thought about and implemented the language of the curriculum performance standards into their textbooks. The authors made meaning by interpreting the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from their perspectives, and they existed as agent to organize and select content in the textbook writing process.

      • KCI등재

        중국 역사교육체계와 중국학계의 임진전쟁, 병자호란 연구경향

        김경록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8 역사와 교육 Vol.26 No.-

        격변하는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에서 역사문제를 둘러싼 국가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이를 반영하여 중국은 현실적인 국가이념을 구체화한 역사교육체계를 갖추고 역사교과서를 편찬했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로 국가에서 교과서를 국가지도지침에 의거하여 교육체계를 설정한다. 유치원교육에서 대학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교육체계를 갖춘 중국에서 역사교과서가 사용되는 것은 대학교육체계에 입학하기 이전까지이다. 중국은 교육을 통해 인민을 중국 공산당의 지도이념에 적합하도록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교육체계를 특히 중시한다. 이는 철저하게 교과서를 중국 당국에서 통제하여 중국 공산당의 지도이념을 구현한 내용으로 작성하고 이를 한정된 교과서 분량에 압축적으로 서술한다. 방대한 인구와 영토에서 교육체계는 상급학교로 가면서 치열한 입시경쟁으로 이어지며, 실제 한국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高中의 경우, 3학년에 올라가면서 모든 과정이 입시체제로 전환된다. 방대한 교육분량을 시험을 통해 분별하기 위해서는 입시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실제 중국 당국이 의도하는 교육목적이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교육되는가에 대해서는 차후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중국의 교육체계는 중국의 국가지도이념에 의해 결정되는데, 현행 중국의 교육체계가 중국공산당 대표대회에서 채택되는 정신을 실현한 것이므로 중국의 문화정책 변화과정은 교육체계의 변화과정이라 할 것이다. 중국의 교육정책 내지 교육지침은 중국 당국의 문화전략 일환으로 시행되는데, 개혁개방이 본격화된 1980년대 경제발전을 토대로 변화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중국에서 ‘문화진흥’이 국가사업으로 부상했다. 현대화는 이후 중국의 자부심을 바탕으로 ‘大國化’로 표현되어 ‘정치대국’, ‘경제대국’, ‘과학기술대국’, ‘문화대국’이 되었다. 경제발전은 문화강국으로 이어지며,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교육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그러나 중국 역사교과서에서 왜란과 호란은 『세계근대현대사』에서 매우 소략하게 서술하였다. 그러나 중국 역사교과서를 편찬하는 기반이 되는 중국학계는 임진전쟁과 병자호란을 중화주의 관점에서 연구하여 성과를 축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학계의 임진전쟁과 병자호란에 대한 연구는 이를 배경으로 한 역사물로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소개된다. 중국에서 대중을 대상으로 한 역사교육은 역사교과서보다 오히려 역사물이 보다 효과적일지 모른다. 중국 당국의 문화대국 건설에 역사물은 큰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드라마, 영화로 소개되는 역사물은 중국인의 역사의식을 고취시키는 매개체이다. 중국 역사교과서에 대한 세밀한 분석에 중국 국가이념 및 교육체계, 입시체계, 역사물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이유이다. There is a conflict between nations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Northeast Asia in the upheaval of the history issue. Reflecting this, China has compiled a history textbook with a history education system that embodies realistic national ideals. China is a socialist state, and it establishes its educational system in accordance with national guidelines for textbooks in countries. In China, which has a multi layered educational system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history textbooks are used until they enter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China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the education system in that it fosters people to conform to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rough education. This i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by controlling the textbooks thoroughly by the Chinese authorities and compressively describes them in a limited amount of textbooks. In an enormous population and territory, the education system leads to a fierc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inations as they go to higher grade schools.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ctually Korean high schools, all courses are converted into entrance examinations as they move up to the third grad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vast amount of education through examinations, examination-centered learning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more carefully whether the actual educational purpose of Chinese authorities is effectively educated to students. The educational system of China is determined by the national guiding ideology of China,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cultural policy in China is a process of change of education system, since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f China is realized in the spirit of being adopted at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hina's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 guidelines are implemented as a cultural strategy of Chinese authorities. It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1980s, when reform and opening up began. In the 1990s, 'cultural promotion' emerged as a national project in China. Modernization has since been expressed as Great Country on the basis of China's pride, becoming the Great Politics, Great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Grand Challenge, and Great Cultural Power. Economic development leads to a cultural power, and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that supports it is also emphasized.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it is very roughly describing Imjin War(壬辰戰爭),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However, the Chinese academic world, which is the basis for compiling the Chinese history textbooks, has accumulated the achievements by studying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Imjin War and the the Manchu war of 1636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is introduced as a historical background, not only to students but also to the general public. Historical education for the public in China may be more effective than historical textbooks. History is a large area in the construction of the cultural power of the Chinese authorities. Dramas and movies are the mediums that inspire Chinese people's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is why Chinese history textbooks need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Chinese national ideology and education system,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history media.

      • KCI등재

        남북한 중학교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사 서술체제와 내용분석

        김형준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4 역사와 교육 Vol.18 No.-

        본고는 남북한 역사교과서인 『국사』와 『조선력사』4 부분 중 고 려시대 대외항쟁사를 비교ㆍ분석하여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공유 하고 있음에도 남북한의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역사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역사 서술에서의 동질ㆍ이질적인 요소 를 찾아내어 통일시대를 준비해 나가는데 있어 남북한 청소년들의 올바른 역사인식 함양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남북한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 서술체제를 비교해 보았다. 『국사』와 『조선력사』4에 나타난 단원의 구성을 비교하고, 교과서 내용 중 고려시대 대외항쟁사 서술 분량의 차이와 서술 방 법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둘째, 남북한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 서술 내용을 분석 하 였다. 거란ㆍ여진ㆍ몽골과의 항쟁과 홍건적ㆍ왜구의 격퇴에 관해 서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 형태와 인식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남북한 교과서의 대외항쟁에 대한 서술은 기 본적으로 자주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동질성을 찾을 수가 있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이질 성이 발견되었는데 우선 서술 구성 상 차이점을 보였다. 『국사』는 양적인 면에서 고려시대 모든 분야 가 비교적 균형 있게 서술되고 있지만, 북한 교과서에 비해 지배계 층의 변화와 정치제도의 정비 등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에 반해 『조선력사』4에 나타난 고려시대 서술체계의 가장 큰 특징 은 대외항쟁사, 특히 고려와 거란의 전쟁, 고려와 몽골의 전쟁에 대 한 부분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서술 내용의 분석에서 대외항쟁을 이끈 주도층의 대한 인 식도 달랐다. 『국사는 기층민의 역할을 의식하되 국가 또는 지배 층 중심의 역사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조선력사』4 는 인민대중의 대외항쟁을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하고, 서술 면에서도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외적이 침입하였을 경우 이것에 저항하고 물리치는 것은 항상 인민대중이며 지배층은 달아 나고 배신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돌보는 반역사적 존재로 규정하고 있었다. 지배층의 무능함과 대비하여 지나치게 인민의 투쟁을 강 조한 것은 오직 인민에 의해서만이 역사가 발전한다는 계급 투쟁 론적인 관점을 심어 주기 위함이었다. 여기에서 남북한 국사교과 서의 서술의 특징이 확연히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체제와 내용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인 역사적 사실에 씌워진 이념이나 정치성을 가능한 한 조화시키거나 배제하도록 노력하면서 역사공동체ㆍ문화공동 체로서의 인식을 더욱 새롭고 깊게 하여 가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이것이 우리들에게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로 향하는 남북한 청소년 들의 올바른 역사의식 형성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 appeared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n which share the same history. The annals of resistance movement against foreign aggression during the Goryeo period were compared by using the two history textbooks: 『National History』textbook of South Korea and 『History of Joseon』of the fourth year textbook of North Korea.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systems between the two textbooks were compared. Second, the contents of the two text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oth textbooks had an emphasis on independ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re were many differences. First of all, it showed differences in descriptive system. In 『National History』, descriptions for all facets of society during the Goryeo period were relatively balanced from a quantitative aspect. On the other hand, 『History of Joseon』 focused on the resistance movement of Goryeo against foreign aggression. Also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ir perception on the influencers who led such resistance movement was different. In 『National History』, descriptions were focused on the state- or ruling class-oriented history, although the role of grass-roots had been recognized. On the contrary, 『History of Joseon』 regarded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general populace as the most important event. Thus, the stories about such events occupied a lot of spaces. It described the general populace as the subject to resist and defeat the enemy in case of foreign aggression and it defined the ruling class as the anti-historical existence who runs away and betrays caring only for own profits.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renew our perception on the community formed on the basis of common history and culture, and to think about it dee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