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연(茶宴)인가, 주연(酒宴)인가 :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 소장 〈궁락도(宮樂圖)〉의 신해석(新解釋)

        이희관(Lee Heegwan) 국립광주박물관 2022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5

        〈궁락도〉는 당대(唐代)의 사회문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시각자료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궁락도〉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 가운데 기초적이면서도 핵심적인 문제에 속하는 이 그림의 주제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궁락도〉에는 십여 명의 여자들이 커다란 장방형 탁자의 주위에 둘러앉거나 서서 연회(宴會)를 즐기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연구자들은 이 그림에 묘사되어 있는 기물(器物)을 분석하여 이 그림의 주제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어떤 연구자들은 이 그림에 등장하는 완(碗)이 찻잔이라는 이해를 토대로 이 그림의 주제가 다연(茶宴)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어떤 연구자들은 이 그림에 보이는 칠기양이배(漆器兩耳杯)가 술잔이므로 이 그림은 주연(酒宴)을 묘사한 것이라고 한다. 이 두 견해를 절충하여 이 그림이 주연이 시작하기 전이나 끝난 후에 차를 마시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주기(酒器)와 다기(茶器)는 구별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서로 혼용되기도 하고, 다른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다. 예컨대, 이 그림에 보이는 칠기양이배를 두고 거의 모든 연구자가 주기이라고 하지만, 이 연회에서는 식기(食器)로 쓰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이 그림에 등장하는 기물들을 분석하여 이 그림의 주제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필자는 이 그림에 등장하는 기물들과 더불어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위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주령(酒令)을 행하고 있는 중이라는 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주령은 주연에서 흥을 돋우기 위하여 행하는 유희의 일종이다. 그러므로 이 그림은 여자들이 참가한 주연을 묘사한 것이 분명하다. A Palace Party(唐樂圖)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sual materials for u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Tang Dynasty. This study examines the subject of this painting, which has been the basic and core issue among various issues related to it.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 Palace Party depicted about a dozen women who sat or stood around a large rectangular table and enjoyed a party. Researchers tried to identify the subject of this painting by analyzing the objects depicted in it. Some researchers considered the bowls(碗) in this painting to be teacups, and suggested that the subject of this painting was a tea party(茶宴). Other researchers argued that the lacquered bowls with two handles(漆器兩耳杯) in the painting are drinking cups, so it depicted a drinking party(酒宴). Some researchers even attempted to balance these two views and argued that the painting depicts tea drinking before a drinking party begins, or after it ends. However, not only i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drinking cups and teacups at that time, but they were also used interchangeably, or for different purposes. For example, while almost all researchers considered the lacquered bowls with two handles in the painting to be drinking cups, it is determined that they were used as tableware at the part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our capacity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the painting by analyzing the objects in the painting. In this study, the actions of the women appearing along with the objects in the painting were analyzed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playing a drinking game(酒令), which requires losers to drink as a penalty. Drinking games are a type of game played to increase fun at drinking parties.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painting depicted a drinking party attended by women.

      • 북한지역 분청자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박정민(Park Jungmin)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이 글은 북한지역 분청자 연구의 폭과 인식의 확대를 위해서 북한에서 발굴조사된 분청자 가마터와 출토유물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한정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소략한 것이 이 글의 한계이지만 현재 남한에서는 관련 자료를 파악하기 쉽지 않으므로 해당분야에 대한 차후 연구를 위해 북측상황을 소개한다.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地理志)」에는 황해도(黃海道), 함길도(咸吉道), 평안도(平安道) 지역에 총 30곳의 자기소(磁器所)가 등재되었다. 당시에 등재된 자기소가 그 정도이니 실제로 운영된 가마의 수는 더욱 많았을 것이다. 현재 북한에서 조사된 분청자 가마터는 모두 5개소로 대부분 황해도에 자리한다. 황해북도 평산군(平山郡) 봉천리(鳳川里) 가마터, 황해북도 승호구역(勝湖區域) 화천동(貨泉洞) 송진자기가마터, 황해남도 과일군 사기리(沙器里) 가마터, 황해남도 옹진군(甕津郡) 은동리(銀洞里) 가마터, 황해남도 장연군(長淵郡) 박산리(礴山里) 가마터 등 이상 5개 유적에서는 대부분 선상감기법과 인화상감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한 조선 15세기 분청자가 출토되었다. 북한은 발굴조사된 분청자 가마터들 중에 분청자와 백자가 함께 출토되는 송진자기가마터를 제외한 모든 유적이 고려시대 운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보고된 대부분의 분청자 가마터는 유물퇴적층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지 않아 어떠한 시기적 특징이나 지역성을 제시하기 어렵다. 다만 보고서에 제시된 송진자기가마터와 박산리 자기가마터의 가마는 아궁이는 물론 번조실의 측벽까지 큼지막한 돌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이 지역성인지는 앞으로 보다 많은 자료의 확보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writing is what arranged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which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North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relics,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and the awareness of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in North Korea. Because of having been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restricted data, the simplicity is the limitation of this writing. But it is not easy now to grasp relevant materials in South Korea, thereby introducing a situation in North Korea for a future research on the corresponding field. 『Sejongsilrok(世宗實錄)』「Jiriji(地理志)」was registered totally 30 ceramic workshop(磁器所)s in Hwanghae-do(黃海道), Hamgil-do(咸吉道), and Pyeongan-do(平安道) areas. Ceramic workshops, which were registered in those days, are about that much. Thus, numbers of kilns, which were actually operated would be much mor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which were now surveyed in North Korea, are totally 5 sites. Most of them are situated in Hwanghae Province. The kiln site in Bongcheon-ri(鳳川里), Pyeongsan-gun(平山郡) of Hwanghaebuk-do Province, the Songjin ceramic kiln site in Hwacheon-dong(貨泉洞) of Seungho district in Hwanghaebuk-do Province, the kiln site in Sagi-ri(沙器里), Gwail-gun of Hwanghaenam-do Province, the kiln site in Eundong-ri(銀洞里), Ongjin-gun(甕津郡) of Hwanghaenam-do Province, and the kiln site in Baksan-ri(礴山里), Jangyeon-gun(長淵郡) of Hwanghaenam-do Province were excavated the 15th century Buncheong Porcelain(紛靑瓷)s in Joseon dynasty, which were engraved a pattern mostly with line base inlay technique(線象嵌技法) and stamp base inlay technique(印畵象嵌技法). North Korea is recognizing that all historic sites were operated in the Goryeo period excluding the Songjin ceramic kiln site, which is excavated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and the white porcelain together, among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that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The majority of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which were reported are not suggested the contents on the relic sediments, thereby being difficult to propose any chronological feature or regionality. Still, the Songjin ceramic kiln site and the Baksan-ri ceramic kiln site, which were submitted to the report, are characterized by what not only furnace but also main body of kiln’s side wall were made of a huge stone. There is a need to specifically understand about whether this characteristic is locality through obtaining much more materials down the road.

      • 고려시대 차 문화의 특징

        박동춘(Park Dongchoon) 국립광주박물관 2022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5

        고려시대 차 문화가 융성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토대는 왕실 귀족층과 수행 승려, 그리고 관료 문인이다. 특히 고려 왕실이 주관하는 공덕재(功德齋), 팔관회 등 불교 행사에서 왕이 몸소 차를 갈아 부처님에게 올렸으며 공신이나 수행승에게 차를 하사했다는 사실에서 왕실 귀족층의 차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왕실은 차의 이로움을 국가 제도에 활용 국가의 중대사를 처리할 때 차를 마시는 의례를 거행하여 맑고 안정된 상태에서 국사를 처리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는 고려 왕실의 지혜로운 차의 실용을 드러낸 사례이다. 한편 사원의 승려는 고려시대 차 문화를 이끈 주체로, 명전(茗戰)을 열어 가장 좋은 차를 선보였다. 사원의 명전 놀이에 초청된 관료 문인은 새롭고 진귀한 차를 경험할 수 있는 문화 현장이었으며 고상한 차의 진수를 칭송한 문인의 다시(茶詩)는 고려시대 차 문화의 격조를 드높인 동력이라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차 문화의 특징은 외래문화였던 차 문화를 고려 색을 함의한 차품과 다구를 완성한 시대이며, 왕실 귀족과 승려, 관료 문인 등의 주요한 차의 애호층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에는 고려인의 기호와 안목을 반영한 차품과 다구를 완성했으며, 음다층의 문예적인 수준이 가장 수승했던 시대로, 가장 이상적인 차 문화를 구현했던 시대라는 점이다. Tea drinking and the associated practices flour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was widely promoted by the royal court, the artistocracy, Buddhist monks, and civil officials. Tea wa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the royal court, as demonstrated in Buddhist ceremonies such as Gongdeokjae (Tea Offering) and Palgwanhoe (Festival of the Eignt Vows) at which the king personally ground tea leaves and offered tea to Buddha. Tea was also bestowed by the king upon meritorious retainers and ascetic monks. The Goryeo royal court also included tea drinking as part of their practices for national governance. Tea drinking ceremonies were performed before administering important state affairs in an effort to bring clarity and stability to the king or administrators. This is one example of the practical use of tea in the Goryeo court. Meanwhile, Buddhist monks led the tea culture in the Goryeo period. They held myeongjeon (tea competitions) and other competitions to determine the finest tea. Literati were invited to Buddhist temples for these competitions at which new and rare tea was served. They composed poems celebrating the essence of tea and elevated its elegance. Goryeo tea culture is characterized by the cultivation of tea varieties and utensils that reflected the tastes of the time and by the fact that the main consumers and proponents of tea were the royal family, aristocracy, Buddhist monk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ea was enjoyed by high-ranking people who appreciated art and culture, which resulted in the realization of their ideal tea practices.

      • 분청사기의 변천과 지역성

        박경자(Park Kyungja)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분청사기는 청자와 동일한 계통의 태토로 형태를 만들고 그 표면에 백토(白土)를 분장(粉粧)한 자기로 청자와 백자를 합친 것과 같은 속성을 지니고 있다. 분장을 바탕으로 한 제작방식은 약100년의 짧은 존재기간에도 불구하고 분청사기의 다양한 양식 변화를 가능하게 했다. 분장은 완성단계의 시각화 양상에 따라 시문과정단계(施紋過程段階), 바탕형성단계(地形成段階), 표면백색화단계(表面白色化段階)의 분장으로 구분된다. 분장의 단계별 변화는 문양이 없이 백토만을 입히는 방향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15세기 조선 분청사기의 변천과정과 일치한다. 분청사기는 1410년대에 정형화된 인화문이 공납자기의 관양(官樣)으로 정착되어 고려 말 상감청자와 양식적으로 분화되었고 이후 1450년대까지 정밀하게 제작되어 양식적인 독자성을 형성하였다. 1460년대에는 이루어진 분청사기생산의 공납요에서 백자생산의 관요로 국용자기생산체제의 전환은 분청사기의 급격한 양식변화를 초래하였다. 인화문분청사기의 쇠퇴와 함께 1460-1470년대에는 백토분장이 문양의 바탕을 형성한 조화와 철화분청사기가 시문방식, 도구, 안료의 사용, 제작지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양식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제작기법의 지역별 차이는 지방군현의 관장 하에 공납자기를 생산한 장인집단이 호(戶)를 이루어 존재한데에 그 배경이 있으며 정형화된 제작규범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제작여건에서 제작자의 개성이 지역특징으로 표출되었다. 청자에서 태동하여 백자의 영향으로 소멸하기까지 분청사기에 나타난 분장의 시각화 양상과 시문기법의 차이로 표출된 지역성에 대한 고찰은 분청사기에 대한 상반된 의미의 미학적 평가를 구체화하는 의의가 있다. Buncheong ceramics existed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in the 15thcentury, for about 100years. The technique of decorating the clay body with white slip enabled the progression of various style finishes. In the 1410s, as certain stamped patterns settled down as an official standard for government use, buncheong ceramics replaced the inlaid celadon for taxation purpose. The white-slip decoration technique experienced transmutation from the early stamping method, which left the white slip in the negative engraved area only, into the decoration method without stamping on the white slip, and eventually to the white slip only method without any decoration that made it look like white porcelain. As the hard white-porcelain was produced at full-scale around the year 1500, manufacturing of buncheong ceramics mostly discontinued. In more detail, the stamped buncheong ceramics flourished into a unique artistic position in this progression until around the year 1450 as a unified style was developed in a sophisticated and elegant pattern. In the 1460s, as the production of buncheong-ceramics at taxation-purpose kilns was beginning to be challenged by white-porcelain production at government-run kilns, the transmutation of buncheong ceramics into the non-stamped, white-porcelain look-alike style was encouraged. Buncheong ware manufactured during 1460-1470 was covered with white clay without the pattern stamping, and the artistic patterns were either engraved with knife or iron-painted with brush even though the artistic patterns were common. Usage and development of the knife-engraving technique and the brush-painting technique were separated regionally because the artisans were registered and managed in regional groups by local governments.

      • 경상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성현주(Seong Hyeonju)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경상지역은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전국 139개의 자기소(磁器所) 가운데 단 4군데뿐인 상품자기소(上品磁器所) 중 3개소가 있었고, 분청사기 표기지명 대부분이 경상지역의 것으로 나타나는 등 분청사기 연구에 있어 매우 높은 가치와 비중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또 일반적으로 조선 전기 공납자기 생산 가마터 연구에 가장 널리 활용되는 『세종실록지리지』(1454) 외에 『경상도지리지』(1425),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등 전후 시기의 지지자료가 남아있어 타 지역에 비해 15세기 자기공납의 흐름 파악이 용이한 곳이 바로 경상지역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선 전기 대일 개항장으로서의 삼포가 모두 경상도지역에 있었고, 삼포왜관과 서울 동평관을 오가던 倭使의 상경로도 경상도 전역에 걸쳐 있었으며, 일본 무역품 창고 및 중개무역 장소에 해당되는 왜물고도 경상도 화원현에 있는 등 다양한 루트로 왜인들과의 접촉이 매우 잦았던 곳이 바로 경상도지역이었으므로, 다완을 비롯한 물자교류 또한 매우 활발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경상지역 분청사기 가마터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이에 앞서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발굴조사는 물론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적들도 모두 망라한 경상도지역 전체의 분청사기 가마터 목록을 작성하고, 지명고찰을 통해 각 가마터가 조선 전기 소속된 군현을 명확히 밝혀내었다. 발굴조사가 실시된 12개 지역 19개 가마터를 비롯한 지역별 주요 가마터에 대한 내용을 차례로 살펴본 다음, 조선 초의 각종 지지자료 및 채집품의 제작시기, 명문, 읍치를 중심으로 한 방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각 시기별 공납자기 생산지 추정을 시도해 보았다. 또 경상도지역의 분청사기 가마터의 성격을 공납자기 생산 가마터, 대일교역자기 생산 가마터, 민수용자기 생산 가마터라는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살펴보고, 주요 가마터의 운영시기를 도표로 만들어 비교하였다. Gyeongsang-do Province was home to three of the four kilns producing the finest ceramics among the 139 kilns nationwide manufacturing porcelain and buncheong ware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jiriji(世宗實錄地理志,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Moreover, most surviving buncheong ware bears an inscription indicating that it was created in the Gyeongsang-do region. Clearly, this area is a key location for studying such ware. The fifteenth-century ceramics tribute system in Gyeongsang-do is more easily traceable compared to that in other provinces due to the multiple available sources, including Sejong sillok jiriji(1454) which is widely used to study kiln sites producing ceramics as tribute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Gyeongsang-do jiriji(慶尙道地理志, Geography of Gyeongsang-do Province)(1425), and Gyeongsang-do sokchan jiriji(慶尙道續撰地理志, Revised Geography of Gyeongsang-do Province)(1469). Furthermore, frequent contacts with Japanese people took place via various routes throughout Gyeongsang-do Province. All three ports open to Japan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situated in the province. Japanese envoys used routes that passed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the region when they traveled from the Japanese quarters at the three ports to Dongpyeonggwan (Hall of Eastern Peace), the accommodations for Japanese envoys, in Seoul. Furthermore, the warehouse where Japanese trade goods were stored and bartered was located in Hwawon-hyeon in Gyeongsang-do. Accordingly, products, including tea bowls, are presumed to have been actively exchanged. This paper lists the kiln sites producing buncheong ware in Gyeongsang-do Province by examining relics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s and ground surveys conducted sinc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ounty and prefecture in which each kiln was situated is identified by studying place names. By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characterize buncheong kiln sites in Gyeongsang-do. In this paper, I speculate about the areas producing ceramics as tribute in respective periods by investigating major kiln sites, including nineteen sites in twelve regions where excavation surveys have been conducted. Diverse documentatio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production dates and inscriptions of found relics, and the directions in which the kilns were located relative to the centers of counties are also examined for this purpose. Moreover, this paper scrutinizes buncheong kilns in Gyeongsang-do Province by classifying them into those producing goods for tribute, those producing goods for trade with Japan, and those producing goods for private use, as well as by diagrammatizing and comparing the operating periods of major kilns.

      • 高麗 市 銘靑瓷의 現況과 製作時期

        한성욱(Han Sunguk) 국립광주박물관 2022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5

        市 명청자는 고려후기의 대표적 명문청자로 현재까지 모두 32점이 확인되었다. 양주 회암사지와 중국 북경 선무구 우안문북에서 출토된 각 1점과 전세품 4점을 제외하면 모두 강진 사당리 청자 요장에서 출토되었다. 기종은 발과 완, 접시, 잔, 병, 합 등이 확인되어 수량은 많지 않지만 고려 후기의 다른 명문 청자에 비해 다양함을 알 수 있다. 市 명청자의 명문은 대부분 도장을 이용하여 굽 안바닥에 음각으로 시문하고 있으나, 음각한 다음 흑상감으로 시문한 사례도 일부 확인된다. 명문의 목적은 크게 품질 유지와 보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市 명청자처럼 눈에 잘 띄지 않은 굽 안바닥에 명문을 새기는 것은 제작 공방이나 장인(匠人) 등을 표기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지명과 관사명 청자가 왕실이나 관부에 공납하였다면 市 명청자는 고위 관리 등의 주문품을 관리하기 위해 새겨졌던 것으로 이해된다. 문양은 매병을 제외하고 모두 백상감 국화문을 주문양으로 시문하였는데, 국화문은 1송이 또는 3송이를 시문하였다. 문양 구성은 같은 시기 규석을 받쳐 번조하였던 1330년대 간지명 청자와 비슷하지만 간지명에 비해 간략화되고 단순한 반복 모양이 일찍부터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이중원근 모란문과 내저원각식발에 여의두문대를 돌리는 이례적인 문양 구성도 확인된다. 번법은 대부분 굽 안바닥 3곳에 규석을 받쳐 갑번하고 있으나 일부 예외적인 사례도 확인된다. 또한, 내저에 번조시의 잡티가 확인되는 것도 있어 단독번조도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굽은 U자형이 많으나 일부 1340년대 이후의 凵자형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1340년 이후 살아지는 규석을 받쳐 번조하고 있어 대부분 1330년대에 제작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市 명청자는 임신(1332년) 명청자가 생산되던 무렵 등장하여 1340년 무렵까지 탐진현 대구소(현재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일원)에서 제작하여 유통하였음을 알 수 있다.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市(si) are typical of the inscribed celadon of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are thirty-two examples surviving today: twenty-six pieces unearthed from the celadon kiln sites at Sadang-ri in Gangjin; one recovered from the Hoeamsa Temple Site in Yangju; another from the Youanmen Subdistrict of the Xuanwu District in Beijing, China; and four whose provenances are unknown. Despite the small number of survising examples, they come in varieous forms, such as large bowls, small bowls, plates, cups, and covered bowls. Most of the 市 inscriptions on the celadon wares were stamped on the exterior bottom, but there are also some examples that were inlaid in black. The purpose of inscriptions was generally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vessels and to efficiently manage their stotage. However, the 市 inscriptions on the exterior bottom were intended to indicate the workshop or the potters involved. Therefore, while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government office names or a year in the sexagenary cycle were presented to the court and government bureaus, the 市 inscription was aimed to manage orders from high-ranking officials. Except for maebyeong vases, all 市 inscribed celadon wares were decorated with a white inlaid chrysanthemum design-either with a single blossom or three. The composition of the design is similar to an example of celadon with a sexagenary cycle inscription produced in the 1330s. However, the designs on the 市 inscribed celadon are simpler, and their repetitive stylized patterns appeared earlier than the piece from the 1330s. It is notable that the 市 inscribed celadon wares were decorated with unique ruyi-head bands, with one encircling the carved round inner bottom of the bowl and two around the peony. 市 inscribed celadon wares were spurred with silica on the bottom and mostly fired inside a saggar, but there are also some that were not placed in a saggar. Further, some of them have specks on the inner bottom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stacked in the kiln. The section of the foot is U-shaped, but it becomes angular (凵-shaped) after the 1340s. However, as they were commonly spurred with silica, which disappear after 1340s, I concluded that majority of them were produced in the 1330s. In summary, 市 inscribed celadon wares appeared when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壬申(sinjo, 1332) were in production and continued to b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until around the year 1340 in Daegu-so, Tamjin-hyeon (present-day Daegu-myeon, Gangjin-gun, Jeollanam-do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