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전환적 특성: 전환관리 이론을 중심으로

        이영석,김병근,Lee, Youngseok,Kim, Byungke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4

        최근 에너지 정책이 장기화되는 이유는 에너지 정책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증가하고 이러한 변수가 갖는 영향력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단기적 단편적 접근을 통해 에너지 이슈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에너지 정책을 장기적 관점에서 다루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거버넌스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전환이론을 에너지 정책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전환관리 모델과 에너지 전환사례를 바탕으로 수정된 전환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시스템 전환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형성 과정에 전환적 사고가 폭넓게 확산되어 가고 있으나, 정책집행 과정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전환관리를 위해 대응해야할 과제도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national energy policy tends to be approached with the long-term perspective because it became harder to cope with various energy issues fundamentally only through the short-term and piecemeal approaches. To deal with energy polic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we need new governing approach that differs from established short-term perspective. In this context, research efforts to apply transition management theory to long-term energy policy are receiving atten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extended transition management model based on case study of Dutch energy transition model and review the transition management traits of long-term energy policy of Korea. We conclude that transition thinking and approaches are diffusing widely in the long-term energy policy formation processes, but also can find various issues that are needed to be addressed for effective transition management especially in the energy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es.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농업부문 기술융합 및 기술협력 네트워크 분석

        김규환(Gyu-Hwan Kim),김병근(Byungk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농업부문에 대한 기술혁신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농업부문의 특허를 활용으로 기술융합 및 기술협력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먼저, 농업부문 기술 간의 융합을 살펴보기 위하여 IPC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61K(의약용, 화장품 제제)의 연결 중심도와 고유벡터 중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특허 중 기술이전이 일어난 특허만을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A23L(식품 및 식료품)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 중심도는 A01G(원예, 농수산물 재배, 임업)의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업부문 기술개발의 협력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관 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촌진흥청과 대학의 산학협력단의 연결 중심도와 고유벡터 중심도 값이 높게 나타나 농업기술의 개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에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기관을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룹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해본 결과 농업부문에서 기술개발의 협력은 점점 공공부문과 대학교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 간의 관계에서는 호남권-수도권, 호남권-충청권, 호남권-호남권 간의 협력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농업부문에서의 기술협력은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networks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from 2010 to 2018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domestic agricultural sector. First, the network structure was analyzed for interprocess communication (IPC) to examine the convergence between agricultural sector technologies. Results show that A61K has a high degree centrality and a high concentration of eigenvector centrality. However, the analysis of transferred patents A23L showed higher connection than others. In addition, A01G was the highest in terms of betweenness centrality. The network structure between institutions was also analyzed to examine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Results show high values for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e university"s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 which has a high influence on the collaborative network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The analysis of networks between groups by classifying each institution into one of five types showed that cooperation in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creasingly focuses on the public sector and universities. In terms of regional relations, the most commo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ere between Honam and the capital region, between Honam and Chungcheong, and for relationships within Honam. It implies that technological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appears to be conducted locally.

      • KCI등재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특허분석을 통한 기술협력 네트워크 분석

        임호근(Ho-Geun Lim),김병근(Byungkeun Kim),정의섭(Euiseob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자동차 산업의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특성과 변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한다. 전 세계 주요 자동차 기업들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출원한 112,009건의 자율주행 관련 특허를 사회연결망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이하 SNA)을 활용하여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구조를 분석한다. 네트워크 분석지표 중 구조적 특성 분석을 통해 밀도 등의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한다. 연결 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및 관계 중심성 등의 지위적 특성 지표 분석을 통해서는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는 토요타, 현대자동차 등 완성차 기업들과 부품 공급업체인 보쉬, 콘티넨탈 등이 자율주행과 관련한 기술 개발 실적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분석결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협력 네트워크에 참여한 기업들의 수가 증가하고 다양해졌으며 지위적 특성 지표들은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기업 간의 수평적이며 보완적인 기술협력 형태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분야의 참여자가 많아지고 네트워크가 더 복잡해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factors of technological cooperation networks in the automotive industr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of 112,009 autonomous driving-related patents filed from 2000 to 2017 by major automotive firms in the world, we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technological cooperation network.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density a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 analysis among the network analysis indicator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cooperation network a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status characteristic indicators, such as the degree of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Results show that car makers such as Toyota and Hyundai Motors, as well as parts suppliers such as Bosch and Continental, have high-performance technology developments related to autonomous driv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show that companies participating in cooperative networks for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development have increased in number and are diversified, and all of the status characteristics indicators have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ing number of horizontal and complementary forms of technological cooperation between firm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field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increased, and the networks have become more compl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