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 市 銘靑瓷의 現況과 製作時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84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市 명청자는 고려후기의 대표적 명문청자로 현재까지 모두 32점이 확인되었다. 양주 회암사지와 중국 북경 선무구 우안문북에서 출토된 각 1점과 전세품 4점을 제외하면 모두 강진 사당리 청...

      市 명청자는 고려후기의 대표적 명문청자로 현재까지 모두 32점이 확인되었다. 양주 회암사지와 중국 북경 선무구 우안문북에서 출토된 각 1점과 전세품 4점을 제외하면 모두 강진 사당리 청자 요장에서 출토되었다. 기종은 발과 완, 접시, 잔, 병, 합 등이 확인되어 수량은 많지 않지만 고려 후기의 다른 명문 청자에 비해 다양함을 알 수 있다.
      市 명청자의 명문은 대부분 도장을 이용하여 굽 안바닥에 음각으로 시문하고 있으나, 음각한 다음 흑상감으로 시문한 사례도 일부 확인된다. 명문의 목적은 크게 품질 유지와 보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市 명청자처럼 눈에 잘 띄지 않은 굽 안바닥에 명문을 새기는 것은 제작 공방이나 장인(匠人) 등을 표기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지명과 관사명 청자가 왕실이나 관부에 공납하였다면 市 명청자는 고위 관리 등의 주문품을 관리하기 위해 새겨졌던 것으로 이해된다.
      문양은 매병을 제외하고 모두 백상감 국화문을 주문양으로 시문하였는데, 국화문은 1송이 또는 3송이를 시문하였다. 문양 구성은 같은 시기 규석을 받쳐 번조하였던 1330년대 간지명 청자와 비슷하지만 간지명에 비해 간략화되고 단순한 반복 모양이 일찍부터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이중원근 모란문과 내저원각식발에 여의두문대를 돌리는 이례적인 문양 구성도 확인된다.
      번법은 대부분 굽 안바닥 3곳에 규석을 받쳐 갑번하고 있으나 일부 예외적인 사례도 확인된다. 또한, 내저에 번조시의 잡티가 확인되는 것도 있어 단독번조도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굽은 U자형이 많으나 일부 1340년대 이후의 凵자형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1340년 이후 살아지는 규석을 받쳐 번조하고 있어 대부분 1330년대에 제작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市 명청자는 임신(1332년) 명청자가 생산되던 무렵 등장하여 1340년 무렵까지 탐진현 대구소(현재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일원)에서 제작하여 유통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市(si) are typical of the inscribed celadon of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are thirty-two examples surviving today: twenty-six pieces unearthed from the celadon kiln sites at Sadang-ri in Gangjin; one recovered...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市(si) are typical of the inscribed celadon of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are thirty-two examples surviving today: twenty-six pieces unearthed from the celadon kiln sites at Sadang-ri in Gangjin; one recovered from the Hoeamsa Temple Site in Yangju; another from the Youanmen Subdistrict of the Xuanwu District in Beijing, China; and four whose provenances are unknown. Despite the small number of survising examples, they come in varieous forms, such as large bowls, small bowls, plates, cups, and covered bowls.
      Most of the 市 inscriptions on the celadon wares were stamped on the exterior bottom, but there are also some examples that were inlaid in black. The purpose of inscriptions was generally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vessels and to efficiently manage their stotage. However, the 市 inscriptions on the exterior bottom were intended to indicate the workshop or the potters involved. Therefore, while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government office names or a year in the sexagenary cycle were presented to the court and government bureaus, the 市 inscription was aimed to manage orders from high-ranking officials.
      Except for maebyeong vases, all 市 inscribed celadon wares were decorated with a white inlaid chrysanthemum design-either with a single blossom or three. The composition of the design is similar to an example of celadon with a sexagenary cycle inscription produced in the 1330s. However, the designs on the 市 inscribed celadon are simpler, and their repetitive stylized patterns appeared earlier than the piece from the 1330s. It is notable that the 市 inscribed celadon wares were decorated with unique ruyi-head bands, with one encircling the carved round inner bottom of the bowl and two around the peony.
      市 inscribed celadon wares were spurred with silica on the bottom and mostly fired inside a saggar, but there are also some that were not placed in a saggar. Further, some of them have specks on the inner bottom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stacked in the kiln. The section of the foot is U-shaped, but it becomes angular (凵-shaped) after the 1340s. However, as they were commonly spurred with silica, which disappear after 1340s, I concluded that majority of them were produced in the 1330s. In summary, 市 inscribed celadon wares appeared when celadon wares with the inscription of 壬申(sinjo, 1332) were in production and continued to b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until around the year 1340 in Daegu-so, Tamjin-hyeon (present-day Daegu-myeon, Gangjin-gun, Jeollanam-do Provi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市 명 청자의 현황
      • Ⅲ. 市 명청자의 제작시기
      • Ⅳ. 市 명청자의 특징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市 명 청자의 현황
      • Ⅲ. 市 명청자의 제작시기
      • Ⅳ. 市 명청자의 특징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