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찰학의 정체성과 타학문분야와의 교류 탐색

        장석헌,차훈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7 경찰학논총 Vol.2 No.2

        경찰학의 역사가 비교적 일천하고, 경찰학이라는 용어가 단독으로 사용된 지도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어서 경찰학의 정체성이 더욱 확고하게 확립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경찰학의 정체성에 대해 논의해보고, 경찰학의 정체성 확립을 전제로 타학문과의 발전적인 교류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경찰의 개념이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 개념을 포괄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고, 경찰학 역시 경찰이라고 하는 기관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을 맺고 있는 치안환경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개념을 확장하고 있다. 한편, 경찰학이 학계에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이 다른 학문과 구별될 것, 다른 학문과 구별되는 관점의 특수성이 존재할 것, 그리고 경찰학만의 실천적 목적이 존재할 것, 경찰관련 학과의 교수진에 경찰학 관련 전공자를 충원하여 내실을 기할 것, 학계에서의 활발한 연구노력이 지속될 것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경찰학은 다학문의 기초적 토대의 응용으로 형성된 응용학문인 만큼 학문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여러 학문과의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연구 교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경찰학 관련 연구들이 각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관련 연구자들에게 상기시켜줄 수 있는 수단으로 경찰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학회나 학회지 저술활동을 통해 경찰학 및 여러 연계 학문 연구자들과의 분업 · 협업적인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경찰학의 토대를 다져야 할 것이다.

      • 경찰학 연구의 최근 동향

        문성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7 경찰학논총 Vol.2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 경찰학의 최근 동향을 이슈별로 정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출간되고 있는 대표적인 경찰학 관련 저널 3종과 외국 저널들을 바탕으로 인상비평 방법론에 의거하여 작성하였다. 우리나라 경찰학의 연구 주제는 크게 보아 자치경찰, 수사권, 집회시위, 경찰부패, 지역경찰제, 경찰임용방식, 경찰노조와 경찰복지 등의 7개로 분류한 다음, 해당 주제별로 연구경향을 요약하였다. 각 주제가 연구되는 관점과 경향성은 연구자의 존재 구속성이나 경찰학과 출신, 시대적 변화 및 정책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경찰학의 특성은 첫째 정부입장에 따른 연구, 둘째 시민사회의 수요에 부응하는 연구, 셋째 협동연구 부재, 넷째 경찰조직이나 경찰대학 출신의 요구에 따른 연구, 다섯째 경찰조직이나 경찰대학 출신이 터부시하는 분야의 연구 기피 현상 등으로 정리해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경찰학에서 현장경찰업무론은 연구 성과가 풍부한 반면, 한국경찰이론, 한국경찰역사, 한국경찰문화, 한국경찰법, 비교경찰론 등에서는 크게 부족하며 순수 경찰학 접근도 드물다. 예컨대 미시적이거나 거시적인 경찰역사, 경찰문화, 경찰이론 등을 구축해보려는 시도나 노력은 찾아보기 힘들다.

      • 경찰학의 패러다임과 발전과제 연구

        최선우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7 경찰학논총 Vol.2 No.1

        경찰현상 또는 경찰기능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것인데, 경찰현상을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중반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찰현상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은 실용주의적인 면이 강하다고 본다. 즉 실질적인 범죄와 무질서 문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경찰대응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현대경찰은 자유민주국가의 이념을 기본으로 한 것이며, 따라서 경찰학은 그 연구범위가 형이상학적인 철학에서 형이하학적인 기술수단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경찰현상을 하나의 학문으로 인식하고 이의 학문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경찰학을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인정했을 때, 이른바 ‘학문적 정체성’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어디까지를 그 학문적 영역으로 설정할 것인지의 문제 등으로 귀착된다. 경찰학의 학문적 독자성 내지 정체성 문제는 바로 ‘패러다임’(paradigm)과 관련된 것인데, 이처럼 철학에서 기술수단에 이르고, 또 법학, 행정학, 사회학, 정치학 등 인접학문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접근은 쉬운 일이 아니다. 경찰학이 인접학문과 차별되는 하나의 독자적 학문영역을 갖는 정상학문이 되기 위해서는 그 시대에 맞는 경찰현상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연구범위 및 대상을 설정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방법론과 이론이 제시?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경찰학 관련 이론의 제시 및 개발문제는 기본적으로 경찰학에 대한 방법론(methodology)에서 출발하게 된다. 그런데, 경찰학은 본질적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보호’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에 관련된 것인데, 문제는 이 두 가치가 종종 상충되는 면이 없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한국경찰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내재적으로 근대 경찰패러다임을 형성?발전시켰다기보다는 타율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하였다는 점이다. 더욱이 한국경찰 및 경찰학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대륙법계 경찰패러다임과 영미법계 경찰패러다임은 상호 조화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가 한국경찰에 그대로 노정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문적 영역에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찰학에 대한 본질적 성찰이 요구되는데, 그러한 방법론과 관련하여 역사적 접근과 비교론적 접근이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비교론적 접근에서는 특히 그동안 소홀히 해 온 번역(translation)의 중요성이 재인식 되어야 한다. 역사적 접근과 비교론적 접근은 시간과 공간 차원에서 경찰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민간조사 관련 연구의 한계와 개선방안

        이하섭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20 경찰학논총 Vol.15 No.3

        This study has a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search related to private investig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ways to improve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Domestic privat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ince 1993, and since the mid-2000s, privat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in earnest.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publication of private research in Korea: the first reason is to provide it as a basis for issuing domestic private investigation related laws, and secondly, the private investigation aims at expanding the private security service production industry. It is to pioneer the market. As a result,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research on domestic private investigation is still in its infancy, an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in the case of the research on domestic private research, even the terminology has not been achieved yet. And most of the studies exploring the justification for legalizing the civil investigation system,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ses to legalize the civil investigation system. It failed to prepare and failed to achieve the purpose of expanding private secur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considered that more in-depth research should be followed, such as research on the demand for private research, concerns about legalization of the private research system, and alternative effects of security services. 이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민간조사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되었던 민간조사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민간조사연구는 1993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되,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민간조사연구가 발표되었다. 국내 민간조사연구가 발표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국내 민간조사관련법 발의를 위한 근거자료로 제공되기 위함이 첫 번째 이유고, 둘째 민간차원의 치안서비스 생산 산업 확장을 목적으로 민간조사 시장을 개척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국내 민간조사 관련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국내 민간조사 관련 연구의 경우 아직 용어의 통일조차 이뤄지지 않았으며, 연구의 주된 내용은 민간조사에 대한 소개 및 민간조사제도 합법화를 위한 당위성을 설파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뒤를 이어 민간조사제도 합법화를 위하여 해외사례를 소개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 결과, 민간조사연구의 목적이었던 민간조사제도 합법화를 위한 근거마련에 실패하였고, 민간경비 확장 차원의 목적 또한 달성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조사 수요에 대한 연구 및 민간조사제도 합법화에 따른 우려, 치안서비스 생산에 따른 대체효과 등보다 심도 높은 형태의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범죄의 사회적 비용추정 연구의 동향 및 연구 방향에 관한 고찰

        공정식,권준성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20 경찰학논총 Vol.15 No.3

        Estimating the social cost of crime is an effective way to set the direction and goals of criminal policy for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However, wherea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ocial cost of crime in Korea since 2010,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overseas studi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various methodologies, the segmentation of criminal types, and the emergence of new crimes Thus, this study reviewed and check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rime cost-related study conducted so far, and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domestic research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overall trends in international crime cost research and the latest research.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ost research of domestic crime through two representative studies dealing with the social cost of crime in Korea, the two studies differed in the statistical data taken as a basis, and the classification of crime types, methodologies, and estimate of costs were all different, making it difficult to discuss the integrated result, so Relevant discussions and further analysis are needed. Next, a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es on the social costs of crime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national databases, and that research methods such as prior research data and payment approach, interview, QALY approach, and jury awards data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research. Finally, an analysis of the latest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social cost of crim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recent study estimated the cost of crime through more advanced analysis, including the segmentation of existing items and the addition of new types of crime,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Finally, an analysis of the latest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social cost of crim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recent study estimated the cost of crime through more advanced analysis, including the segmentation of existing items and the addition of new types of crime,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ybercrime, which is a type of crime representing modern crime, although the method of measurement has not yet been clearly established and only partial measurement has been made, but the cost of the crime has been found to be considerable. These new types of crimes are likely to be a factor in the high social cost of future crimes due to their diversity and spread, so preemptive prepar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is, it is deemed that rel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promptly and constantly.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는 것은 범죄 예방과 대응, 그리고 형사정책의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2010년 이후 국내에서는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국외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론의 확장 및 범죄유형의 세분화, 신종범죄의 등장 등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의 범죄비용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그 현황을 확인하였고, 국제적 범죄비용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며, 최신 연구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연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선, 국내에서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다룬 대표적인 두 연구를 통해 국내 범죄의 사회적 비용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두 연구는 기준으로 삼은 통계자료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범죄유형 분류와 방법론, 소요비용추정 등이 모두 차이를 보여 통합적인 결과 논의가 어려운 형태였으므로, 이에 관한 논의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국제적 연구 추이와 방법론을 검토한 결과, 대다수의 연구는 국가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확인되며, 선행연구와 지불의사접근법, 인터뷰, QALY 접근법, 배상금 데이터 등의 연구 방법이 연구목적과 방향에 따라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국외의 최신 연구를 이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최근 연구에서는 사회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 항목을 세분화하고 새롭게 등장한 범죄유형을 추가하는 등 보다 발전된 분석 양상을 통해 범죄비용을 추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현대 범죄를 대표하는 범죄유형인 사이버범죄의 경우 아직 그 측정방식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부분적인 측정만이 이루어졌음에도 범죄의 소요 비용이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신종유형 범죄들은 그 다양성과 확산성으로 인해 향후 범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들이 신속하고 꾸준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경찰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장재성(Jang, Jae Seo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2

        경찰성과는 경찰활동의 방향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잣대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간 다양한 연구를 통해 경찰성과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제시되었고, 경찰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역시 다수 발견되었다. 하지만 경찰성과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고려는 다소 미흡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경찰성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상관계수(r)를 이용하여 효과크기(effect size)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19개의 변수를 개인특성요인, 개인행태요인, 집단행태요인으로 구분하여 범주별, 변수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범주는 리더십, 상사신뢰, 사회적 자본 등과 같은 집단행태요인이었으며, 경찰관 개인의 연령, 학력, 재직기간 등 개인특성요인의 경우 경찰성과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 변수 중에서 효과크기가 큰 변수에는 상사신뢰,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 변혁적 리더십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적 특성에 대한 처방보다는 리더십, 의사소통 등 집단행태요인에 대한 관리와 개선이 경찰성과 향상에 더욱 효율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직무교육, 직무스트레스와 같이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진 변수의 경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Police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as a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direction and efficiency of police activities. Various prior studies suggested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 polic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lso, studies have found a number of factors that affect police performance. However,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related to police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meta-analysis of prior studies on police performance. The specific method was to analyze the effect size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r). The 19 variables found in the previou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dividual factors, personal behavior factors, and group behavior factors. And the effect size by category and variable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category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police performance has been group behavior factors such as leadership, trust in bosses and social capital. Among the variables, the variables with the large effect size were supervisor trust, empowerment, organizational fairnes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behavior, ra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may be more efficient in improving police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job training and stress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police performance,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 전국 4년제 경찰학 관련학과 교과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응렬,김순석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6 경찰학논총 Vol.1 No.-

        이 연구는 경찰학 관련학과가 신설된 4년제 국내 대학의 교과과정을 고찰하고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경찰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고려한 현행 교과과정 편성의 실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53개의 4년제 경찰학 관련학과 중 지역, 학과 편제, 자료수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총 27개의 학과를 대상으로 각 학과의 교과과정을 전공과목의 선택 수에 따라 영역, 학과의 편제, 학과의 개설연도, 경찰수험과목의 선택 비중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찰학 관련학과를 신설하려는 대학에서 교과과정을 구성하거나 기존의 교과과정을 개선하는데 하나의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학은 학문탐구라는 규범적 역할을 하지만,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기능적 역할도 중요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과과정은 시대와 기술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인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즉 사회가 요구하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현장과의 연관성을 강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경찰학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찰학의 학문적 체계와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이에 따르는 체계적 교과과정의 기준을 제시하는 다각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actual state of the current curriculums among the newly established police science 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 Korea,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academic identity of police science. For this study, twenty seven departments out of total fifty three police science-related department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region, department organization and data availability. The curriculums of the selected departmen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jor courses, areas of subject, department organization, the year of department establishment,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ubjects which are focusing on police entrance examin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 guide for the prospective universities with the intent to establish new police science-related departments. They may develop an improved curriculum based upon this study. In addition, while universities play the normative role of scholastic pursuit, they should also consider the functional role as cultivators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 curriculum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make students competent, who can handle modern technology and current social issues efficientl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s and the fields in order to cultivate competent human resources required by the society. In conclusion, there should be an agreement on the standard of academic system and identity of police science related departments. Then, various kinds of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s of police science

      • KCI등재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내외부 맥락 이해하기: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정제용(Jung, Je Yong),최연준(Choi, Yeon Ju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1

        재외국민이 범죄 등 사건사고로부터 보호받는 것은 중요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최근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다수가 법적인 관점 혹은 범죄 피해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둘째, 재외국민들이 제대로 보호받고 있는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연구 부재를 메우고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업무 체계 및 절차, 외부적 환경, 재외국민들의 인식 등을 포함한 재외국민 보호라는 실제적인 현상(phenomena)에 초점을 맞추었고, 사건사고 영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증적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Glaser와 Strauss(1967)가 개발한 근거이론과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증적 자료를 추상화하여 범주들을 구성하고 그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가설적 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9개의 개념, 49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를 유형화하였고, 중심범주인 ‘불안’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매개적 조건, 맥락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재외국민 본인이 직접적 이해관계자인지 여부, 사건사고가 공정하게 처리되는지 인식 정도, 사건사고 영사의 근무체계 구축 여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주기적 소통 여부, 공식적/비공식적 채널의 활용 여부, 절차적 정의 준수 여부에 따라 재외국민의 치안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질 수도 혹은 낮아질 수도 있다는 가설적 관계를 도출하였다.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overseas citizens to be protected from crimes and other incidents, but it is one of the research topics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recent previous studies, first, most of them were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legal or criminal damage. Second,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overseas citizens are properly protected. To fill the gap,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ual phenomenon of the protection of overseas Koreans, including related work systems and procedures, external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s. In the proces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grounded theory and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1967) were applied, and by abstracting empirical data to construct categories and explore their relationships, finally, a substantive-level theory was constructed. Analyzing the research data, a total of 59 concepts, 49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nxiety" of overseas Korea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anxiety are investigated and what conditions are influencing them. A hypothetical theory was derived that such anxiety is influenced by whether an overseas Korean is a direct stakeholder, the level of awareness that procedures are being followed, whether a working system of the consul for incidents and regular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s are established, whether official/informal channels are used, and whether procedural justice is maintained.

      • KCI등재

        경찰리더십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준선(Jeong, Jun Se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4

        경찰은 시민사회의 중심에서 수많은 상황에 직면하지만, 이를 현장에서 이끌어가는 리더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경찰리더십 연구와 현장 중심 교육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8년 5월에 ‘경찰대학 리더십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대학 리더십센터’의 연구 ·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경찰리더십 연구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찰’ 및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된 289편의 학위 · 학술논문 가운데 109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시 중복문헌을 배제한 94편을 대상으로 리더십이론,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 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동향과 유사한 흐름으로 행정학 · 정책학 관점에서 경찰리더십에 접근하였으며, 리더십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없었고, 다수 연구가 단발성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통합적 접근방식에 따라 일대일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대상은 경찰공무원 또는 경찰 업무 전체를 대상으로 중간관리자 또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의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에 편중되었다. Police face many situations at the heart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leaders who lead the situation in the field is not properly performed.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as established in May 2018 to conduct systematic police leadership research and field-base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and to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For research purposes, 109 of 289 degrees and academic papers searched under keywords for ‘police’ and ‘leadership’ were selec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d. Next,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leadership theor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for 94 books that excluded duplicate tex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lice leadership research tended to be similar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cademic papers approaching police leadership from an administrative and policy perspective. No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from a leadership perspective, an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single fashion. Second,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one-to-on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tegrated approach. Third, the research target was focused on th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ship of the mid-level or top-level manager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and police affairs. Fourth, the research method w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nd education directions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asic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olice leadership should precede. Second,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research that reflect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leadership is necessary. Third, research on competency model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cases are necessary.

      • KCI등재

        범죄다발지역(Hot Spots) 무인감시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박종승,이창한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4 경찰학논총 Vol.9 No.2

        이 연구는 범죄다발지역(hot spots)의 범죄예방효과를 높이기 위해 경찰학, 범죄학,공학, 연극학의 관점을 융 합한 대규모 다중센서 기반 무인감시 시스템 구축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 기 위해 각 학문영역별 기초연구를수행한다. 경찰학과 범죄학 영역에서는 기존 무인감시 시스템의 한계 확인, 범죄행동패턴 DB구축을 위한 기초연구가, 공학영역에서는 시뮬레이션 대응 센서 기술의 적합성 평가, 추출된 범죄행동패턴 인식이 가능한 무인감시 시스템 기획안 작성이, 연극영역에서는 연기이론의 범죄행동패턴 적용 가능성 검토, 범죄행동 특성 재연을 위한기초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 단계로는 각 학문영역별 기초연구에서 얻은 결과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야한다. 경찰학과 범죄학 영역 에서는 범죄다발지역 지정의 기준 검토, 범죄다발지역에서의 범죄예방전략 분석을, 공학영역에서는 범죄행동 센싱, 범죄행동 관제를, 연극영역에서는 신체적 행동 방법론에 기초한 범죄행동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작성, 센서기반 범죄행동유형별 DB구축을 위한 통계치 추출기준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앞선 단계에서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토대 구축 가능성을검토했다. 경찰학과 범죄학 영역에서는 범죄예방전략으로서의 무인감시 시스템 활용가능성 평가, 다른 사회문제 해결전략으로서의 무인 감시 시스템 활용가능성 평가, 무인감시 시스템의 설치와 관련된 사회적지지 확보를, 공학영역에서는 무인감 시 시스템의 활용가능성 탐색, 무인감시 시스템의 확장가능성 탐색을, 연극학영역에서는 신체적 행동 방법론 에 기초한 범죄행동 시뮬레이션 통계치 확인 및 수정, 연기이론에 기초하여 범죄유형별 범행패턴의 적합성 분 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범죄다발지역의 범죄예방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대규 모 다중 센서 기반무인감시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작업을 완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Considering increasing fear of crime in public, this study suggestmeasures for implementing Automatic Surveillance BasedMulti-sensor for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for Hot Spotsby conversing engineering science and territory of art beyond theordinary trend of criminology and police science. In order to build research foundation, firstly, rudimentary researchesin each field are necessary; in field of criminology andpolice science, identifying limits of the existing automatic surveillanceand basic research for accumulating data base in related tocriminal behavior patterns are required, in field of engineeringscience, evaluation on technology of simulation response sensorand project proposals on automatic surveillance for recognition ofwhat criminal behavior patterns are extracted, and in field of territoryof art, evaluation of possibility of applying acting theory intocriminal behavior patterns and preparatory works for emulatingcriminal behavior patterns should be preceded. Secondly, results from basic studies should be examined intoapplication validity. For doing this, in field of criminology and police science, review on validity of standard for appointing hotspots and analysis on crime prevention strategy are needed, infield of engineering science, research on sensing and controllingcriminal behaviors is necessary, and in field of territory of art,working scenario based on physical acting methodology for simulatingcriminal behaviors and establishment of data base with statisticsevaluation in types of criminal behavior are required. Thirdly, through the each research result, examination on possibilityof foundation construction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research is necessary. In field of criminology and police science,evaluation on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utomatic surveillanceinto crime prevention strategy and other social problems, justifyinggeneral support for implement of automatic surveillance systemare needed. In field of engineering science, exploration forapplication of automatic surveillance system and expanding itspossibility are required. In field of territory of art, modification onsimulating criminal behaviors through physical acting methodologyand its analysis based on acting theory are necessary to examinethe application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