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Workplace

        Yunsuk Cha(차윤석)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주요 경영관련 저널에서는 매년 ‘일하고 싶은 회사(100 best companies to work for)’를 발표해 오고 있다. 여기에 선정된 회사들은 높은 기업성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복지프로그램 제공과 구성원들의 높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가정 균형 인식, 및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가정 균형에서 오는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끼며, 이는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 및 긍정적 정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최근 기업들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 사고가 개인 및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믿음으로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이 지각하는 행복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촉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IT, 서비스, 제조업 등 총 11 개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행복감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행복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일-가정 촉진 및 가정-일 촉진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Major business journals have been annually announced ‘100 best companies to work for’. These companies have some characteristics having not only high organization performance but also various benefit program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work-family balance and positive psychology. When people hav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happiness, it will increase the positive psychology of people.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facilitation between occupational well-being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was executed on employees of 11 companies in IT, Service, and Manufacturing business field.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well-being gives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the control effect of work-family facili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well-being and innovative behavior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statistics. The conclusion stat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s directions on future studies.

      • KCI등재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

        차윤석(Yunsuk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최근 조직내 구성원들의 긍정심리가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많은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 해 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기업들은 그동안 개인적인 영역으로 생각되어오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 및 제도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리더 역할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들의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리더행동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건강지원조직분위기의 역할에 대해 실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IT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15부의 설문응답을 모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웰니스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지각된 팀성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건강지원분위기는 웰니스리더십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학적 관점의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Recently, having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positive psychology in the workplace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performance, organizations have been trying to develop and main the positive psychology and emotion. The companies have started to support the systematic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was considered the individual domains. Also, the company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ders’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fore, we hav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team performance. Additionally we hav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climate between leader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For this analysis, we have collected the 253 data from business people of IT manufacturing firm and di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wellness leadership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 on perceived team performance. Team climate for the health promotion moderated between wellness leadership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Finally. we have propo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business.

      • KCI등재

        Does Job Resources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Hendra,Cha Yunsu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9 No.1

        JD-R(Job Demands-Resources) 모델은 직무 요구 와 직무자원이 건강 손상 과정, 부정적인 결과, 동기 부여 과정 등 두 가지 프로세스를 구성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명시했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로써 반생산적 과업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을 포함시키고, 조절변수로써 일-가정 갈등 (work-family conflict)을 포함시킴으로써 JD-R 모델을 독립변수로 확대하였다. 인도네시아 기업에서 일하는 직원에게 설문지를 낸 것은 모두 110건이었다. 이 연구에서 직무 요구는 직무 요구로 인해 조정자 역할을 했던 일-가정 갈등이 다른 연구에서 발견된 다른 변수를 통해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관계를 갖는 것처럼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직무 자원은, 일-가정 갈등이 진행자로 활동했을 때와 같이,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직무 자원이 종업원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했고, 일-가정 갈등이 높은 직원과 더 많은 부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Job Demands–Resources (JD-R) model stated that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constitute two processes: the health impairment process, leading to negative outcomes, and the motivational process, leading to positive outcomes. This study extended the JD-R model by including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as dependent variable and work-family conflict (WFC) as moderator. A total of 110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employees who work in Indonesia companies. On this study job demands were found have no direct relationship with CWB, as when WFC acted as a moderator due to job demands have relationship with CWB through other variables found in other studies. Meanwhile job resources were found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WB, as when WFC acted as a moderator, which means job resources did motivate employee to engage in a more positive behavior and with a high WFC employee tend to engage in more negative behavior.

      • KCI등재

        The Inevitable Dark Side of the Organizati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an Linda,Cha Yunsu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9 No.1

        비인격적인 상사는 조직을 괴롭히고 직원들의 웰빙에 영향을 주는 심각하고 점점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비인격적인 상사가 인도네시아의 조직적 맥락에서 반생산적인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다. 본 연구는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의 매개 효과와 상호 작용 정의의 조절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비인격적인 상사에 대한 연구를 확대한다. 인도네시아 기업의 120명 응답자의 자료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 비인격적인 상사가 역효과를 내는 업무행태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이 비인격적인 상사와 반생산적인 과업행동의 관계에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는 상호 작용적인 정의가 비인격적인 상사와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 사이의 관계에 조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상호 작용적 정의의 조절 효과가 상호 작용적 정의가 높았을 때 비인격적인 상사와 감정적 고갈 사이의 더 강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과 같은 예기치 못한 패턴을 보인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 비인격적인 상사,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 그리고 반생산적인 과업행동 사이의 관계가 더 강하기 때문에 비인격적인 상사를 피하는 것이 더 심각하게 여겨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busive supervision has become a serious and growing problem afflicting organization and affecting employees’ well-beings. This study provided an overview of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counterproductive behavior in the Indonesia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xtends the research of abusive supervision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actional justice. Regression analysis on data of 120 respondents from Indonesian companies reveal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has been prov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is study also found that interactional justice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It is surprising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showed an unexpected pattern such that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existed when interactional justice was high. These findings showed that avoidance of abusive supervision should be taken more seriously, due to the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 KCI등재후보

        Employee s Growth Need Strength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The Role of Perceived Job Insecurity

        Deonna HARRIS,Yunsuk CHA 국제융합경영학회 2022 융합경영연구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employee s growth needs strength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Perceived job insecurity was also examined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108 data samples from working individuals from South Kore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Results: Our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ee s growth needs strength has a negative effe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Perceived job insecur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onclusions: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creating growth opportunities for employees, since facilitating employee’s growth need strength will counteract the desire to engage in behaviors that can be detrimental to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 KCI등재

        일(가정)-가정(일)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

        왕동(Dong Wang),차윤석(Yunsuk Cha),남윤성(Yoonsung Na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일-가정 간의 갈등이 개인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일-가정 갈등은 일영역에서의 부정적 효과가 가정영역에 미치게 되는 일방적인 단방향의 문제가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받은 가정영역에서의 효과가 다시 일영역에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이슈이다. 본 연구는 IT, 서비스, 제조업 등 총 11 개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가정-일) 갈등이 개인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는 한계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일 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wellness climate in the relationship where work-family conflict influences individual engagement. For this, survey was executed on employees of 11 companies including IT, service, manufacturing and etc. After the survey was executed, statistical analysis was executed. This study executed validity test, credibility test,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work-family (family-work) conflict gives negative (-) influence on individual engagement. Second, perceived wellness climate was margin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individual engagement. And the control effect of perceived wellness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work conflict and individual engagement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statistics. The conclusion stat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s directions on future studies.

      • KCI등재

        Stranger in a Foreign Land. How to Impress and how to be Impressed.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Differences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between Two Culture

        Deonna Harris(헤리스 디오나),Yunsuk Cha(차윤석)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자메이카와 한국과의 통합적 그리고 방어적 인상관리 행동 및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행동에 있어서의 두 나라간 차이를 연구하였다. 인상관리행동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화관련 연구들은 문화에서의 차이점들은 인상관리행동의 스타일을 결정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메이카와 한국 문화 중 어떠한 요소들이 구성원들이 좀 더 인상관리 행동을 하는지 그리고 다른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토대로 어떠한 인상관리행동의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자메이카와 한국의 102 명 개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양 국가에서의 인상관리 행동은 비슷한 점과 다른 점 두 가지를 모두 확인하였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두 국가 간 문화차이로 인해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인상관리전략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은 자메이카보다 좀 더 인상관리를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메이카는 방어적인 인상관리 행동을 높게 사용하는 반면 한국은 자기프로모션과 통합적 인상관리 전략을 좀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self promoting, ingratiating and defensiv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between Jamaica and South Korea. Previous researches on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and culture suggests that differences in culture will determine the type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one uses.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will be more motivated to engage in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and does the use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differ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alysis of 102 individuals from Jamaica and South Korea,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 survey, show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Although there were a few limitations to this research, our findings do highlight some cross-cultur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between both countries. Results showed that South Korean will be more likely than Jamaican to be motivated to engage in impression management. In addition, South Korean respondents reported higher use of self promoting and ingratiating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while Jamaican respondents reported a higher use of defensiv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수행성과 간의 관계

        신장선(Jang-Seon Shin),차윤석(Yunsuk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수행성과 간의 관계 및 내재적 동기부여와 외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에 소재하는 기업에 종사하는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직무수행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동기부여와 외재적 동기부여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수행성과 간의 관계를 모두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내 직무수행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가 성공의 상징으로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 주고 조직구성원들이 리더나 상사에 대한 자부심 및 높은 몰입을 갖게 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리더십 뿐만 아니라 구성원 개인들의 동기부여가 성과에 이르는 주요한 매개변수임을 입증함으로써 향후 기업의 인사관리자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empiricall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o accomplish this, we have thoroughly reviewed the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nd statistically tested.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via survey. The basic informations involved 159 employees who work for companies in Busan and sourthern Kyunsan province. The results were follow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in-role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was supported. These results imply that leaders should support the vision of employees as a symbol of success and it could foster th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