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Bilateral Discoid Medial Menisci : Two Different Types in One Patient and Bony Changes on the Medial Tibial Plateau

        Tae Seok Nam(남태석)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2

        원판형 내측 반월상 연골은 슬관절에 비교적 드문 경우이고, 양측성인 증례는 매우 드물다. 이에 증상있는 양측성 원판형 내측 반월상 연골로 치료하였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관절경 소견에서 한쪽 무릎은 완전형 내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소견을, 반대쪽은 불완전형 내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소견을 보였다. 또한 본 증례의 경우 경골의 골성 변화를 동반한 양측성 원판형 내측 반월상 연골의 보고된 세계에서도 드문 증례이다. 환자는 관절경적 술식으로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인 경과를 보였다. A discoid medial meniscus is a relatively rare pathology of the knee joint, and bilateral cases are extremely rare. We present one case of bilateral symptomatic discoid medial menisci. Arthroscopy revealed a complete type of discoid medial meniscus in one knee and an incomplete type in the other knee. Ours is a very rare case of bilateral discoid medial menisci with associated osseous changes in the tibia, and it is perhaps the first such reported case in the world.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partial meniscectomy using routine arthroscopic procedures.

      • 슬관절 손상과 동통의 보존적 치료

        빈성일,남태석,안지현,정광환,Bin Seoung-I1,Nam Tae-Seok,Ahn Ji-Hyun,Jung Kwang-W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2

        슬관절 손상과 동통의 치료 방법은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보존적 치료로도 충분한 경우에도 과도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여러가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손상의 기전을 명확히 알고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 야 하겠다. 여기에서는 슬관절 손상 환자에서 손상 기전을 알아보고, 치료에 있어 보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reatment of knee injury and pain consists of conservative and surgical treatment. Although conservative treatment is suffice in many cases, surgical treatment is performed which is not necessary. Therefore, thorough knowledge of injury mechanism and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ies are required. Injury mechanism and conservative treatment of knee injury patient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Tear of Lateral Discoid Meniscus and Cartilage Damage in Patients Under 40 Years Old

        Seong-Il Bin(빈성일),Tae-Seok Nam(남태석),Ji-Hyun Ahn(안지현),Se-Kwan Oh(오세관)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15세 이상 40세 이하의 활동기 연령에서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파열과 동반된 연골 손상 정도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알아 보고하고자 하였다. 1998년 10월에서 2004년 7월까지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파열로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받은 144예 중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에 단독 손상을 보인 15세 이상 40세 이하의 환자 56명, 65예에서 나이, 증상 기간,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파열 형태, 하지 정열 상태와 동반된 연골 손상의 정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수술 전 가장 흔한 증상은 동통(89.2%)이었다. 관절경 검사에서 완전 원판형 반월상 연골 파열은 22예였으며, 파열 양상은 선형(longitudinal) 파열이 11예로 가장 많았다. 불완전형 원판형 반월상 연골 파열은 43예로, 이중 방사형(radial) 파열이 18예로 가장 많았다. 선형 파열로 분류된 전례에서 양동이 손잡이형(bucket-handle) 파열의 형태를 보였다. 65예 중 33예(47%)에서 경골 혹은 대퇴골 외과의 연골이 Outerbridge 분류상 3, 4등급의 소견을 보였으며, 21예의 선형 파열 중 15예(65%)에서 다른 형태의 파열에 비해 많은 비율에서 관절 연골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증상 기간은 연골 손상 정도와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나이, 방사선 검사상 하지 정열 상태는 동반된 연골 손상의 정도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15세 이상 40세 이하의 활동기 연령에서의 외측 원판형 반월상 연골 파열 중 선형 파열(양동이 손잡이형)에서 외측 경골 및 대퇴골 연골의 손상이 비교적 많았으며, 증상 기간과 연골 손상 정도가 상관 관계가 있어, 이 경우 비교적 조기에 적절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report the correlation between tears in the lateral discoid menisci and cartilage damage in patients under 40 years old. Materials and Methods: Arthroscopic meniscectomy was performed on 144 cases of tears in lateral discoid menisci from September 1998 to July 2004, of which 65 cases were in 56 patients aged 15 to 40 year old and showed isolated tears of lateral discoid menisci. For these 65 cases, we inspected clinical symptoms and tear pattern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age, duration of clinical symptoms, tear pattern of the meniscus on arthroscopic findings,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on X-rays and the severity of associated cartilage damage. Results: The most common pre-operative symptom was pain (89.2%), followed by locking (32.3%), a clicking sound (16.9%), and giving way (16.9%). Arthroscopic findings showed, 22 cases of complete type-discoid meniscus, consisting of 11 longitudinal tears, 5 simple horizontal tears, 5 complicated horizontal tears, 1 radial tear and no complex or degenerative tears. There were 43 cases of incomplete type-discoid meniscus, consisting of 18 radial tears, 10 longitudinal tears, 8 complicated horizontal tears, 3 simple horizontal tears, 3 complex tears and 1 degenerative tear. All longitudinal tears showed a pattern of bucket-handle tears. Associated cartilage damage greater than grade 3 according to the Outerbridge classification was observed in 33 cases, 11 complete and 22 incomplete discoid-type, on the lateral femoral condyle or tibial plateau. Of the 21 cases of longitudinal tear, 15 had associated cartilage damage significantly increased rate in comparison with other types of clinical tear pattern. Of the 15 cases of grade 4 cartilage damage, 9 had longitudinal tears. The duration of clinical symptoms was correlated with cartilage dam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ed between cartilage damage and age or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on X-rays. Conclusion: Longitudinal (bucket-handle) tears of the lateral discoid meniscus inpatients 15 to 40 years old, showed significant associated with cartilage, damage. The duration of symptoms was also correlated with cartilage damage, indicating that prompt initiation of appropriate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se cases.

      • KCI등재

        금속 대 금속 고관절 표면 치환술의 최소 4년 추시 결과

        이수호(Soo-Ho Lee),조수현(Soo-Hyun Cho),강석중(Seok-Joong Kang),남태석(Tae-Seok Nam),최지원(Ji-Wo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금속 대 금속 고관절 표면 치환술의 최소 4년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2001년 9월까지 금속 대 금속 고관절 표면 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4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36명, 39 고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5세(28-69세), 평균 추시 기간은 51.9개월(48-82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를 위해 해리스 고관절 점수 설문 및 술 후 보행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술 후 주기적으로 전후면 및 횡측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세라믹 대 세라믹 관절면 고관절 전치환술군 21예를 대조군으로 코발트와 크롬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해리스 고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61점(31-74점)에서 최종 추시에서 평균 96점(85-99점)으로 향상되었다. 비구컵의 해리는 보이지 않았고 대퇴 부품의 삽입 각도는 대퇴골 간부에 대해 평균 136°로 22 고관절(61.1%)에서 130-140o의 범위에 있었다. 4년 추시상 생존율은 97.4%이었으며, 혈중 코발트, 크롬 농도 모두가 대조군에 비해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p<0.05). 결론: 고관절 표면 치환술은 단기 추시 결과 우수한 생존율을 보였으나 향후 더 많은 증례에서의 장기 추시가 필요하며, 금속 이온 유리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o report the minimum 4 year follow up results of metal on metal hip resurfacing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 39 hips from 36 patients, who received hip resurfacing from November 1998 to September 2001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4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was 45 years (28-69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1.9 months (48-82 months). A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the Harris Hip Score and gait analysis postoperatively. A radiologic evaluation was performed regularly after surgery using anteroposterior and lateral simple radiographs. The post-operative cobalt-chrome serum concentration was measured and compared using 21 cases of ceramic-on-ceramic total hip arthroplasty as a control group. Results : The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61 points (31-74) preoperatively to 96 points (85-99)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cases of acetabular loosening, and the average angle of femoral insert to the shaft was 136° with 22 hips (61.1%) being within 130-140o. The 4 year follow-up survival rate was 97.4%. The serum cobalt and chrome level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 Hip resurfacing showed excellent survival rate after a short-term follow-up, but still requires a long-term evaluation with more cases and further metal ion releas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금속-금속 관절면 고관절 치환술 후 금속 이온 유리

        이수호(Soo-Ho Lee),조수현(Su-Hyun Cho),남태석(Tae-Seok Na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금속-금속 관절면에서의 논쟁의 초점인 금속 이온 유리가 실재하는지와 골두의 직경이 큰 금속-금속 관절면 고관절 표면치환술(hip resurfacing arthroplasty)과 상대적으로 작은 전치환술(total hip arthroplasty)에서 유리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1998년 6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수술 후 추시 중 금속 이온 농도 측정이 가능하였던 금속-금속 관절면 고관절 표면치환술(평균 골두 직경 47.1 ㎜) 42예와 전치환술(골두 직경 28㎜) 39예에서 나이, 체중 및 수술 후 검사 기간이 조화되는 환자, 각 21예를 대상으로 혈중 코발트와 크롬 이온 농도를 비교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세라믹-세라믹 관절면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로 하였다. 금속 이용 농도는 환자의 혈청을 희석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기(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Agilent 4500, Rhode Island, USA)로 측정하였다. 결과: 혈중 코발트와 크롬 모두 금속-금속 관절면 양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금속-금속 관절면 양군간의 비교에서는 표면치환술군이 전치환술군에 비해 혈중 코발트는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나(p=0.025), 크롬은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0l). 결론: 금속-금속 관절면의 사용시 금속 이온의 유리는 실재하며, 큰 골두 직경을 사용하는 표면치환술에서 더 높은 코발트 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의 임상적 의의는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verify that the metal-on-metal (MOM) surfaces produce metal ions and to ascertain the differences between large and small femoral head diameters with regard to the release of metal io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two cases of MOM hip resurfacing arthroplasty (mean head diameter: 47.1 ㎜) and 39 cases of conventional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head diameter: 28 ㎜) were performed at our hospital from June 1998 to April 2003. All the cases were followed-up using the serum cobalt and chromium ion levels. The serum cobalt and chromium ion levels were compared in the 21 cases in each group, which were matched by age, weight and follow-up period. The control group involved 21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alumina-alumina total hip arthroplasty. The patient's serum metal i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from the serum, which had been separated from the whole blood and dilut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Agilent 4500, Rhode Island, USA). Results: All MOM bearing implants produced higher serum levels of cobalt and chromium ions than the control. The serum concentration of cobalt with MOM resurfacing was higher than that observed with a 28 ㎜ MOM total hip arthroplasty (p=0.025), but the chromium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01). Conclusion: The MOM bearing implants in this study produced elevated serum levels of cobalt and chromium ions. In addition, large diameter heads resulted in greater systemic exposure of cobalt ions than the small diameter heads. However, a long-term follow-up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 KCI등재

        Two Stage Surgical Treatment of Acute Traumatic Knee Dislocation

        Jong-Min Kim(김종민),Dong-Man Joo(주동만),Tae-Seok Nam(남태석),Hyung-Sun Ahn(안형선),Ji-Hyun Ahn(안지현),Dong-Wook Kim(김동욱),Seong-Il Bin(빈성일)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목적: 외상성 슬관절 탈구의 치료에서 2단계로 나누어진 새로운 수술원칙의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0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슬관절 탈구로 내원한 14명,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개월이었다. 측부인대 복합체는 수상 2주 내에 수술하였고, 이후 불안정성을 보이는 십자인대에 대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관절 운동 범위, Lysholm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전방, 후방십자인대가 파열되었으며, 내측측부인대는 10예, 외측측부인대는 8예에서 파열되었다. 모든 측부인대 복합체 손상에 대하여 수술 시행하였다. 3예에서 전방십자인대, 7예에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5예에서는 재건술이 필요하지 않았다. 최종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에서 내측측부인대는 모든 예에서 0-1도, 외측측부인대는 14예에서 0-1도, 전방십자인대는 모든 예에서 0-1도였으며, 후방십자인대는 11예에서 0-1도, 4예에서 2도였다. Lysholm 점수는 평균 87.6점이었다. 결론: 외상성 슬관절 탈구의 치료시, 첫 단계로 측부인대의 수술을 시행하고, 이후 선택적으로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는 2단계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new two stage surgical treatment for acute traumatic knee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volved 15 knees in 14 patients treated between October 1997 and November 2001.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 months. In the first surgical stage, medial and/or lateral ligament complexes were repaired or reconstructed within two weeks of the injury. In the second surgical stage, once full range of motion was obtained 3-6 months later, anterior 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s (ACL or PCL) were reconstructed if significant laxity was present. The fin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stress X-rays, range of motion and Lysholm score. Results: There were ten cases of MCL tear and eight cases of LCL tear. All MCL and LCL injuries were either repaired or reconstructed. All cases had both ACL and PCL tears. Following the first stage of MCL/LCL surgery, the second stage surgery of ACL or PCL reconstructions was deemed to be necessary in three and seven cases, respectively. Five cases did not require ACL or PCL reconstruction. In stress X-rays at the last follow up examination, MCL, LCL, ACL and PCL instability was graded as 0 or 1 in 15, 14, 15 and 11 cases, respectively. PCL instability was graded as 2 in four cases. The mean postoperative Lysholm score was 87.6 points. Conclusion: The two stage surgical approach described here resulted in good outcomes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cute knee dislocation patients in terms of range of motion and stability.

      • KCI등재

        근위 상완골 골연골 병변 및 회전근개 파열과 함께 발생한 삼각근하 점액낭 연골종증

        김영창(Young-Chang Kim),우성종(Sung-Jong Woo),남태석(Tae-Seok Na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3

        점액낭을 침범하는 활막성 연골종증은 드물며, 견관절 주위의 점액낭을 침범하는 경우는 더욱이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57세 남자에서 발생한 좌측 근위 상완골의 골연골 병변과 견관절 극상건 파열과 함께 발생한 삼각근하 점액낭 연골종증을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ynovial chondromatosis involving the bursa is uncommon, and those cases synovial chondromatosis within the bursa around the shoulder are especially rare. We report here a case of a 57-year-old male who had subdeltoid bursal subdeltoid bursal chondromatosis associated with osteochondral lesion of the proximal humerus and a rotator cuff tear. We also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

        분절성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하성식 ( Sung-sik Ha ),홍기도 ( Ki-do Hong ),심재천 ( Jae-cheon Sim ),서이락 ( Yi-rak Seo ),남태석 ( Tae-seok Nam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3

        분절성 쇄골 골절은 매우 드물며, 그 치료 방법에 대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분절성 쇄골 골절을 가진 환자에서 각각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예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예를 통해 좋은 결과를 얻었던 2예를 보고자 한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유사한 경우의 치료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Segmental fractures of the clavicle are very rare. Therefore, to date, there has not been a clear, standardized method of management of segmental clavicle fractures. Herein, two patients with a segmental fracture are described: One patient was treated conservatively, while another patient was treated operatively. Both patients showed excellent results. We discuss the various management options with a literatur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