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seltamivir (Tamiflu) Induced Depressive Episode in a Female Adolescent

        Sungho Chung,Yoo Sook Joung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0 PSYCHIATRY INVESTIGATION Vol.7 No.4

        Oseltamivir was developed for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use against influenza, specifically targeting the viral enzyme’s highly-conserved active sit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case reports of neuropsychiatric events during or after oseltamivir treatment,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However, a search of the literature revealed no such cases in South Korea. We present the case of a 15-year-old female adolescent diagnosed with depressive episode after taking oseltamivir. Oseltamivir is generally well tolerated. Its most frequent adverse effects include nausea and vomiting, diarrhea, and abdominal pain. In influenza patients taking oseltamivir,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 include delirium, behavioral disturbance, suicide, delusion, panic attack, convulsion, depressed mood, loss of consciousness, etc. Reportedly, such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 were more common in children than in adults and generally occurred within 48 hours of administration. Here, we report a retrospective review case of an oseltamivir-related neuropsychiatric event in a female adolescent in South Korea.

      • KCI등재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2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강원도 인구분포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강원도 18개 시군 중 춘천과 원주를 제외한 시군에서 모두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의 경우 도청소재지와 영서북부권의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경춘전철 및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서울 및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향상될 경우 춘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주시는 교통망이 전국적으로 연결된다는 점과 최근 기업도시, 혁신도시에 선정되면서 발전가능성이 높게 인식되면서 인구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에 반해 강릉은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을 6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으며, 이를 다시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2003년 사이에는 중간거점도시가 춘천, 속초, 동해, 강릉 등 5곳 이었으나, 2004~2007년 사이에는 원주, 춘천 등 2곳만이 중간거점도시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와 동해는 서울, 경기도로 주로 옮겨가는 특성을 보였으며, 강릉은 서울, 경기와 춘천 및 원주로 동시에 유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함께 분석결과는 조사기간 중 전반기에는 중간거점도시보다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이 많았으나 후반기에 들어서 거점도시인 춘천, 원주로 옮겨간 인구수가 거점도시에서 수도권으로 간 인구수보다 더 많은 특징을 보였다. 이는 중간거점도시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movement in Kangwon provinc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in- out- migration data establish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between 2000 and 2007. Sample survey and depth interview were also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pulation of all Si and Gun except Choonchun and Wonju declined. This decline of population in Kangwon province persisted during the last decades. The decline started with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and 1980s. The decline of population in Kangwon province continued in the 1990s and 2000s with the open agriculture policy rooted in UR and FTA. All Si and Gun can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in terms of population movement in Kangwon province between 2000 and 2007. The first group(Group B) is where in-migration from other Si and Gun and out-migration to Seoul and Kyunggi continues in the period. Choonchun, Wonju, and Sokcho belong to this category. The second group(Group C) is where out-migrarion to Seoul and Kyunggi is larger the in-migration. It includes Cholwon, Taebaek, Donghae, and Samchok. The third group(Group D) is where out-migration to Group B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places. Hwachun, Pyungchang, Hoegsung, Gosung, and Hongchun are included in this group. The fourth group(Group E) is where out-migration to both Group B and Seoul & Kyunggi is large. Youngwol, Gangnung, and Chungsun belong to this category. The fifth group(Group F) is where few population movement occurs. It includes Yangyang, Yanggu, and Injae. The findings also shows that the extent of population movement to Choonchun and Wonju is larger than that of Seoul and Kyunggi in recent period.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base city like Choonchun and Wonju has become in recent years.

      • KCI등재

        저출산 대책, 무엇이 문제인가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2

        본 연구는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저출산 대책의 내용과 문제점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제1차, 제2차 저출산 대책은 정책의 초점을 출산 장려 캠페인, 보육 지원 등 미시적 접근에 두어 저출산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한 근본적 해결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특히 저출산 대책비의 70% 이상이 보육지원에 사용되는 문제점에 대해 최근 수립되고 있는 제3차 저출산 대책은 보육중심에서 만혼추세 완화로 방향을 전환할 예정이다. 이러한 방향 전환은 유배우 비율이 계속 감소하는 추세에서 출산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혼추세 완화라는 정책의 목표를 이루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혼 및 비혼 추세는 가치관의 변화뿐만 아니라 청년실업, 주택마련의 어려움, 비정규직 확대, 불확실한 경제 상황등과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족의 육아부담 경감, 공공보육서비스 확충, 육아휴직 활성화 등을 통해 출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적 배려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critically examine the measures governments are taking to raise the birth rate in Korea. The First and The Second Plan for Low Fertility aim to foster environments in favor of child-rearing. The Plan is geared to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society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fostering a family-friendly and gender-equity culture, and raising future generation in a wholesome way. In doing so, government has employed a mix of policies and programmes. These are monetary support for families with children,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leave from work, and assistance with childcare through daycare centers, after-school programs, and monetary support for childcare at home. Many observers have commented that the pronatalist policies in Korea have failed,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hat fertility has risen since their introduction.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Korea’s very low fertility is attributable to an increase in people remaining unmarried. They also maintain that current population policies focusing on encouraging marital fertility have limitations in boosting total fertility rate. In response to this critique, The Third Plan focuses on decreasing the deferred marriage trend. It is not expected, however, that suggested measures will be effective for encouraging young people to marry, given current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This paper argues that measures to combine work with family responsibilities are necessary for increasing fertility in Korea, because fertility in Korea will remain low as women make difficult choices between careers and motherhood.

      • KCI등재

        저출산 요인의 인과모형

        정성호(Sungho Ch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최근 출산력 연구에서 저출산 및 초저출산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수준에서 뿐만아니라 경험적인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중 저출산 및 초저출산이 일시적인 현상인가 아니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인가 하는 질문과 저출산 및 초저출산의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저출산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2000년대 초반이후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어느 나라보다도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고, 출산력 제고는 가장 긴박한 정책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변수로서 청년실업률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로서 초혼 연령이 출산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초혼연령과 출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연령은 예상대로 출산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실업률의 경우 예상과 달리 초혼연령과 출산력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저출산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출산 및 자녀 양육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육아휴직제도, 선택적 근로시간제, 보육시설 확대 등의 정책 방안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5 in 2009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on family formation and fertility. The data includes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 unemployment rate, age at first marriage, and total fertility rate from 1980 to 2008. Contrary to hypothesis the effects of unemployment rate on age at fist marriage and fertil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ate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on age at first marriage and total fertility rat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s hypothesized, the age at first marriage has a negatvie effect on total fertility rate. However,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 the rate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has the greatest effects on total fertility rate and age at first marriage.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2

        초저출산에 관한 논의는 장래 인구추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초저출산추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 첫째, 초저출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혹은 가까운 장래에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인가 하는 질문이다. 둘째, 현재의 초저출산은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는지 혹은 앞으로도 더욱 감소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다. 셋째, 초저출산 현상은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지 혹은 남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들과 연계된 이슈들은 장래의 인구학적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추세는 일시적인 추세가 아니라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혼인연령과 출산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역시 초저출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둘째, 초저출산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산수준이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최근 초저출산을 가져온 다양한 요인들이 개선되지 않거나 초저출산 추이를 막기 위한 정책이 미흡하면 현재보다 더 낮은 출산 수준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기 때문이다. 셋째, 유럽의 경우와 다르게 한국, 타이완, 홍콩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교육비 부담과 육아부담을 줄이는 정책적 고려 없이 출산율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망하다는 지적에 주목해야 한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9 in 2008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on family formation and fertility. The data includes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 unemployment rate, age at first marriage, and total fertility rate from 1980 to 2008. First, the economic recession hindered young people's economic independence and propensity to marry. Married couples were also depressed with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and avoided to have children. Second, the growth i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fertility, under the low level of compatibility between women's work and childrearing. Moreo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rising cost of children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costs is thought to be the main reason of the recent low fertility in Korea.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 공동체에서 네트워크로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3

        그 동안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관한 논의는 이주 배경과 정체성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주 과정에서의 적응, 동화, 정체성 등의 제 현상에 대한 연구는 좋은 예이다. 이러한 논의는 미주, 일본, 러시아, 중국 등에 이주한 한인들에 대한 실태 조사와 아울러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디아스포라는 더 이상 유랑자가 아니라 해외에 거주하는 유용한 ‘자원’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한민족공동체로서 뿐만 아니라 해외한인들을 포함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이 절실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글로벌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는 유대인 네트워크와 화교 네트워크의 특성을 검토한다. 이들은 전 세계 곳곳에 사람과 자본을 심어 놓은 이른바 현지화?세계화 전략을 꾸준히 전개해왔다는 점에서 중요한 예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해외 한인을 묶을 수 있는 네트워크의 구축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해외 한인을 연결시켜 주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이야말로 21세기 무국경?무한경쟁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The study of Korean diaspora has focused on migration, adaptation, and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in China, the CI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contemporary concept of a diaspora is a way of understanding migration, cultural difference, identity politics, and so on. Thus, this more broadly defined diaspora is used to mean a dispersion of people of a common national origin or of common beliefs living in exile. As of 2007,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7 million Koreans living in 170 countries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ome have left Korea involuntarily and some others voluntarily. But most of them actively try to maintain their identity and culture as Koreans. With the large number of overseas Koreans, there has recently bee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among overseas Koreans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Korean Global Network of overseas Koreans. In doing so, this paper reviewed the case of Jewish and Chinese network. Then, this paper indicates the problems in the networking of overseas Koreans and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Global Network. Above all, there should be changes in the government's policy towards overseas Koreans in the direction of organizing networks of overseas Koreans to coexist with the mother country. The government should adopt a policy to restore trust in overseas Koreans. It should take a pragmatic approach to the mutual interests in the socioeconomic relations instead of taking a political approach to overseas Koreans.

      • KCI등재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향후과제

        정성호(Sungho Ch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연구 Vol.48 No.2

        최근 출산력 연구에서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경험적인 수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2000년대 초반이후 한국의 초저출산 문제는 어느 나라보다도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고, 출산력 제고는 가장 긴박한 정책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한국의 초저출산 현상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변수로서 청년실업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사교육비의 부담, 양성평등 관념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로서 초혼연령이 출산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책들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에 대한 검토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저출산 대책 역시 단편적으로 추진되어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기존의 정책을 재검토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정부의 구체적인 실천이 중요한 시점이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9 in 2008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age at first marriage, expansion of the gender equity, excessive cost of private education on fertility. The low fertility rate could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unfavorable conditions in society for having and raising children, and also as a lack of confidence in the future. Attention has also been cal led on the cost of child and on the heavy economic burdens laid on couples.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후보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성호(Chung, Sungho)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2

        2006년부터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제1차, 제2차 저출산 대책은 정책의 초점을 출산 장려 캠페인, 보육 지원 등 미시적 접근에 두어 저출산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한 근본적 해결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차 저출산 대책은 보육중심에서 만혼추세 완화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이러한 방향 전환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 추이는 지속되고 있다. 새 정부는 기존의 저출산 대책을 비판하면서 저춝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국가주도의 정책’에서 `사람중심 정책`으로 출산과 자녀양육을 인권으로 존중하고 청년과 여성의 기대를 높일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저출산 대책의 방향은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떻게’ 세부 정책을 수립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 보다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대책들, 기존의 복지정책과는 차별화된 대책들, 사람들이 수긍할 수 있는 대책들을 어떻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in Korea. The First and The Second Plan for Low Fertility aim to foster environments in favor of child-rearing. In doing so, governments has employed a mix of programs. These are monetary support families with children, after-school programs, and monetary support for child-care at home. The Third Plan focuses on decreasing the deferred marriage trend. Many observers have commented that the pro-natalist policies in Korea have failed,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hat fertility has risen since their introduction. Similarly, New Government maintains that current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have failed in boosting fertility rate. They also maintain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in Low Fertility.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in Low Fertility means the transition from state-led policy to people-centered policy. Specifically they suggest four main tasks for new policy direction: 1) work and life balance, 2) stable and equal job for woman, 3) structural reform in employment, dwelling, and education, 4) support for all children and family. The policy direction for New Plan seems to be right. However, the question still remains over how this policy direction can be established with detailed policies.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diagnosis is accurate and clear,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not simple. It is time to listen to the argument that “the nation"s low birthrate does not come from having no children, but from an environment that makes it impossible to give birth, so it is hard to expect the situation to improve without improving the situation.”

      • KCI등재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과제

        정성호(Chung, Sungho)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3

        2017년 새롭게 구성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기존의 저출산 대책을 매우 강하게 비판하면서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이른바 국가주도의 정책에서 사람중심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저출산 대책의 방향은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떻게 세부 정책을 수립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이러한 우려는 최근 발표된 정부의 저출산 정책에서 잘 드러난다. 발표된 저출산 대책이 기존 정책을 수정하거나 확대하는데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대책들, 기존의 복지정책과 차별화된 대책들, 사람들이 수긍할 수 있는 대책들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등이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이다. 무늬만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면서 기존 정책을 답습하고 있는 저출산 대책이 계속된다면 저출산 흐름은 계속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in Korea. Many observers have commented that the pro-natalist policies in Korea have failed,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hat fertility has risen since their introduction. Similarly, The New Government’s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committee argues that current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have failed in boosting fertility rate. It maintains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in Low Fertility. Paradigm Shift in Policy Responses in Low Fertility means the transition from state-led policy to people-centered policy. Specifically it suggests four main tasks for new policy direction: 1) work and life balance, 2) stable and equal job for woman, 3) structural reform in employment, dwelling, and education, 4) support for all children and family. The policy direction for New Plan seems to be right. However, the question still remains over how this policy direction can be established with detailed policies.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diagnosis is accurate and clear,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not simple. This concern is illustrated by the recently announced government policy on low fertility. This is because the policy measures announced have only changed or expanded existing policies. It is a complement to existing policies, not a paradigm shift. At the heart of the paradigm shift are more concrete and fundamental measures, differentiated measures from existing welfare policies, and measures people can accept. If the government continues to implement the current policy by insisting on a paradigm shift, the low fertility will continue.

      • KCI등재

        동아시아의 초저출산 추이와 전망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2

        합계출산율 1.3 이하를 의미하는 초저출산 현상은 최근 동아시아 국가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저출산을 일찍 경험한 일본(1.21)과 1990년대 후반 아시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급격한 출산력 저하를 경험한 한국(1.23), 타이완(1.15), 싱가포르(1.11) 등이 좋은 예이다. 초저출산 현상은 인구학자는 물론 정책 담당자들 사이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초저출산의 지속은 인구구조의 측면에서 인구의 고령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인구감소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측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아시아국가들은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많은 인구학자들이 주장하듯이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저출산 정책은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 정책이 도입된 이후에도 출산력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저출산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책방향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의 최우선순위 학보, 국가별 특수성 고려 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4개국의 가부장적인 사회구조와 문화적인 전통에 기초하고 있는 기존제도에 대한 포괄적인 개혁과 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lowest-low fertility has rapidly spread in Eastern Asia. Today, four of Asian countries -Japan, Singapore, Korea, Taiwan- have among the lowest fertility rate in the world. Why are women choosing to have so few children in those four countries? How are policy makes responding to these tren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four countries. In four countries, the economic recession hindered young people’s economic independence and propensity to marry. Married couples were also depressed with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and avoided to have children. Moreo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rising cost of children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costs is thought to be the main reason of the recent low fertility in four countries. Each government has initiated a variety of population policies and programs designed to encourage marriage and childbearing. The general consensus about pronatalist policies in East Asian countries seems to be fail,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hat fertility has risen after adopting those policies. Given current social and economic trends, it is unlikely that very low fertility will be reversed, at least not in the foreseeable future.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