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과 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이성도(Yi Sung-Do),김혜숙(Kim Hye-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3 美術敎育論叢 Vol.17 No.-

        미술과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미술교육의 목표와 성격, 내용체계 등이 새롭게 바뀌고 그에 맞게 초등·중등 미술교과서가 집필되었다. 초등·중등 미술교과서에는 동서고금의 미술들이 위계성, 적정성을 토대로 학년에 맞게 적절한 학습단원활동들로 소개되고 다뤄지고 있다. 표현활동으로는 평면, 입체 등으로 나눠지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회화, 조소, 판화, 디자인, 공예, 서예 등으로 분류된다. 초등·중등교사들이 이런 학습단원의 활동들을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교수-학습하기 위해서는 그에 준한 물리적 환경이 시설·설비되어야 하고 필요한 교구들이 갖춰져야 한다. 이 연구는 초등, 중등 교육현장에서 미술수업의 물리적 환경이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설문지 조사를 토대로 학교규모별, 학교급별, 지역별의 교육환경 및 교구비치, 초등·중등 교사들이 보는 미술수업의 문제점과 제언 등 미술수업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주요어 : 미술실, 일반교실, 교구비치, 시설설비 및 기자재 When the art curricular are need a change by government, the whole art curricular's purposes, characters and contents are also changed newly.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are also rewritten totally based on the new art curricular.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are usually covered with east and west art works and developed with the lesson units carefully to be applied to the school graders in a proper way. School art activities are usually composed of two-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art works including painting, sculpture, print, design, craft and calligraphy. In order to affectively teach a lesson unit of these area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art classroom's physical environments must be provided with all the necessary art equipments,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This study is focused mainly on how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classrooms' physical environments have provided the necessary art equipments,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in a nation-wide. We used a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The questions include physical classroom's environment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old art classroom equipments, the problem issues and suggestions. 51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from all over the country. Key words : art classroom's physical environment, equipments, facilities

      • KCI등재

        교ㆍ사대 대학생 및 초ㆍ중등 교사들의 미술용어 인식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이성도(Yi Sung Do),김혜숙(Kim Hye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2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의 미술교육과 수업에서 이론과 실기를 교수할 때 이들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에게 주요 용어를 강조하거나 초?중등 미술교과서와 미술과 수업에서 다뤄지는 미술용어에 대한 중요성을 숙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들 학생들은 차후 초ㆍ중등 교육현장에서 미술과 교수ㆍ학습활동을 통해 초ㆍ중등학생들에게 미술과 미술문화, 미술용어 등을 이해시키고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교ㆍ사대 대학생 및 초ㆍ중등 교사들의 미술용어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면 교ㆍ사대 대학생들은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의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용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 대학교육과정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경험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ㆍ중등 교사들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미술용어의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미술과 교수ㆍ학습 시 미술용어를 활용하는 것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ㆍ중등 학생들의 미술용어가 일상화되기 위해서는 교사 양성기관에서 미래의 교사인 재학생들에게 미술용어를 이해시키고 학습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방법에 대한 것들이 제시되어져야 한다. We have examined how the present condition of art terminology education is using questionnaire survey for college student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ether students learn art terminology properly at school art class, many students respond that they hardly have chance to learn art terminology relating any art activities including art appreciation. Many teachers also respond that they do not intend to teach the art terminology, unless it is pointed out in the art textbooks. Unfortunately, there is no explanation of key words in art textbook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the survey result, we found that man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ant to have key words in art textbook. If the key words are present in art textbooks, it will be helpful for teaching the students. If a teacher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art terminology, he could use key words in various ways including writing on the board, talking, a hand-out sheet and a game in order to provoke students understanding of art terminology. The awaren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rt terminology directly link to the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of art lessons. Students will get more understanding of the art and culture and heritage. Art terminology is the common words world widely using in visual culture. It is main linguistic tools to understand the art cultural and heritage such as Korean, Asian and world art cultural and heritage. That’s why art terminology so important to understand. Teachers must look for right meanings and symbols and signs of necessary art terminology in order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art terminology fully and correctly. If students understand the art terminology more fully, they will develop an interest and understand and communicate the art and cultural heritage and will enjoy it more full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초·중등 미술과 수업운영과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비교 연구

        이성도(Yi Sung-Do),김혜숙(Kim Hye-Sook),김지균(Kim Ji-Kyun),나가마치 미츠이에(Nagamach Mitsuie),안도 교이치로(Ando Kyochiro)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2

        한국과 일본의 미술수업은 자국의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육여건, 교육정책, 교육환경 등에 의해 운영되고 영향 받는다. 이 연구는 한·일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미술과 수업운영 및 현황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변인들을 조사하고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설문지 실태조사에 의한 결과분석, 학습내용 및 교사의 지도방법에 대한 초·중등 학생들의 반응, 미술과 수업에 대한 초·중등교사들의 의견 등은 한·일 미술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미술교과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art class's management and present conditions in Korean and Japanes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using questionnaire methodology. The questions are directed to find out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a classroom, art activities, art materials, teaching-lesson methods, the problem issues and suggestions. The participants include 746 Korean and Japanese are primary students, 626 secondary students, 171 primary teachers, 122 secondary art teachers. Korea and Japan's art classes are managed and influenced by each country's own national art curriculum, art education circumstances, art education policies and 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ponses and opin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nd teacher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art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We must consider seriously the opinions of Korea and Japan'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related art lessons and its contents. We must reconsider these topics such as how to make a criteria of propriety and grade of ranks for the art lessons, how a teacher can take an art class to stimulate students' curiousness and participation, how a teacher can develop each student's artistic skills and aesthetic ability, how a student can get a artistic knowledge in relating subject matters, materials and tools. Art administrators and art educators should listen carefully to those suggestions made by Korean and Japan's primary teachers and secondary art teachers regarding new hopes for art class and opinions of teachers' specialty. They must work hard to bring up these things to improve the quality and substantiality of art educations. In others words, they must deliberate what the art education field needed and adopt these ideas and opinions to the educational policy for betterment of the art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전인과 심미적 인간 연구

        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2

        우리 교육에서 추구하는 전인(全人)은 인간됨을 강조하는 인간적 성숙이거나 심미적 미의식을 통한 감성적 지각을 확장하는 인성적인 면보다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경험을 고루 갖춘 문화인, 교양인 수준의 인물이다. 이는 동아시아의 이상적인 인물인 유교의 군자나 도가의 지인(至人)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현재 미술교육에서 추구하는 심미적 인간은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미적 감성으로 예술문화를 즐기고 새롭게 보는 눈을 가진 사람으로 설정하고 있다. 심미적인 인간은 타고난 감성으로 대상이 가진 아름다움을 예민하게 느끼고 즐기면서 잘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심미적 이성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가졌다. 또한 서양과 동양의 심미적 인간의 모습을 서양 철학, 유가 및 노장 철학을 통해서 살펴보면 동․서양이 매우 상이한 모습을 하면서도 또 다른 면에서 매우 닮아 있는 모습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심미적 인간과 그 정신적 경계를 조명하면 내면의 평화, 평정, 자연과의 합일 속에 호연지기(浩然之氣)나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미적 체험을 일상의 삶속에서 실천하는 군자나 지인의 모습에서 볼 수 있었다. 이런 모습은 우리 예술교육의 인간상을 설정하고 재정립하는데 있어 시사를 받을 수 있는 전거가 되기에 충분하다. 또한 우리 미술교육이 서구 미술교육의 추종에서 벗어나 우리다운 미술교육을 실현하는데 있어 추구하는 교육철학과 인물상의 재검토를 할 필요성을 갖는다. 미술교육이 미술을 통한 인간 교육을 한다면 추구하는 인간은 어떤 모습이며, 거기에 수렴하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방법으로 교육해야 할까는 우리 미술 교육계의 큰 화두가 된다. 이는 미술을 통한 심성의 회복과 삶을 위한 미술교육방안 모색의 고민인 것이다. The image of a perfect person sought after in Korean education is that of a cultured person who is qualified with knowledge and experience in various fields of life rather than that of a person who is humanistically full-bloomed and aesthetically cultivated. The former image is far from the ideal images of man in East Asia such as ‘a virtuous man’ of Confucianism and ‘a true man’ of Taoism. The ideal man art education pursues is one who is culturally disposed and is able to enjoy culture aesthetically from a new perspective. The aesthetic person, with innate sensibility, has the ability to appreciate, enjoy keenly, and express the beauty of objects very well, along with the ability to reason and think critically. The spiritual elements of the aesthetic man in the East are inner peace, equanimity, and oneness with Nature. These elements produced a vast-flowing mind and man's oneness with heaven, a kind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put into everyday practice by virtuous men and true men. These ideal images of aesthetic persons can be used as a model guide for the setting up and reestablishment of an ideal educational model for Korean contemporary art education, If art education aims at a production of a true person through art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and immediate task for Korean art education will be to establish a concrete idea of modern man, how to constitute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is goal, and how to educate the students. This is the essential issue for us, Korean art educators, to think over to recover the original pure heart and to make art education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life.

      • KCI등재

        조소의 특징 변화에 따른 입체표현 교육 방향 탐색

        이성도(Yi, Sung Do),박상돈(Park, Sang Dorn)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오늘날 조소는 전통적인 구분인 조각과 소조의 범주를 넘어 다양한 재료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조형성을 가진, 확장된 개념의 입체표현으로 변화하였다. 입체표현은 재료의 다양성에 대한 능동적 수용, 새로운 공간 개념의 확립, 다양한 테크놀로지와의 융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해 왔으며, 현대 조형 예술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해 오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통적 조소에서부터 현대의 입체표현에 이르기까지 특징적인 변화에 따른 개념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입체표현의 체계를 분류하고 미술교육에서 입체표현 교육 수행의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미술교육에서 입체표현 교육의 다양성과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동시에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유의미하다. Nowadays, the sculpture has evolved from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sculpture and modeling to the three-dimensional with various formativeness as well as the extended concept through the blending of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3-D expression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through the active acceptance on the variety of material, establishment of new spatial concept, and fusion with new technologies,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modern sculpture arts. Thus in this article, the change of concept has been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change from the traditional sculpture to the modern 3-D expression. Based on this examination, the system of 3-D expression is classified and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3-D expression education in Arts education has been examined. These discussions have a meaning to be applied as a mechanism to seek the change and diversity of 3-D expression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can be applied as an opportunity to seek the understanding of modern arts.

      • KCI등재

        한국 전통건축의 자연주의 미학에 관한 연구

        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4

        한국인들은 한반도에서 오랫동안 살아오면서 자생적인 자연신앙과 불교, 유교, 도교, 풍수사상, 음양오행사상 등 여러 사상을 수용하면서,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건축을 조영하였다. 한국 건축에 나타난 자연주의는 건축의 자연재료 사용, 자연원리 모방, 자연과의 일체감이라 할 수 있다. 전통건축이 자연스럽다는 것은 건물의 형태가 자연스럽고 그 속에 사용된 건축 재료가 대부분 자연재이며 사용된 표현기법 또한 자연의 물성이나 특성을 살렸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과 함께 새로운 시대의 건축적 요구가 새로운 사상과 변화에 어우러지면서 우리의 전통 건축은 시대가 달라져도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형태와 규모를 적정하여 왔으며, 건물을 배치함에 있어서도 지맥이 허술한 곳을 메우고 돋보이게 하는 힘을 발휘하였다. 조선시대 건축을 오늘날 인문학으로 접근하면, 자연과 함께하는 가운데 친환경적으로 건축하여 하늘과 땅 그사이 자연스럽고 건강한 삶을 꾸려가려는 한국인의 자연관, 세계관, 인생관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 전통건축의 하늘과 땅과 사람 즉, 천지인(天地人)에 대한 경외나 조화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이라는 자연주의 미의식을 밝히고 교육적 접근을 제시한다. Koreans have established architecture harmonized with nature, adapting Totemism,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Theory of geomancy, Yín-Yáng Schòol, and other thoughts, etc.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aturalism appealed on the Korean architecture can be found by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imitation of natural principles, and harmony with the nature. The natural senses of the Korean architecture derived from making and presenting the best use of the properties of matter with its cultural tradition. Korean thought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have changed according to new thoughts and trends each times, but the forms and size have kept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nature. The placement of the architecture has proved the power filling the missing parts of stratums and looking them better. Approaching to the Chosŏn dynasty architecture with humanities, it can be seen as reflecting Korean views of nature, world and life which lead to natural and healthy styles living in the space between heaven and lands, since they were established in the natural environments. This article suggests the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naturalism shown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examining the Korean thoughts called as worship of heaven and love of human.

      • KCI등재
      • 에로티시즘 광고에서 나타나는 시각언어에 관한 연구

        이성한 ( Sung Han Yi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9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3 No.-

        우리의 일상에서 광고를 표현할 때, 흔히 광고의 홍수 속에 살아간다고 표현한다. 그만큼 광고는 우리 삶에서 다양하게 어필되고 있다. 이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 가운데 보다 시선을 끌 수 있는 건 아마도 인간 본능의 성을 도구로 한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에로티시즘이 단연 그 소구(訴求)면에서 돋보이고 있다. 성은 현대사회의 소비영역에서 성적 자극을 이용한 매개로 일반적인 현상이 되어가고 있고, 상품화 된 성의 이미지는 TV, 광고, 영화, 인터넷 등의 다양한 매체로 왜곡되고 과장되어 존재한다. 이는 외설스럽고 천박하고 폭력적이며 권위적이다 라고 주장하여 사회문제화 되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적이고 노골적인 표현의 상품 이미지로 제품 본래의 기능과 함께 나타나거나, 유희적으로 표현되어 즐거움을 전달하기도 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본 논문은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에로티시즘 광고에서 근원적 속성과 의미를 파악하고 에로티시즘 디자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구하여 대중문화에 있어 더 이상 저급 문화가 아닌 감성 문화로서의 에로티시즘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에로티시즘에 대한 기존의 사고방식의 전환을 통해 앞으로 새로운 학문과 문화로서의 그 역할과 영역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When expressing advertising in our daily life, we usually say that we live in the deluge of advertising. Advertising appeals as much to our life. Eroticism which uses human instinct, or sex, as a tool is the most evident device among various kinds of ads. Sex as a medium becomes a general phenomenon in the area of consumption within modern society and the image of sex which is commercialized remains perverted and exaggerated in various media such as TV, ads, movies, and internet. The commercialized sex, sometimes regarded as obscene, superficial, violent, and authoritative, often becomes a social problem, but it sometimes appears as a realistic and naked product of expression along with its innate function or it, being expressed amusingly, tends to deliver pleasure. After eroticism design being studied more effectively, this thesis is trying to grasp the basic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erotic advertising and find out that eroticism is not vulgar culture but emotional culture in public culture. And grounded on the research, the role and domain of eroticism, as new scholarship and culture, is studied through changing the existing way of thinking about eroticism.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에 관한 고찰

        이성도(Yi Sung Do),박상돈(Park Sang Dor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제시된 영역과 핵심 개념에따른 내용 요소와 성취 기준을 학습 요소, 교수ㆍ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과 연계하여고찰하고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살펴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용어의 반복을 피하고자 동일 개념을각기 다른 표현으로 제시하였고, 내용 요소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고려 없이 동일학습 내용을 분리하여 학년군에 따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시된 내용 요소의의미가 명확하지 않거나, 성취 기준과 학습 요소 등과 맥락이 일치되지 않는 경향이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핵심적인 내용 요소 제시를 통한 내용 적정화를개정의 주요 방향으로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 체계에서 드러나는 이러한양상은 내용의 위계를 성립하고 이에 따른 내용의 적정화를 구현한 것이라 보기에미흡하다. 이로 인해 미술과 교육과정의 영역과 핵심 개념이 균형과 조화를 이룬원활한 교육활동으로 연계된다기보다 학교 단위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적용에서방만한 교육과정 운영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게 한다. 향후 미술과교육과정의 개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보다 명확한 내용 체계를 구성하기위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consider the areas proposed in the contents syste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 relation to achievement criteria, learning component, teaching, learning and precautions, and suggest improvements of the art curriculum. The contents syste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presents the same concept using different expressions in order to avoid repetition of terms or separate the sam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grade cluster without considering the organic relationship of components.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s unclear or has a tendency to not agree with the context of achievement criteria and learning components.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s aimed at securing the relevance of contents through the presentation of core components. However, it is inadequate to regard that such aspects revealed by the contents system established the hierarchy of contents and accomplished the relevance of contents. For this reason, when it com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by teachers at school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re components of the art curriculum can lead to the lax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stead of achieving balance and harmony. Future revisions to the art curriculum would require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to create a more definitive contents system.

      • KCI등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이성도(Yi, Sung Do),최하영(Choi, Ha Young),조인호(Cho, In Ho),심효진(Shim, Hyo Jin),김규연(Kim, Kyu Yeo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오늘날 사회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미술관 교육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술관 교육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지표나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또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개설적인 내용에 그치고 있거나, 미술관의 개별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 분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다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의 기준이 되기는 어렵다 미술관이 갖는 특성과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으로 미루어 볼 때, 표준화된 형태의 분석틀을 제 시하는 것은 어려 운일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프로그램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하여 개발이나 분석에 필요한 기준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 관련 문헌연구 와 현장연구를 토대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분석표를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국립미 술관으로서 미술관 교육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조정가능성과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분석표가 모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의 표준모델을 제시 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표준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새로운 분석 모델로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담당자들 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정 • 보완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미술관 교육의 연구자나 현장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As growing need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day. it has be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museum education. However. current museum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educational program,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or program analyses Also, previous studies on analyzing museum education programs has been introductory and just analyzing contents of individual program. Although it is not easy to present evaluation tools to apply all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considering a variety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it is worthy to develop evaluation tools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10 museum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driv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 in order to evaluate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spite that presented tool in this study would not be a standard model in order to evaluate all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 present study points ou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standard evaluation tools. and presents the tool as a new tool for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worthy to provide factors to consider when staff develop and modify educational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