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이성엽 ( Sungyup Lee ),이민경 ( Minkyung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파편화된 서사의 양상을 보이지 않고 모더니즘적 서사세계의 특성인 질서 회복이라는 결말을 보여주는 Shaun Tan의 『도착』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 허물기가 이 작품의 다양한 층위에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림책과 만화를 아우르는 장르 정체성,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무는 사료편찬적 메타픽션으로서의 측면, 기억 속의 공간과 현재의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액자 속 이야기(mise en abime)’를 통해 하나로 엮어지는 서사 세계, 적극적 해석자로서의 ‘글 쓰는’ 독자의 위상, 독자층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크로스오버 작품으로서의 수용 가능성 등에서 경계 허물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층위에서의 경계 허물기는, 익숙한 공간인 고향을 떠난 이민자가 낯선 공간인 신세계에서 배척당하는 ‘주변인’이 아니라 그 곳의 다양한 거주민들과 똑같은 무게감을 가진 ‘존재’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보여주기 위한 글쓰기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e of the postmodern elements in Shaun Tan`s "The Arrival". The postmodernism is characterized by decanonization, indeterminacy, fragmentation, irony, hybridization, participation, etc.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picturebook in terms of decanonization: the canon`s authority is diminished, whereas the value of the periphery is increased. That results in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y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This disintegration of boundaries is observable in "The Arrival" in various aspects: genre, relation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temporal aspect of the narr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reader, and dual readership. "The Arrival" is considered a picture book or a graphic novel according to its readership: in other words, it is between two genres in order to effectively interweave graphic narrative threads. This work is based on historical events: the narrative is interwoven with the western history of immigr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is intertextuality that relates the historical events - which took place in New York, London and Australia - with the fiction makes the Australian picture book “historiographic metafiction”. When it comes to the narrative, the past stories of the major characters are inserted into the main present story: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inseparably connected through the “mise en abime” to the point of being fused into one. This temporal fusion is linked to the spatial and cultural connection between the homelands which the characters had to leave and the new land where they arrive to establish a new life. The dissolution of boundaries is perceivabl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the “death” of the former has given the latter the right to interpret the text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author`s intention. "The Arrival" is a non-verbal and visual semiotic space where the reader, now in a position of control, takes an active role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Furthermore, this graphic text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embraces dual readership as implied readers. For intertextuality - a textual mechanism which shows a correlation between dual reception a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readers - intertwines the fiction and History: young readers are excluded from the latter, while adult readers have access to both of them. Because The Arrival transcends boundaries in the various aspects as stated above, it may be considered as an iconotext that bears postmodern fe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협상 결과물로서의 고유명사 번역: 클로드 퐁티의 『끝없는 나무』를 중심으로

        이성엽 ( Lee Sungyup )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8

        본 논문은 프랑스 그림책 작가 클로드 퐁티의 L’arbre sans fin의 한국어 번역본 『끝없는 나무』에서 고유명사 번역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재 세계에서와 달리, 허구 세계에서 고유명사는 지시 기능뿐만 아니라 의미를 내포한다. 다시 말해, 작가가 특정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고유명사를 활용하는 것이다. 『끝없는 나무』에 나오는 고유명사는 전적으로 작가가 만들어내어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발음에 기반한 언어유희가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 작품에서는 고유명사가 작가의 고안물인 만큼 고유명사의 지위를 갖기 위해 첫 번째 알파벳을 대문자로 썼다. 이 고유명사는 단일어 형태와 합성어 형태 두 가지로 나눠진다. 합성어 형태의 고유명사는 붙임표를 활용하여 하나의 이름임을 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어에는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분이 없으므로,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고유명사의 표지로써 작은따옴표를 활용하였다. 또한 작은따옴표는 붙임표를 대신하여 합성어으로서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도 하고 있다. 단일어 형태의 고유명사는 음차를 통해 낯선 외국어 인명을 발음 그대로 옮겨와 작은따옴표 없이도 고유명사로서의 지위를 보존하였다. 반면, 합성어 형태의 고유명사는 작은따옴표가 감싸는 부분에 따라 고유명사로서의 지위를 보존하는 범위가 달라진다. 다시 말해, 합성어 형태 전체가 고유명사 지위를 보존하는 경우, 합성어의 일부가 고유명사 지위를 보존하는 경우로 나눠진다. 그리고 작은따옴표 없이 번역된 합성어 형태의 고유명사는 보통명사구로 전환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발음에 기반한 언어유희를 동반한 고유명사는 언어유희가 아니라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번역하는 방법을 택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번역 방법 분석을 통해, 번역은 출발텍스트의 복제가 아니며, 여러 번역 전략의 선택을 통한 협상의 결과물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per nouns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L’arbre sans fin, a French picture book by Claude Ponti. In a fictional world, the proper nouns assume not only their denotative function, but also convey meaning. In other words, the author uses onomastic terms as a means to transfer his intentions. In L’arbre sans fin, the proper nouns were invented by the author/illustrator Ponti; therefore, they have particular meaning, and some are phonetic puns. These creative proper nouns are begun with a capital letter to provide onomastic status. The onomastic neologism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single-word proper nouns and compounded versions using hyphens. Unlike French, Korean does not feature capital letters as a mark of proper nouns. The Korean translation here employs single quotation marks to retain the onomastic status, and quotation marks also substitute for hyphens to indicate that an expression in question is a compound word. A name as a whole or a portion of the name can be placed within single quotation marks in the translation. The element of the name that remains outside of the quotation marks becomes a common noun. Without the single quotation marks, a translated proper noun loses its onomastic status in the Korean translation and is converted into a common noun. As for the proper nouns featuring phonetic puns, the Korean translation conveys only their meaning without any recreation of the wordplay. The single-word proper nouns are phonetically transcribed without being set inside single quotation marks, but their phonetical foreignness leads the reader to recognize them as character names. These various translation techniques result in a discrepancy between the proper nouns in the source text and those in the target text. It indicates that the translation is not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text, but should be considered an outcome of negotiation.

      • KCI등재

        프랑스 그림책과 68혁명 : 독립출판사 Le Sourire qui mord와 첫 그림책 Histoire de Julie qui avait une ombre de garçon을 중심으로

        이성엽(LEE Sungyup)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1 프랑스문화연구 Vol.50 No.1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étudier les impacts qu’ont eu les événements de mai 1968 sur la fondation et la visée de la maison d’édition Le Sourire qui mord dans les années 1970, et d’examiner comment sa première publication, Histoire de Julie qui avait une ombre de garçon, échappe de stéréotypes liés aux livres d’images et peut être considérée comme un album pour tous les âges, c’est-à-dire un album « crossover ». La génération de mai 68 commence à chercher une culture alternative. Dans ce contexte, Le Sourire qui mord vise à redéfinir les albums comme des livres non seulement pour le lecteur enfant mais aussi pour le lecteur adulte, et à les publier en rupture des normes de ce genre livresque de l’époque. Sur le niveau paratextuel, Histoire de Julie qui avait une ombre de garçon est un album novateur : il est accompagné d’un bulletin de liaison, considéré comme un épitexte, qui explique les orientations et les principes de la maison d’édition. La couverture de l’album, qui fait partie des péritextes, ne présente qu’un titre et une illustration, ce qui innove par rapport aux couvertures habituelles qui ont le nom d’un éditeur et les nom et prénom d’un auteur en plus de ces deux éléments. Au niveau textuel, l’album met en question le rôle de genre qui prévaut à l’époque, ayant une petite fille comme héroïne. Celle-ci refuse de se soumettre aux stéréotypes de son genre pour se comporter comme elle veut. Le dénouement aussi est différent de celui des autres albums dont les héros ou héroïnes répondent aux attentes de leur entourage ou de la société. Le questionnement sur le rôle de genre prédominant et le non-conformisme de la fille concernent non seulement le lecteur enfant mais encore plus le lecteur adulte. Ainsi, le premier album de la maison d’édition Le Sourire qui mord rejette les stéréotypes éditoriaux liés au paratexte, et montre une histoire qui intrigue les lecteurs quel que soit leur âge et qui met en question le rôle de genre stéréotypé.

      • KCI등재

        기호간 놀이가 언어간 경계를 통과하는 전략: 안 에르보의 『쉿, 조용!』을 중심으로

        이성엽 ( Lee Sungyup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3

        그림책은 텍스트와 이미지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엮이어 구축된 도상텍스트이며, 아동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문학에 속하는 만큼 유희기능과 교육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 두 가지 기능을 가시적으로 융합시켜 보여주는 것이 바로 ‘말놀이’인데, 이미지와 텍스트 사이의 기호간 관계 위에 구축된 그림책의 경우에는 ‘기호간 놀이’가 이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벨기에 작가 안 에르보(Anne Herbauts)의 프랑스어 그림책 『쉿, 조용!(Silencio)』의 에필로그에 대한 영어본과 한국어본을 비교함으로써 기호간 놀이에 기반한 에필로그를 도착텍스트로 재생산해내는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 작품의 에필로그의 기호간 놀이가 어떤 글쓰기 전략을 통해 구축되었는지 밝히고, 기호간 놀이가 유희기능과 교육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호간 놀이에 바탕한 에필로그가 도착텍스트에서 어떻게 재구축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응어 혹은 등가어 표현으로의 대체보다는 기호간 놀이가 바탕한 글쓰기 전략과 의도에 의거해 도착텍스트가 재생산되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Le livre d’images est considere comme un iconotexte construit sur l’intrication du texte et de l’image. Comme faisant partie de la litterature de jeunesse, il assume deux fonctions essentielles : education et ludisme. Dans ce genre, c’est a travers les jeux de mots que se croisent les deux fonctions : enrichir les competences linguistiques du lecteur enfant et le divertir. Dans le livre d’images, les jeux de mots peuvent devenir intersemiotiques grace a l’interaction entre texte et illustration. Cette etude vise a montrer comment transferer les jeux intersemiotiques dans le texte d’arrivee, en analysant et comparant les versions anglaise et coreenne de l’album francais de Anne Herbaut, Silencio. D’abord, nous identifions la strategie d’ecriture sur laquelle se construisent les jeux intersemiotiques et definissons quelles fonctions ils assument dans le texte. Puis, nous examinons comment transferer dans le texte d’arrivee l'epilogue dont le fonctionnement depend entierement des jeux entre image et texte. Enfin, cette analyse montre que le transfert interlinguistique ne consiste pas a chercher une relation synonymique entre le texte de depart et celui d’arrivee, mais plutot a reproduire dans le texte cible la strategie d’ecriture et l’intention qui sont liees a ce ludisme verbo-visuel.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