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분석

        이명애(Lee, Myunga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가상자료를 사용한 반복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와 차별기능문항 분석에 많이 활용되는 멘텔-헨젤 방법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2수준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분석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분석 결과는 어떠하며 문항 수와 피험자 수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둘째, 차별기능문항 분석에 있어 비선형 다층모형과 멘텔-헨젤 방법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판정 기준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모든 조건에서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비차별기능문항의 계수의 절대값보다 현저히 큰 편이었다. 또한 문항 수와 피험자 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문항 수와 피험자 수가 많을수록 비차별기능문항과 차별기능문항의 차이가 뚜렷하고 결과가 안정적이었다. 둘째, 비선형 다층모형의 계수값과 멘텔-헨젤 방법의 값간 상관의 평균은 10문항에서는 -0.95~-0.96, 20문항에서는 -0.97로 높아 두 분석 결과가 유사하였다. 두 방법 간의 상관은 피험자 수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고 문항 수가 많을수록 높았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판정 기준을 탐색하기 위해 비선형 다층모형의 계수값, 계수값의 통계적 유의도를 나타내는 확률값을 멘텔-헨젤 방법에서의 값의 평균과 비교하여 차별기능문항으로 판정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계수값이 확률값에 비해 차별기능문항을 제대로 판정하는 비율이 더 높아 계수값의 상대적 크기에 근거하여 차별기능 문항을 판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객관적인 판정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way of applying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for identifying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To achieve the goal, 50 repeated analysis in four conditions were carried out using simulation dat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antel-Haenszel procedure. Thre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number of items and examinees make a difference in DIF identification of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Second, What's difference in DIF identification between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and Mantel-Haenszel procedure? Third, What's criterion for DIF identification of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value of coefficients of DIF items was much larger than those of non-DIF items. And a difference in DIF identification of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was a litt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items and examinees. Second, the correlations of the DIF identification values between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and Mantel-Haenszel procedure were over 0.95 in all conditions. So the results of two methods,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and Mantel-Haenszel, were similar in DIF identification. Third, to explore the criterion for DIF identification of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the coefficient value of each item was compared with p-value and value. The relative coefficient value of each item can be a criterion for DIF identification of hierarchical nonlinear model. But further studies must be carried out to find more objective and reliable criterion.

      • KCI등재

        3수준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활용한 재수생 특성 분석

        이명애(Myungae Lee),정혜경(Hyekyung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연계한 대규모 자료를 활용하여 재수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계 분석을 위하여 3수준 임의 절편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 학교, 시군구가 내재된 다층 구조를 통계 분석에 반영하였으며, 학생 성취도 점수, 학생 배경 변수, 학교 및 지역 특성 정보 중에서 어떠한 변수들이 재수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관련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 성적 또는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수록 재수와 정적 상관을, 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와 재수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 및 시군구별 재수 비율에 대한 분산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변수를 통제한 후 수능 학교 평균이 높을수록 재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6개 시도 구분 정보가 재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re-takers based on the CSAT data combined with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or analyses, three-level random intercep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employed in order to reflect the data structures in analyses such that students are nested within schools, and schools were nested within districts. Key findings include that CSAT scores or NAEA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SAT retaking, and female or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less likely to re-take the CSAT. Proportions of CSAT re-takers varied across schools and districts, and students attending schools with higher CSAT school means were more likely to re-take CSAT, and the dummy variables distinguishing 16 cities and provinces were statistically and substantively significant in prediction of students' CSAT retakin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 KCI등재

        평가 쟁점에 따른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방안 탐색

        이명애 ( Lee Myungae ),성경희 ( Sung Kyunghee ),양길석 ( Yang Kil-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교육평가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선결 과제들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평가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평가 측면에서의 쟁점을 도출하고, 이 쟁점을 중심으로 연구・선도학교 교사 및 시‧도교육청 담당자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평가 방안으로 필수 과목(군)과 선택 과목(군)에 따른 ‘two track 접근’ 체제를 제안하였다. ‘two track 접근’은 고교학점제가 교육 현장에 안정적,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현실과 이상 사이의 절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수정‧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구안된 평가 방안이다. 이 평가 방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향후 학점제형 새 교육과정을 마련할 때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의 의미 명확화가 요구되며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의 편성 기준 및 배정 비율 차이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수업별‧교사별 평가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교과협의회와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역할 강화 등을 통한 평가 결과의 타당성‧신뢰성 제고 노력과 지속적인 교사의 평가 전문성 확보 방안 마련을 통한 교사 평가 결과에 대한 사회적 신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tabl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drawing tasks to be predetermined and improved from the evaluation aspect and by offering specific suggestions for educational assessment. First, issue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the evaluation aspect were drawn from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about the purpose and int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by conducting the focus group surveys, the ‘two track approach’ is drawn as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two track approach’ is an evaluation method which allows diverse implementations for the compulsive or elective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ur key evaluation issue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two track approach’ is highly effective as making mediations and combin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s possible while taking the ideal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into consideration. To apply the ‘two track approach’ in school education, meaning of the compulsive and elective subjects has to be clarified in the new curriculum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lso a multi-faced study on organizational requirement and allocation ratios of the compulsive and elective subjects is need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eacher-specific evaluation in terms of class units,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 by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the curriculum council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management committee. Also, the efforts to secure social trust in teachers’ evaluation by enhancing teachers’ evaluation expertise is needed.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 및 대입제도 관련 교사 인식 조사

        이명애(Myungae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그 취지에 적합한 학생평가 방안과 대입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봄으로써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교학점제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연구학교와 선도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평가에서는 평가 결과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가 평가 방안 구안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성취평가제가 전면 도입되어야 하되, 추가 통계치 제공 등을 통해 성적 부풀리기 억제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대다수의 교사가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수능의 역할과 형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전 과목 절대평가하고 최소한의 학력을 인증하는 자격고사로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고교학점제와 연계된 대입 개편 방안에서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을 반영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대학에서 필요한 이수 과목 정보를 안내․공시되고 학생이 이수한 과목과 그 성적으로 전공역량을 평가하여 학생 선발애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수능보다는 학생부 중심의 학생 선발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student evaluation and college admiss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survey with teachers at research experimental schools was conducted.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 is the first consideration factor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ven though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is suitable for the high schiool credit system, the method to control score-influation must be prepared.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hange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s role and test system is needed. The transfer to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test in CSAT is preferred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Career and Aptitude of students’ is the first consideration factor to establis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lso, the information about subjects students have taken and the academic reports of the subjects can be used to evaluate major capability. Student selection method of college based on a school report on student’s grades and conduct is preferred

      • KCI등재

        학부제에서의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

        이명애(Lee Myunga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학부제에서 학생들의 전공선택 및 전공 결정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다. 이를 위해 입학 당시 학생들의 희망하는 전공(이하 희망전공) 결정여부와 진로성숙수준을 분석하고 대학에서 1년의 시간을 보낸 후 전공 신청을 하는 시점에서의 희망 전공 변경여부와 전공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 및 변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부제 하에서 학생들의 전공결정 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입학 당시에 희망 전공을 결정한 비율은 69.05%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사회계열 학생들이 타 계열 학생들보다 희망전공을 결정한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둘째, 1학년 말 전공 신청을 하려는 전공과 입학 당시 희망전공이 동일한 학생의 비율은 57. 64%로 동일비율은 이학계열이 가장 높았고 변경비율은 공학계열이 높았다. 또한 성적이 낮을수록 변경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전공선택시 고려하는 요인으로 남학생은 장기 외적 동기를, 여학생은 단기 외적 동기를 고려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또한 이학계열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공학계열에서는 단기 외적 동기를 고려하는 정도가 높았다. 전공결정과정에서의 계열, 성적과 진로성숙수준에 의한 차이가 두드러져, 진로성숙수준이 높은 이학과 사회계열 학생들이 공학과 인문계열 학생들보다 전공선택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전공을 탐색할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없었던 학생들이 대학에서 전공 탐색을 하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것은 장기간에 걸쳐 전공을 탐색할 수 있는 수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서 전공탐색 관련 수업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부제 도입의 기본 취지인 전공선택권 확대를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성적에 의해 전공이 결정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제도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deciding college majors for college freshmen in the division system.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ts specific objectives as follows; First, how many students had their intended majors when they entered the university? Second, what was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the students who had their intended majors?, Third, how many students have kept or changed their intended majors when they applied for their majors at the end of their first year in the university? Forth, what factors were considered in the students" major choice? Fifth, what factors were effective in keeping or changing their intended majors? Sixth, what programs were helpful for exploring college majors?<BR>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deciding college majors was that grade, divis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made a difference. The students of social science and science division whose career decision level was higher tend to be confident and to keep their intended majors. Major-related classes were most helpful for students to explore and decide their majors, so the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major- related classes is essential. Also, the effort to decrease grade impact on deciding college majors is needed to strengthen the students" self-determination.

      • KCI등재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다분 문항 분석

        이명애(Myungae Lee),강상진(Sang-Ji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비선형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다분 문항반응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이분문항 분석에 적용된 논리를 다분 문항 분석에 확대하여, 다분 문항반응이론 모형인 부분점수모형과 비선형 다분 모형과의 대수적 동등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대수적 동등성에 근거하여 다분 문항 분석을 위한 다층 문항반응모형을 제시하고 가상자료와 실제자료를 분석하여 제시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층모형과 문항반응이론 모형의 난이도 추정치는 일치하여 문항모수 추정에 있어 제시된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피검자 능력모수 추정치에서도 2단계로 구성된 가상자료의 다층모형과 문항반응이론 모형의 모수 추정치는 일치하였다. 다만 3단계로 구성된 실제자료에서는 능력추정치가 차이가 있었으나, .94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이분문항반응 자료 분석에 제한되어 온 비선형 다층모형으로 다분 문항반응 자료 분석도 가능함을 보이므로 검사문항 분석모형으로서 비선형 다층모형의 활용 영역을 넓혔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ways of applying hierarchical nonlinear models for the analysis of polytomous response data. It applied the same logic for the binary response data analysis to the analysis of polytomous response data and showed the hierarchical polytomous-coded item response model was algebraically equivalent to the partial credit model. Based on the algebraic equivalence, it could estimate item and person parameters in the hierarchical polytomous-coded item response mode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hypothetical and real data sets by the HLM, ConQuest, MULTILOG illustrated that item parameter estimates were the same. The person parameter estimates of the HLM and those of the ConQuest and MULTILOG were the sam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wo- step hypothetical polytomous response data.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hree-step real polytomous response data, the three estimates were a little different, but still have high correlation over .94.

      • KCI등재

        비선형 다층 다분 문항반응모형의 모수 추정 양호도 분석

        이명애(Myungae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문항이 피검자에 내재되는 다층구조를 반영하는 문항 반응모형인 비선형 다층모형에서 다분 문항 분석을 위한 2수준 다분 모형이 새로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자료를 활용하여 문항 수와 피검자 수를 달리한 반복 연구를 통해 2수준 다분 모형에서 모수 추정의 양호도를 분석해 보므로 그 활용가능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문항 수와 피검자수를 중심으로 모수 추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양호도 조건을 탐색하였다. 문항 수는 10문항, 20문항의 2조건을 사용하였으며, 피검자 수는 250명, 500명, 1000명의 3조건을 사용하여 전체 여섯 가지 조건에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검사 문항난이도 모수와 피검자 능력 모수 추정의 양호도는 가상자료의 반복연구 결과 얻은 모수와 모수 추정치간의 상관의 평균과 상관의 표준편차, 그리고 모수 추정치의 오차제곱평균제곱근(RMSE)의 평균에 근거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문항 수와 피검자 수를 달리한 반복연구에서 문항난이도 모수와 피검자 능력모수 추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 20회의 반복추정 결과의 평균으로 제시된 난이도 모수와 모수 추정치간의 상관은 모든 조건에서 .95를 상회하고, 상관의 표준편차도 .02보다 작았다. 피검자 능력모수 추정에서도 10문항에서는 모수와 추정치간의 상관이 .85, 20문항에서는 .91을 상회하고 상관의 표준편차도 .01보다 작아 능력모수 추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항 수와 피검자 수를 중심으로 다분 문항에서 모수 추정의 양호도를 분석해 보면, 첫째, 문항 난이도 모수는 피검자 수에 영향을 받으며, 피검자 수가 많을수록 추정이 더 정확하였다. 특히 피검자 수가 250명에서 500명으로 증가할 때가 난이도 추정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정도가 두드러졌다. 둘째, 피검자 능력모수는 문항 수가 많아질수록 모수 추정이 정확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검자 수의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is intended to demonstrate parameter recovery for the two-level hierarchical nonlinear polytomous model developed to analyze polytomous items using simulation study. Second,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he number of items and examinees to increase the technical quality of parameter estimation for the suggested model.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are the number of items (k=10 and k=20) and sample size (n=250, n=500, and n=1000). These two variables produce 2 X 3= 6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stimated and true item- and person-parameter values across replication is computed. Also,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rrelations and root mean squared error(RMSE) between estimated and true parameter values across replications are computed. The mean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rue and estimated item difficulties are consistently high, over .95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correlations are smal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tem parameter values are able to be reproduced very well across all conditions. Also, the mean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rue and estimated person parameter are consistent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correlations are very small in all conditions.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role of the number of items and examinee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between true and estimated item parameters are observed when there are more examinees. Especi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are higher when the number of examinees is increased from 250 to 500. Second, th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between true and estimated person parameters are observed when there are more items. When k=10,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vaules are around .81, and k=20, the values are around .91.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examinees does not seem to affect the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