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설과 헤겔

        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철학회 2011 哲學 Vol.0 No.107

        후설과 헤겔을 서로 비교하는 연구는 종종 있지만, 그 둘의 철학을 같은 ‘현상학’이라는 이름아래 전격적으로 종합하려는 시도는 흔치않다. 후설의 현상학은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것을 포착, 묘사하려는 시도인 반면, 헤겔의 현상학은 오직 변증법을 통한 사변적 관념철학이라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생산적인 방식으로 후설과 헤겔의 현상학을 종합해보고자 한다. 우선 ‘노에마’, ‘생활세계’ 등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것을 포착하려는 후설의 개념설정들을 ‘지역’이라는 개념으로 일괄적으로 종합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후설은 자신의 현상학을 가장 근원적인 제1의 학문으로 생각했는바, 이제 가장 근원적인 제1의 학문이라 다름 아닌 ‘지역학’인 것이다. 우리는 이런 ‘지역학’을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이라 부르기로 한다. 이렇듯 초월론적-현상학적 환원을 통해 주어지는 ‘지역’의 현상은 단순한 ‘사물’, ‘생명’ 그리고 ‘문화’라는 여러 층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사물’, ‘생명’, ‘문화’ 등 ‘지역’의 여러 층들이 구성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그것은 다름 아닌 역동적인 변증법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이렇게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의 구도에서 후설과 헤겔의 현상학이 종합되면서, 헤겔 현상학의 사변적인 측면들이 종식되고 ‘직접적인’ 현상학적 측면들이 부각된다. 더군다나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으로 이해된 후설과 헤겔의 현상학 둘 모두는 더 이상 초월론(관념론)이냐 존재론(실재론)이냐 하는 논쟁에 휘말릴 필요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현상학적으로 ‘지역’이란 우리가 구성하는 초월론적인 것인 동시에, 우리가 대면해야 하는 존재론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There are studies comparing Husserl and Hegel indeed. However, there are few attempts to radically combine their philosophies under the same name ‘phenomenology.’ Husserl’s phenomenology strives to get to and describe the ‘immediately given,’ whereas Hegel’s phenomenology is known as speculative idealism in terms of dialectics only. In this paper, however, we are going to combine Husserl’s and Hegel’s phenomenology in the following productive way. First of all, we understand Husserl’s concepts like ‘noema’ and ‘life-world,’ designed to get to the ‘immediately given,’ consistently as ‘region.’ Then, as Husserl thought of his phenomenology as the most fundamental first science, so is ‘regional studies’ nothing less than the most fundamental first science. We call such ‘regional studies’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he phenomenon ‘region’ revealed through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duction has a number of layers such as simple ‘things,’ ‘life,’ and ‘culture.’ If we look closely at how the layers of ‘region’ like ‘thing,’ ‘life,’ ‘culture’ are constituted, we can see that they are constituted through the dynamics of dialectics. Thus, Husserl’s and Hegel’s phenomenology are comb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and thereby the speculative aspects in Hegel’s phenomenology are suppressed, the ‘immediate’ phenomenological aspects are emphasized. Moreover, neither of Husserl’s and Hegel’s phenomenology understood as ‘regional studies’ needs to be involved in the controversy over transcendentalism(idealsim) or ontology(realism). For, phenomenologically speaking, ‘region’ is not only what we constitute transcendentally, but also what we have to encounter ontologically.

      • KCI등재

        Cassirer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ies

        Kyeong-Seop Choi(최경섭)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1 No.-

        마이클 프리드만은 그의 저서 A Parting of the Ways (2000)에서 카시러는 영미분석철학과 유럽대륙철학 사이에서 훌륭한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카시러의 철학은 인간성이 가진 다양한 차원에 각각 나름의 구성적 ‘논리’가 존재하며, 그런 모든 차원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룬다는 사실을 크게 강조한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카시러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철학사적 맥락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카시러의 철학이 후설-헤겔-하이데거로 이어지는 ‘현상학적인’ 계보에 놓여있다는 사실이다. 헤겔, 후설, 하이데거 간에 ‘현상학적’ 철학함이라는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생생하게 주어진 것’으로부터 ‘논리’를 추출해내려는 시도에서 헤겔의 변증법적인, 후설의 초월론적인, 하이데거의 실존론적인 현상학은 각자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한계점들이 카시러의 ‘관계/기능적’ (논리적) 현상학에서 극복될 수 있음을 논증할 것이다. 카시러의 현상학적 철학은 차후에 상징형태의 철학으로 발전한다. 결국 현상학적 철학하기의 맥락에서 ‘논리’란 순전히 ‘생생하게 주어진 것’에서 추출될 수는 없고, 오히려 그렇게 주어진 것을 규정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라는 사실이 명백해진다. ‘논리’(관계/기능)와 ‘현상’은 항상 상존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조에서 ‘현상’은 파격적으로 넓은 의미에서 이해될 수 있다. In his book A Parting of the Ways (2000), Michael Friedman argues that Cassirer stands as a prospective mediator between the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the Continental European philosophy. Cassirer’s philosophy emphasizes the ‘logic’ of every dimension of humanity and the ultimate, holistic interconnectedness of all such dimensions. In this paper, I propose a rather new intellectual landscape: Cassirer belongs to the phenomenological genealogy of Hegel, Husserl, and Heidegger. Despite their shared commonality in phenomenological philosophizing, Hegel’s dialectical, Husserl’s transcendental, and Heidegger’s existential phenomenology have shortcomings in deriving ‘logic’ from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on.’ Now, I show that their shortcomings are overcome in Cassirer’s ‘relational-functional’ (logical) phenomenology that later develops into philosophy of symbolic forms. After all, ‘logic’ is not to be derived from the purely,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on. Rather, ‘logic’ is indispensable for a determination of such a ‘phenomenon’ at all. ‘Logic’ (i.e., relation and function) and ‘phenomenon’ go hand in hand. In this line of thought, ‘phenomenon’ is received in a radically broadest sense.

      • KCI등재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3

        후설 평생에 걸친 현상학적 탐구의 동기로서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진 것, 소여(所與)된 것을 발굴하여 학(學)으로 구축함으로써 기타 모든 학문의 근간으로서 기능하는 제1철학을 수립하자는 것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후설 현상학의 발전상의 세 단계인 초기 존재론적 현상학, 중기 초월론적 현상학, 후기 생활세계현상학을 이끌고 있는 동기도 분명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진, 소여된 것을 발굴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현상학적 여정의 마지막 단계인 ‘생활세계’라는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진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와 씨름하게 된다. 후설이 자신의 저작과 유고에서 파편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생활세계’라는 개념을 우리는 ‘지역’으로 파악, 재해석하여 초기 존재론적 현상학의 존재론적인 측면과 중기 초월론적 현상학의 초월(선험)적인 측면을 모두 흡수하는 독특하면서도 근원적인 ‘지역’연구의 방법으로서 후설의 생활세계현상학을 이해하고자 한다. The primal motive in Husserl's life-time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s would be to divulge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a and thereby to establish the ‘first science’ that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ll other sciences. Therefore, we can also think that the driving motive in each of the all-too-familiar three divisions of Husserl's phenomenological development, that is, ontological(eidetic), transcendental, and life-world phenomenology would also be to divulge and grasp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a. Now we have to struggle with the concept of ‘life-world’ that comes out as the immediately pre-given in the last stage of Husserl's phenomenological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attempt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life-world’ in the fragments of Husserl's later works and manuscripts as (cultural) ‘regions’ that absorb the ontological elements in Husserl's early ontological phenomenology as well as the transcendental elements in his middle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en, Husserl's life-world phenomenology turns out to be a peculiar kind of regional studies, that is,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 KCI우수등재

        E. 카시러의 비판적 상징철학과 독일의 나치즘

        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5

        마치 현상학과는 무관하게 혹은 현상학의 반대진영인 마부르그 신칸트철학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온 카시러의 철학은 사실 후설의 『논리연구』가 열어놓은 ‘주어진 현 사태 자체로!(Zu den Sachen selbst’라는 현상학적 방법의 지평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현상학자로 포착된 카시러는 후설, 하이데거와는 다른 현상학을 전개하여 순수의식의 직관이나 현존재의 실존 등등 ‘반쪽의’ 현상학이 아닌 우리에게 주어진 모든 가능한 현상을 총체적 상징체계로 아우르는 문화의 현상학을 수립한다. 물론 카시러의 문화의 현상학은 후설, 하이데거와 마찬가지로, 혹은 그들보다 더 철저하게 과학을 비롯한 모든 독단론을 그 근간에서부터 되짚어보는 작업을 수행한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카시러철학은 현상학인 동시에 선험, 초월철학이고 또한 비판철학인 것이다. 본 논고의 제2절에서는 문화의 비판철학으로서 카시러철학을 적용하여 ‘파시즘’이라는 현상을 ‘경제’, ‘신화’, ‘언어’, ‘기술’, ‘과학’ 등 여러 상징체계들의 관계망 속에서 문화병리현상으로 진단하고 그에 대한 상징 철학적 처방을 내려보고자 하며, 상징 철학적 문화현상학은 문화병리현상에 대한 처방으로 결국 민주자유주의를 암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결론짓고자 한다. This paper ignites its arguments from the now widespread neglect, or at worst mis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of Ernst Cassirer. Regardless of the pejorative misconceptions on Cassirer's philosophy, whether seen as a stubborn remnant of antiquated neo-Kantianism or a colossal jumble of fields of knowledge, we can in fact set up one thoroughgoing axis of interpretation for Cassirer's entire philosophical enterprise: phenomenology. The idea of phenomenology as it was inaugurated for the first time in Husserl's Logische Untersuchungen, i.e. phenomenology as the first and immediate Gegenstandstheorie, is taken up by Cassirer in his step-by-step analysis of mathematics and science, history, and reality as a whole. Contrary to Husserl's dogmatic assertion of the existence of intuitively pre-given essences, Cassirer's phenomenological analysis discovers a variety of purely relational and functional principles dynamically networking all parts of the phenomenon (language, myth, science, etc.) into reality as a whole. Reality, as Cassirer's phenomenology has discovered it, is nothing but the entirety of symbolic systems functional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Reality turns out to be the product of the transcendental activity of humanity.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we apply Cassirer's phenomenology of culture (reality) to a philosophical diagnosis of historical Nazism in Germany. This is not supposed to be a critique in the historical, sociological, political or personal (such as on Hitler) realm, but rather a transcendental-critic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Nazism. Nazism, according to Cassirer's diagnosis, turns out to be a state of symbolic malfunction in which the symbolic form "Myth," empowered by "Technology," encroaches upon all other symbolic forms, such as "Language," "Science," "Economics," etc. An antidote for Nazism would be democratic liberalism, in which all symbolic forms recover their own appropriate functions and literally prosper in a joint togetherness with other symbolic forms without dominating them. Cassirer's phenomenology of culture not only serves as a powerful diagnosis and prognosis of human culture in general, but also implies the primacy of the politics of democratic liberalism for humanity.

      • 선험현상학적 ‘지역학’의 이념과 과제

        최경섭(Choi, Kyeong-Seop)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9 No.-

        E. 후설의 현상학은 철저한 주체성의 철학으로 여겨져 현대의 많은 철학자들은 여러모로 후설의 현상학을 비판하며 자신의 철학적 영감을 얻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후설의 현상학을 조금 더 면밀히 살펴보면 ‘주체성’이란 현상학의 전개과정 중 한 단계-그러나 매우 중요한 단계-에 해당할 뿐, 그 자체로서 현상학의 핵심주제나 동기가 되지는 못한다. 현상학적 탐구의 중추가 되는 동기는 다름 아닌 아무런 전제나 편견을 두지 않고 ‘주어진 사태 자체로( Zuden Sachen selbst!)’ 다가가 그 현상을 포착하려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렇듯‘주어진 사태 자체로’ 다가가 그 현상을 포착하려는 현상학의 여정(旅程)은 초기 존재론적 현상학에서 시작하여 중기 선험적 주체성의 현상학을 거쳐 후기 생활 세계의 현상학에 이르며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진 ‘사태’로서 후설은 생활세계를 발굴한다. 여기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 우리는 후설이 말하는 생활세계를 ‘지역’으로 해석하고 후설 후기의 생활세계현상학을 ‘선험적 지역현상학’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후설의 현상학적 발전상(上) 가장 완숙한 형태로서 등장하는 ‘선험적 지역현상학’은 분명 일종의 지역학이면서도 철학적/현상학적으로 견고해진 지역학의 연구방법으로서 모든 보편적, 절대적 학문과 예술의 선험적 근간으로서 ‘지역’을 발굴하고 들추어내는 제1의 근본철학 혹은 가장 근원적인 학문비판론인 것이다. 이제 ‘선험적 지역현상학’은 후설의 현상학이 철저한 주체성의 철학이라는 오명을 깨뜨리며 실제 수많은 지역 혹은 지역문화들을 조우(遭遇)하면서도 선험적 (상호)주체성으로 구성되는 그 선험적 근간을 파헤치는 존재론적인 동시에 선험(초월)적인 연구방법임이 드러난다. 본 논고에서 우리는 보편/절대적인 학문이라 여겨지는 ‘기하학’을 예로 들어 ‘선험적 지역현상학’을 적용하여 ‘기하학’이 지금의 보편/절대적인 학문으로서 가능하게 된 여러 선험적인 지역근간들을 밝히는 작업을 짧게나마 감행해보고자 하며, 끝으로 ‘선험적 지역현상학’과경험과학으로서 기타 여러 유형의 지역학들을 간단하게나마 비교, 대조해보고자 한다. E. Husserl's phenomenology has been regarded exclusively as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and therefore lots of modern philosophers obtained their philosophical clues and inspiration criticizing Husserl's phenomenology in a way or another. However, looking into the rubric of Husserl's phenomenology closely, we discover that 'subjectivity' takes up only a stage - an important stage, though - in the development of Husserl's phenomenology and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central theme or motive of phenomenology itself. The central motive in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s lies in returning 'to the things themselves( Zu den Sachen selbst!)' without any presuppositions and prejudice and grasping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a. On the way of phenomenology to return 'to the things themselves' and grasp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a, we start from the early ontological phenomenology, pass through the middle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finally arrive at the later life-world phenomenology. At this point, Husserl discovers the life-world as the most immediately pre-given. Advancing a step further, we are going to interpret Husserl's life-world as 'region' and develop the life-world phenomenology in the later Husserl into a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hat emerges as the most full-fledged form of phenomenology in Husserl's development is surely a kind of regional studies, but it is a methodology of regional studies that is thoroughly criticized and consolidated philosophically and phenomenologically. It is surely the first philosophy or the most fundamental critique of science that divulges 'regions' as the transcendental foundations of all the universal, absolute arts and sciences. Now,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destroys the stigma that Husserl's phenomenology is only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and turns out to be an ontological/transcendental methodology of regional studies that not only tries to encounter countless 'regions' and 'regional cultures' but also divulge their transcendental foundations constituted by the transcendental co-subjects. Then, in the present paper, we will take 'geometry' for example and apply our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o 'geometry' in order to divulge the various transcendental 'regional' foundations that have made 'geometry' possible as a universal/ absolute science. Finally, we will briefly compare and contrast our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with other types of regional studies as empirical sciences.

      • KCI등재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4

        후기 후설의 생활세계현상학을 일종의 독특하고도 근원적인 ‘지역학’으로 이해하여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으로 풀어낸 후, 우리는 이러한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이 의미하는 ‘지역’이 모든 학문과 예술의 근간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역’이야말로 어떠한 학문과 예술이든 그것을 도대체 가능하게 해주는 초월론적(선험적) 의미체(意味體)를 담고 있는 그릇으로서, 모든 학문과 예술은 그들이 뿌리내리고 있는 ‘지역’으로 말미암아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문학은 당대 ‘러시아의 도심’이라는 ‘지역’이 있어 가능하고 주희의 신유학사상은 당대 ‘송[宋]의 도덕코드와 제도’라는 ‘지역’이 있어 가능한 것이다. 논리학, 기하학 등 ‘지역’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듯한 이념적인 학문들도 사실은 모든 개별적인 ‘지역’들 안에서 우리가 향상, 본질적으로 조우(遭遇)하는 주변세계적인 ‘순전한 불체들’ 이라는 ‘보편지역’이 있어 가능한 것이다. 본 논고에서 우리는 ‘기하학’을 예로 들어 ‘고대이집트’, ‘고대그리스’, ‘근세유럽’ 등 여러 ‘지역’들을 거쳐 오며 이념학(學)으로서 오늘날의 기하학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었는지 그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적인 계보를 추적해보고자 하며, 또한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이 전통적인 철학의 근본문제 들에 어떠한 해결책을 줄 수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Now that we have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as a peculiar kind of 'regional studies' in a fundamental sense, that is,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we can recognize that the 'region' implied in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serves as the basis of all the arts and sciences. In other words, the 'region' functions as the riverbed in which the transcendental 'senses' are embedded that make any given arts and sciences possible at all. In tum, all the arts and sciences are made possible due to the region on which they have footing. For example, Dostoevsky's literature is only possible due to the 'region' of its contemporary 'Russian cities' and Chu-Hsi's neo-Confucianism due to the 'region' of its contemporary 'moral codes and institutions' in the Song Dynasty. The ideal sciences such as logic and geometry that seem to exist apart from 'regions' are, in fact, possible from the 'universal region' of 'mere things(bloβe Dinge)' that we necessarily experience as we encounter the individual, discrete 'regions.' Taking geometry for an example, in this paper we will trace the transcendental regional genealogy of how today's geometry as an ideal science became possible coming down to us through the 'regions' of 'ancient Egypt,' 'ancient Greece,' 'modem Europe,' etc. and try to look briefly how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can give answers and solutions for the basic problems of traditional philosophy.

      • KCI우수등재

        우리가 사는 ‘지역’의 현상학적 실체

        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6

        현대의 사회과학에서 질적 연구는 양적(계량적) 연구에 비해 그 영역과 방법이 상당히 모호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변수나 가설을 구축하기 위한 전(前)계량적 준비의 단계로 간주되기도 한다. 하지만 ‘현상학적인’ 질적 연구에 대해 말하자면, 후설과 하이데거가 열어놓은, 계량화 할 수 없는 ‘생생한 체험’의 영역을 탐구한다는 고유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학생 두 명을 심층 인터뷰해서, 그들이 사는 ‘지역’인 ‘한국’을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해보았다. ‘생생한 체험’의 논리로서 하이데거의 ‘시간성’을 적용해서, 그들 각각의 시간성의 지평에서 어떤 미래투사와 어떤 과거회수 사이에 어떤 의미로서 ‘한국’을 현전화하고 있는지 해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을 ‘조국의 근대화를 위한 모델’과, ‘자유로운 삶에 눈뜨게 해주는 곳’으로 체험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한국’의 이런 다채로운 의미모습은 계량적인 방법으로는 결코 발굴될 수 없는 것이다. Qualitative research in modern social sciences has been regarded as ‘fuzzy’ in its method and scope. It is often regarded as a preparatory step to brood variables and hypotheses for quantitative, econometric research. However, to speak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 ontology of ‘lived experience’ that Husserl and Heidegger carved out, that cannot be quantified, would be the research scope for it. We undertook in-depth interviews with two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Korea and perform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into the life-world, i.e. the ‘region’ they are living in. In line with the model of Heidegger’s existential ‘temporality,’ we tried to interpret how each of them makes-present one’s ‘Korea’ out of the dynamics of one’s future expectation and having-been. As a result, we discovered that they were experiencing ‘Korea’ as ‘a model for modernization of one’s own country’ and ‘a place opening up eyes for free individualist life.’ After all, it is evident that quantitative-econometric research can never reach at such profound multiple pictures of ‘Korea.’

      • KCI우수등재

        Happy Regions, Unhappy Regions

        Kyeong-Seop Choi(최경섭)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5

        지역학에서 회자되는 ‘지역’의 개념은 상당히 모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후설의 생활세계의 개념을 ‘지역’이라 간주하고 ‘지역’의 개념을 현상학적으로 그려내면서 그것의 구조를 ‘지평’과 ‘시간성’으로 파악해낸다. 둘째, 긍정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이의 이론을 끌어들여, 그러한 지역의 구조는 플로우(행복)의 초월론적 조건이라고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논의를 통해 ‘지역’과 ‘행복’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음을 밝히면서, ‘행복한 지역’의 개념을 수립한다. 더군다나 이런 ‘행복지역학’은 어떤 지역이라도 ‘행복한 지역’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실제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이것은 기존의 도시계획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The concept of ‘region’ in regional studies is quite ambiguous. Therefore, first, receiving Husserl’s concept of life-world as region, we give it a phenomenological adumbration, as well as a definite structure: horizon and temporality. Second, drawing on Csikszentmihalyi’s positive psychology, we interpret such structure of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foundation of flowexperiences (i.e., happiness). In this way, we corroborate that region cannot dispense with happiness and vice versa, and we thereby formulate the notion of a ‘happy’ region. Our ‘happy’ regional studies suggests the guidelines for a practical phenomenological design of any region, which is a blind spot in the tradition of urban planning.

      • KCI우수등재

        행복과 환원

        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20

        행복의 외적 조건이 모두 갖추어진 ‘현대인’은 왜 여전히 불행한 것일까? 그 이유는 ‘행복’이란 우리의 의식 안에서 벌어지는 일종의 상태인데, 우리는 행복의 원천을 다른 곳에서 찾아왔기 때문이다. ‘행복’과 ‘삶의 질’을 의식의 차원에서 연구하는 긍정심리학의 대표적인 학자인 칙센트미하이(M. Csikszentmihalyi)는 ‘현상학’으로부터 많은 연구성과를 빌려왔다고 고백하면서, 전 세계로부터 가져온 방대한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행복한’ 사람들의 의식의 상태를 파악하여 일반화하려고 노력한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한’ 사람의 의식은 항상 적당한 ‘도전거리’(challenge)에 응전하여 ‘몰입활동’의 상태에 있는데, 이때 ‘도전거리’는 명확한 목적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있기 마련이어서 우리의 의식이 그렇게 ‘재미있게’ 몰입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때라도 이렇게 쉽게 몰입할 수 있는?행복할 수 있는?사람은 오로지 자신의 의식 속에서 어떤 태도를 취하기 때문이고, 이런 태도가 굳어지면 ‘행복한’ 성격으로도 변하는데, 이것이 바로 ‘자기목적적’ 성격, 태도라 부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칙센트미하이의 행복의 심리학에서 더 깊은 차원으로 들어가, 그가 많은 연구성과를 빌려왔다고 말하는 ‘현상학’에서의 ‘초월론적 의식’의 차원에서 이러한 ‘행복한’ 몰입활동의 온전한 정체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결국 ‘행복한’ 의식의 상태란 우리가 현상학적 환원을 통해서 ‘초월론적 의식’ 그 자체가 되는 것에 다름 아님이 밝혀지면서, ‘학문론’(Wissenschaftslehre)으로만 여겨졌던 후설의 현상학을 이제는 현대인을 위한 ‘행복론’으로 재설정하고 발전시킬 가능성을 보게 되는 것이다. Why are ‘modern men’ unhappy, as they have fulfilled all the seeming requirements for happiness? As people are gett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today, a group of scholars developed ‘positive psychology.’ A representative positive psychologist M. Csikszentmihalyi concedes that he borrowed much from ‘phenomenology.’ He tries to generalize the characteristics of ‘happy’ people’s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vast empirical, clinical data from all over the world. According to him, ‘happy’ people’s consciousness is always in the state of ‘flow,’ i.e., being immersed in an appropriate ‘challenge’ given to him. ‘Challenge’ here has clear goals, and gives immediate feedback, and our consciousness can get immersed so ‘easily,’ ‘smoothly’ in its activity for these reasons. In this study, we will delve more deeply into Csikszentmihalyi’s psychology of happiness, and thereby grasp the true shape of ‘happy immersion’ from the primordial level of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in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fter all, the ‘happy’ state of consciousness is none other than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on its own, gained by our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attitude through reduction. Now, Husserl’s phenomenology that has been regarded only as theory of science (Wissenschaftslehre) is reoriented, and developed, into ‘doctrine of happiness’ for modern men.

      • KCI등재

        국가별 제도적 차이에 따른 배당스무딩 결정 요인

        김현석(Hyunseok Kim),최경섭(Kyeong-seop Choi)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전세계 26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배당스무딩의 횡단면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특성 변수들과 배당스무딩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정보비대칭 이론보다는 대리인이론이 배당스무딩행태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업규모가 작고, 기업연령이 짧으며, 이익의 변동가능성이 클수록 배당스무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비대칭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이 배당스무딩을 많이 할 것이라는 정보비대칭 이론의 예상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MB 비율이 낮을수록 그리고 레버리지 비율이 낮을수록 배당스무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이 대리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당스무딩을 증가시킨다는 대리인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재무적 여유변수는 배당스무딩에 유의한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리인 이론의 예상과는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둘째, 국가 단위의 결정요인들, 즉 투자자보호제도, 금융시스템, 법체계, 문화, 종교 등과 배당스무딩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투자자보호제도가 취약할수록 배당스무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투자자보호제도가 취약한 국가에 속한 기업일수록 기업 내부자가 소액주주에게 좋은 평판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배당스무딩을 증가시킨다는 대체모형 가설(La Porta et al., 2000)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시장중심적 금융시스템을 가진 국가, 관습법 체계를 가진 국가, 개인주의적이고 남성적이며 불확실성 회피정도가 크지만 너그럽게 봐주는 문화적 특성을 가진 국가, 그리고 개신교 국가에서 기업의 배당스무딩 현상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단위의 결정요인들과 배당스무딩간 관련성을 모두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앵글로-색슨) 영미권 국가에 속한 기업들이 배당스무딩을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different n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firms’ dividend smoothing around the world. Firstly, consistent with prior literature, known firm-level determinants of dividend smoothing support the agency-cost explanation of it, rather than the information-asymmetry one. Secondly, country-level determinants, i.e. investor protection, financial systems, legal regimes, culture, religion, are put in regressions. Firms in countries with stronger investor protection smooth dividends less, which supports the ‘substitute model’ (La Porta et al., 2000). Firms smooth dividends more in market-based countries, in common-law countries, in more individualistic, masculine, uncertainty-avoiding, indulgent countries, and in Protestant countries. Finally, therefore, collecting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dividend smoothing, we come to adumbrate the Englishspeaking Anglo-Saxon world where firms smooth dividends the m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