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Early to Late Paleolithic Transition in Korea: A Closer Look

        Bae, Christopher J,Bae, Kidong,Kim, Jong Ch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Radiocarbon Vol.55 No.3

        <P>In Korean Paleolithic archaeology, it is traditionally thought that the Late Paleolithic stone tool industries were in some way derived from the Shuidonggou site in northern China. The latter site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the type site of the eastern Asian Late Paleolithic blade technology.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 that a number of Korean Late Paleolithic sites probably predate Shuidonggou, some by several thousands of years. Here, we present a series of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AMS) dates recently analyzed by the AMS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discuss further the possibility that the introduction of blade (and later microblade) technologies into Korea may have originated directly from Mongolia, Siberia, and possibly other areas of northeast China, rather than from Shuidonggou.</P>

      • KCI등재
      • KCI등재

        한탄-임진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초기 연대에 대한 논쟁의 실상 -한탄강 현무암 내 포획된 탄화목의 연대측정치 읽기의 문제점-

        배기동(Kidong BAE),김기룡(Kiryong KIM) 한국구석기학회 201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8

        한탄-임진강 유역의 현무암 하부의 목탄에서 얻어진 5만 년에서 2만 3천 년 전내외의 연대는 현무암의 하한(오래된) 연대를 지시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호주의 신생대 3기의 수천만 년 전의 현무암에 포획된 목탄이나 나무 화석의 탄소동위원소 측정치 역시 이와 유사한 범위의 연대 폭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용암에 의해 포획된 경우의 연대측정방법 간의 측정치의 괴리문제는 흔히 탄소연대측정방법의 한계에서 유래되는 것이라고 보인다. 측정치에 변화를 주는 요인 중에서도 오래된 탄소 내에서 주변의 다양한 환경, 특히 방사성물질의 영향이 있을때 비교적 현대에 가까운 늦은 시기의 탄소동위원소가 새롭게 누적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포타시움 아르곤 측정법의 오차가 클 수도 있지만 한탄-임진강 현무암의 경우에 샘플환경의 문제점에서 탄소동위원소 연대측 정법으로 얻어진 절대연대치의 신뢰도가 극히 낮을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절대연대측정법에 의해서 얻어진 연대를 고고학적인 상황과 샘플의 과정 그리고 연대측정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 등의 정황을 충분히 고려한 ‘고고학적인 연대읽기’ 의 중요성을 다시 보여주는 사례이다. Carbon isotope age dates, roughly ranged from 50,000 BP to 25,000 BP, obtained from charred wooden pieces burnt and trapped by basalt in the Hantan-Imjin river basi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lower limit of basalt age or stone industries found in the basin. As shown by examples found at geological sites in Australia,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can build up much younger 14C in sampled charcoal, especially by radioactivity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se cases of conflicting ages from same geological layer show scientific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reading of age dates’ obtained by chronometric dating methods in order to approach correct age of formation.

      • KCI등재

        구석기유적의 쐐기형 땅문양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배기동(Bae Kidong) 중부고고학회 2004 고고학 Vol.3 No.2

        First recognition of wedge shaped pattern on the profiles of deposits at the Chongokni site in 1986 in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limatic condition for formation and ages of those wedges have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topic in Paleolithic archaeology in Korea. Upon observation of the stratigraphic profiles or the Byungsanni in Yangpyoung near Seoul, Lee suggested that the the upper most wedge line could have been formed during the last climatic depression, around 15,000 BP and the second one from the surface probably formed in 65,000 BP in assumption that the two wedge lines were formed under periglacial conditions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He was trying to believe that the two lines of wedges in Paleolithic sites were reflecting two big depressions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This explanation has been accepted by many Paleolithic archaeologists and the two lines of wedges are being used as evidence for understanding age of particular industries. However, in recent excavations more than two lines of wedges have been observed, such as Chongokni site and Sasuri site in eastern coast, which are not explained by the previous explanation suggested by Lee. There has been some doubt that the wedge lines were formed under periglacial conditions unlikely ice wedge, soil wedge and sand wedge etc found in high latitude. They are different in their structure and vertical morphology, although they usually show small polygonal structure on ground. Few have some secondary sedimentation filled in internal pan of wedge, but no significant changes in partical size and homogenious structure in and out of wedge indicate that they are genetically different from wedges by freezing. It is often hardly thought that wedge shapes were remaining marks of ancient ice. Recent actualistic observation of formation of polygonal structures on ground in a tennis court in cnetral part of Korea indicate that some thin dessication crack under coldness eventually developed similar structure by snow melting water. From ground, melting water of covered snow was drained through thin cracks, and gley soil near the crack and made soil pale color. This observation is believed to provide some clue to understand formation process of wedge line. Wedge lines have been observed even in southern part of Korea. Considering permafrost lines during the glacial maximum stayed near the Amur basin, wedges found in Paleolithic sites in South Korea might not represent climatic depressions in the last glacial. There are some argument that it might have been very cold because most of the Yellow Sea was expos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indicate periglacial environment that prevailed in northern part of Europe during the Glaical Maximum. Even though they were formed under cold climate, it is not clear how cold it was. Was it periclacial climate or was it cold like last winter in Korea? We need some experimental study of formation of wedges on ground and also some actualistic approach similar phenomena at present alogn with comparative study of structure and morphology or wedges for reasonable explanation. 한국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의 편년은 소위 “토양쐐기”로서 층위의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은 타당성이 아직도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반복적으로 구석기공작의 편년이나 한반도 4기지질학적인 편년의 기본 증거로 인식되어 사용됨으로써 결국 편년체계의 큰 허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의 구석기유적에서 드러나는 토양쐐기문양은 대다수의 경우 구조적으로 쐐기형이기는 하지만 층위 단면상으로 드러난 것은 대다수의 경우 충진된 것이 아니고 토양이나 퇴적물의 색조의 차이만이 있으며 실제 충전된 부분은 가는 점토선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쐐기들은 일정한 평면을 이루고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쐐기문양의 상면은 분명히 과거의 지표면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확인되는 쐐기 문양은 탈색현상으로 많은 양의 수분이 주변지역 보다는 많이 이동하였던 결과로 수분의 이동은 영구동토라기보다 현재와 같은 기후 하에서도 계절적인 동결작용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쐐기구조가 반드시 주빙하기후를 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이러한 쐐기열이 바로 빙하시대의 추운 시기를 보여주는 증거로 활용되는 것은 보다 확실한 증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현재의 구석기시대의 편년에 있어서 몇 개의 면을 곧바로 빙하시대의 기후의 주기의 65,000 BP 그리고 15,000 BP로 연대를 설정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추론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옛 사람뼈 자료에 대한 생물고고학적 연구

        배기동(Kidong Bae)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1

        우리나라에서는 고고학 발굴조사에서 옛 사람뼈 자료가 많이 나타나지 않았고 필요한 전문가와 방법론의 개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희귀한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향후 한국에서 이 분야의 발전이 어떤 방식으로 진전되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현재까지 한국 사람뼈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고대 사람뼈의 보존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역사학이나 민속학 등의 관련 분야와 융합적인 연구 등의 다양한 방법론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미 과거에 발굴된 사람뼈에 대한 연구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Due to poor preservation of human skeletons at most of archaeological sites, few specialists have carried out limited number of analysis of human bones and fossils in Korea. Worship of ancestor remains and poor development of bioarchaeology in the past may have prevented preservation and analysis of human bones. However, cases of extensive analysis with various methods, including DNA analysis, carbon isotope analysis, pathological analysis etc. have been increased very rapidly in recent years and make meaningful contribution to archaeological explanations of sites and ancient society. Development and rigorous application of various methodologies, in conjunction with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and ethnography, to extensive analysis of human bone remains is highly recommendable even for the human remains excavated previously.

      • 메타 데이터 백업을 통한 NAND 플래시 파일 시스템의 빠른 마운트 기법

        윤창배(Chang-Bae Yoon),이태훈(Taehoon Lee),정기동(Kidong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최근 플래시 메모리에 기반을 둔 임베디드 시스템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내장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빠른 부팅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부팅 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마운트 시간은 요구되는 빠른 부팅 시간에 비해 비교적 긴 시간을 요구하며, 이는 플래시 메모리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시간은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 시간을 지연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이다. 즉 이를 개선하기 위한 빠른 마운트 기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초점을 맞추어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의 빠른 마운트 기법을 제안한다. 전체 메모리상에 저장되는 로그 데이터를 언마운트 시점에 플래시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해 두었다가 마운트 시점에 다시 읽어 들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로그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 전체를 스캔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최소한의 메타데이터만을 스캔함으로써 고속으로 마운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