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ETWORKS OF DISQUIET : CENSORSHIP AN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IN EIGHTEENTH-CENTURY KOREA

        JAMIE JUNGMIN YOO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7 Acta Koreana Vol.20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transnational interaction of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ractice of “censorship.” By examining media control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 both late Chosŏn Korea and late imperial China,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tate and policymakers attempted to control the flow of unorthodox books and how the production of books epitomized the cultural values of the day. “What value system prompted the authorities to forbid a certain body of texts?” “What agencies were instrumental in the circulation of books?” By analyzing various travelogues to Beijing (yŏnhaengnok) and notes on poetry (sihwa),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transnational interac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nd changing textual environments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in late Chosŏn. Using a specific case study of Yi Tŏng-mu (1741–1793),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various “informal networks” outside of conventional channels functioned as the actual key drivers of book culture. In particular, a number of “book brokers” in the Qing and Chosŏn facilitated the distribution of forbidden books. My study on these circulatory dynamics reveals how negotiations between the control of media and the distributing of books influenced the textual environments and how the cultural value system shape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방법론과 문학 연구의 신형식주의 - 문학 실험실(Literary Lab)을 중심으로 -

        류정민 ( Jamie Jungmin Yoo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본고는 디지털 인문학의 방법론과 문학사 연구와의 다양한 접점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전통적 문학사에서의 “정전 (canon)”의 형성 양상을 고찰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활용 시 어떻게 소외되었던 작품과 작가가 새롭게 부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학사의 모습이 달라질 수 있는가의 문제를 집중 분석하였다. 한 예로 미국 스탠포드대학의 문학실험실에서 제출한 15편의 팜플렛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 기법 등 디지털 기법을 사용하여 다각도로 문학 작품을 해석한 시도들을 소개하였다. “계량적 형식주의”라고도 명명될 수 있는 이러한 시도들은 새로운 시공간 속에 언어와 등장 인물들의 관계망을 추적하는 새로운 문학 읽기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고는 이러한 디지털 실험의 한국 문학에의 적용을 진단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This paper explores analytical methods in digital humanities, particularly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in the literary studies. Will we be able to discover new literary canons and re-write a literary history by using digital methods? Focusing on the “pamphlets” issued by the Stanford Literary Lab, this study examines various ways of reading literature, such as social network analysis, geographical temporal analysis, or textual analysis. Thes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llows us to revisit traditional literary studies from fresh perspectives and new interpretations. Recently, growing number of scholars and research centers in Korea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the digital humanities. By appraising the current scholarships and academic environments, this paper also suggest the prospectus of the digital humanities in the context of Korean academia.

      • KCI등재

        한자 문화권과 양층 언어(diglossia)의 문제

        유정민 (柳姃旼) ( Yoo Jamie Jungm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본 논문은 동아시아 공동 문언어로서의 한자 한문의 언어 문제를 문화권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동아시아의 지역 구분은 기본적으로 동아시아의 많은 지역이 “양층적” 혹은 “다층적”인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특징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지역 사회는 공통적으로 한자 한문이라는 문언적 표준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또한 각각 개별적으로 구어적 발화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고, 또 많은 경우 고유의 표기법을 고안하여 구어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층적 언어 상황은 유럽 지역의 라틴어와 민족 국가들의 구어와의 관계와 비견될 수 있다. 그러나 링구아 프랑카로서 기능하였던 라틴어에 비해 한자 한문의 동아시아에서의 지위는 그 문언적 성격이 훨씬 더 강했다는 점에서 크게 변별된다. 즉, 한문 문언어는 구어 기능이 현저히 떨어졌던 바, 동아시아 각 지역 사회는 유럽의 민족 국가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지역적 고유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전하였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literary Chinese in East Asia and the changing functions and positions of the vernacular languag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boundaries of East Asia,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ultural linguistic spaces have been shaped and transformed, actively engagi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vernaculars. Many societies in East Asia, including the Chinese, Japanese, Koreans, Tanguts, and the Khitans, commonly used Chinese scripts as their cosmopolitan official language while developing their own oral traditions. This linguistic situation of “diglossia” is comparable to that of Europe, where Latin functioned as the “lingua franca” in many European societies until the nation states grew dominant and the positions of their vernaculars became powerful enough to supersede the status of Latin. Despite th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Chinese and Latin, however, the regional identities of East Asian societies have developed distinctively, with the vernacularizing of the cosmopolitan Chinese showing a clear difference from the situation in Eur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