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cess and Quality Data Integrated Analysis Platform for Manufacturing SMEs

        Hye-Min Choe(최혜민),Se-Hwan Ahn(안세환),Dong-Hyung Lee(이동형),Yong-Ju Cho(조용주)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8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1 No.3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needs, not only the process and quality control of production have become more complicated but also the kinds of information that manufacturing facilities provide the user about process have been diversifi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big data analysis also has been raised. However, mo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lack the systematic infrastructure of big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rely on foreign manufacturers for most of their manufacturing facilities, the need for their own data analysis and manufacturing support applications is increasing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proposes integrated analysis platform for process and quality analysis, considering manufacturing big data database (DB) and data characteristics. The platform is implemented in two versions, Web and C/S, to enhance accessibility which perform template based quality analysis and real-time monitoring. The user can upload data from their local PC or DB and run analysis by combining single analysis module in template in a way they want since the platform is not optimized for a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 Also Java and R are used as the development language for ease of system supplement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latform will be available at a low price and evolve the ability of quality analysis in SMEs.

      • KCI등재후보

        문항 특징을 반영한 쓰기 평가 기준의 설정 방향 - 한국어능력시험Ⅱ 쓰기영역 53번 문항의 `내용 및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최혜민 ( Choe Hye-mi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6 No.-

        개편된 한국어능력시험Ⅱ은 이전에 비해 수험자의 쓰기 능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변화해왔지만 좀더 깊이 들어가 문항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반영한 평가 기준 설정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Ⅱ 쓰기영역 53번의 `시각자료 설명하기` 문항유형이 54번 `작문하기`와 거의 같은 평가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문항의 특징을 반영한 평가 기준 설정 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쓰기영역을 이루는 51-54번 문항의 특징을 `문항유형, 출제의도, 주어진 글·자료, 답안분량`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다. 53번 문항은 그래프와 그래픽 조직자라는 비언어화된 시각자료를 글로 표현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수험자가 53번 문항을 다룰 때에는 시각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 과정은 수험자의 인지적인 측면과 관련된 요소이며, `시각자료 이해하기` 단계와 `시각자료를 내용조직` 단계를 거치게 된다. 3장에서는 53번 `시각자료 설명하기` 문항의 평가 기준이 시각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능력을 반영한 평가기준인가를 살펴보았는데 53번 문항은 문항의 특징이 고려되지 않은 평가 기준이라고 나타났다. 4장에서는 53번 문항을 다룰 때 비언어화된 형태의 시각자료 내용을 언어화시켜 작성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보고, `시각자료 이해하기` 단계에서 작용하는 요소들이 `내용 및 과제 수행`의 평가 기준으로 반영되어 답안을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제안하였다. 평가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는 두 가지 요소로 첫 번째로는 시각자료의 내용을 정확하게 기술하였는가를 제시하여 시각자료가 의미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는 시각자료의 핵심 내용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답안이 시각자료의 중요한 내용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평가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revise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II (TOPIK) aims to provide more direct evaluation of the examinees. However, it was found not to fully take into account the evaluation criteria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question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applied to Question 53 `Explain a visual material` in the writing section of TOPIK II wa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Question 54 `Composition` and that such similarity between the two questions is inappropriate, this study aimed to set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by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 For the study, in Chapter 2, characteristics of Question 51 to Question 54, which comprise the writing section, were compared in terms of `question type, intent, given text and material, and response length.` Question 53 involves a process in which the examinees interpret a graph and graphic organizer, which are visual materials, and explain them in writing. In the process, the steps `understanding visual materials` and `organizing visual materials into contents,` which are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of the examinee. Chapter 3 examined whether the evaluation criteria of Question 53 `Explain a visual material` reflect the skills used for interpreting visual materials. The result showed that Question 53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 In Chapter 4, based on importance of verbalizing non-verbalized visual materials in writing the response to Question 53, it was proposed that elements related to the step `Understanding visual materials` be reflected in evaluation criteria of `content and task performance.` As elements that can be included as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proposed, first, accuracy in description of the visual material, because it is important to correct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visual materials; and, second, inclu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from the visual materials, because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core information of the visual materials.

      • KCI등재후보

        텍스트 종류에 따른 한국어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 연구 : 설명문, 논설문, 감상문을 중심으로

        최혜민 ( Hye Min Cho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1 漢城語文學 Vol.30 No.-

        한국어 교육에서 학문 목적의 학습자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쓰기의 비중이 날로 커져왔다. 현재까지 한국어 쓰기 교육은 다양한 교수법에 의해 연구되고 적용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쓰기의 평가는 주로 문법적이고 언어 표현 형식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한 학문 목적 예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맞춘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근래에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 교수·학습은 텍스트 특성을 고려한 글쓰기 작성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평가 또한 교수·학습의 방법을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평가의 범주 중 본 연구에서는 내용을 중심으로 텍스트 종류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점을 세우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에 관한 접근 및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 중 이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텍스트 종류를 추출해 보았다.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 연구 대상의 텍스트 종류가 제시된 방법을 분석한 후 선행 연구를 통해 텍스트 종류별 특성과 내용 평가 기준을 살펴보았다. 교재의 텍스트 특성 제시 방법과 선행 연구에서 설정한 텍스트 종류에 따른 내용 평가 기준점을 참고하여 예비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쓰기의 새로운 내용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텍스트 종류에 따른 내용 평가 기준이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쓰기 평가 방법과 연관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앞으로 한국어 쓰기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연구라고 보는 바이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atio of those learning for academic purposes increases, writing has become correspondingly much more important. So far, while Korean language composition instruction has seen research and implementation advance according to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he assessment of this writing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a uniform method. In this paper,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preparing t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be admitted to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 have attempt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of writing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of these students. In recent years, as those who are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being taught composition by learning how to write according to different text categories, I am of the opinion that assessment as well as teaching/learning must be adapted to this system. In this paper, through selecting a new criterion that focuses on content among the various kinds of assessment, I establish a point of reference for content-based assessment of Korean composition according to text category. After first surveying previous literature on the subject, I analyze language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composi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methods presented therein according to text category. After this, through articles by other researchers, I take a look at characteristics by text category and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Using textbooks and existing research as a point of reference, I set up new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of composition for prospectiv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Since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by text category are a way to help resolve problem areas in composition assessment methods currently in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assessing composi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