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팩토리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 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박동진,최명수,양동식,Park, Dongjin,Choi, Myungsoo,Yang, Dongsik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제조 혁신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의 구현을 위하여 점차 디지털 트윈이 많이 개발되고 또 적용될 것이다. 특히 개발된 디지털 트윈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설비의 예지보전과 같은 중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관점에서 이러한 분석을 지원하는 체계인 디지털 트윈 관리시스템(DTMS: Digital Twin Management System)의 개념적 구조를 제시한다. 디지털 트윈은 다양한 분석 모듈과 데이터 등으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팩토리가 진행될수록 디지털 트윈의 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DTMS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DTMS의 개발을 위하여 제조공학,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그리고 최적화 분야에서 제시된 이론 및 체계들을 문제 해결 관점에서 통합한다. 그리고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현실적용 가능성을 보이기 위하여 DTMS를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적용해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DTMS는 전형적인 DSS(Decision Support System) 구조를 띤다. 즉 DTMS는 대화관리시스템, 모델관리시스템, 그리고 데이터관리시스템 등과 같은 3개의 서브시스템과 분석용 디지털 트윈 및 최적화 툴로 구성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한 DTMS는 스마트 펙토리를 지향하는 경쟁력이 있으며 복잡한 산업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학문적으로는 새로운 시각에서 디지털 트윈의 분석을 조명한 것으로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a smart factory for manufacturing innovation, more digital twin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gradually. In particular, simulation and optimization of digital twins makes it possible to support critical decision-making like a predictive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for manufacturing. In terms of a user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Digital Twin Management System (DTMS) for supporting the analytical and managerial activities for Digital Twins. We integrate the methods and structure of the area like Manufacturing Engineering,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Optimization for developing the DTMS.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shows a typical DSS which consists of dialog management system, model management system and data management system. It also includes Analytical Digital Twins and simulations & optimization module. The framework is being applied in one of the most competitive and complex industrial sector.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research.

      • KCI등재후보

        해체와 노마드적 표현에 관한 연구 -박동진의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박동진 ( Dongjin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현대미술에서 동일성의 반복과 이를 반영한 표현 은 양식화로 인하여 그 독창성을 의심 받고 있으며, 다원화로 확장된 의식과 표현은 소통부재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동일성의 극복을 통한 근대 이후 미 술의 현장의 노력은 전승된 양식의 해체와 대안의 실험으로 가득하다. 대중주의의 확산과 디지털의 상호작용성은 미술의 가치체계를 흔들고 비평의 새로 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에서 동일성의 해체와 표현과 의식의 확장을 본인의 회화에 구현된 해체와 비정주적 표현의 분 석을 통하여 노마디즘적 회화의 확장성과 소통 그 리고 예술적 변용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The creativity in modern art is doubted due to the repetition of identity and the formalized expression of it.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expanded by pluralization reveals communication breakdowns that modern art is likely to have. Post-modern art is full of experiments with the deconstruction of and alternatives to transmitted styles of art in efforts to overcome the identity problem. Deleze proposed critical views against the emission of human subjecthood`s potential desire and various reasons for the oppression of it. Deleze regarded metaphysics and the concept of identity as the suppression of the potential desire and advocated nomadism leading to the de-territorialisation of the potential desire. This is in agreement of modern art`s pluralistic experiments and nomadism. This study examines the deconstruction of identity and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at changes in episteme seem to accompany. It also considers the expansion and communication of nomadism and the possibility of artistic transformations by analyzing the deconstructive and non-sedentary expressions realized in the author`s paintings.

      • KCI등재후보

        제조실행시스템에서의 BPEL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의 적용

        박동진(Dongjin Park),장병훈(Byoung-Hoon Jang) 한국IT서비스학회 2009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8 No.4

        This paper outlin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BPEL based WFMS(WorkFlow Management System) for the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t present, the most MESs in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shop have the problems in terms of application software integration, reactivity, and adaptability. When a plant has to produce new product mix, remodel the manufacturing execution process, or replace obsolete equipments, the principle road blocks for responding to new manufacturing environment are the difficulties in porting existing application software to new configurations. In this paper, the issue about WFMS technologies including BPEL standard applied for MES are presented. And then, we introduce the integrated development framework named nanoFlow which is optimized for developing the BPEL based WFMS application for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And we describe a WFMS implemented with using nanoFlow framework, review and evaluate the system.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의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조례 분석

        박동진(Park Dongjin),김송미(Kim Song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의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분석하여 그내용과 특징을 확인하고, 여기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밝힌 후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2018년 3월 31일 현재까지 제정된 14개 광역자치단체의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대상으로 조례의 명칭, 목적, 지방자치단체장 및시민의 책무, 기본계획의 수립 및 시행, 지원사업, 발달장애인지원위원회 설치 및 운영,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협력체계 구축, 광역자치단체 조례에서의 특이점을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14개 광역자치단체에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있었으며, 상위법인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들이 광역자치단체 조례에서는 일부만 반영되어 규정되어있는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조례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책무, 지원사업,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등에서 이러한 점이 두드러지게 발견되었다. 또한 예산지원과 관련하여 이를 조례상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는 극히 일부였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cal Ordinance on Guarantee of Rights and Support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regional local governments, to identify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 problems found here, and to suggest improvement tasks. As of 31 March, 2018, the 14 regional local governments enacted the ‘Local Ordinance on Guarantee of Rights and Support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tablishing and enforcing the name and purpose of the ordinance, the accountabilities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establish and implement basic plans, support project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development support committee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 and singularity by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4 municipalities of 17 municipalities have enacted the ‘Local Ordinance on Guarantee of Rights and Support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number of cases were found to be reflected only partially. In particular, this point was remarkably found in the accountability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he support projects,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development support center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s that clarified these regulations in relation to budget support were only a small p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suggestions for the ‘Local Ordinance on Guarantee of Rights and Support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the local government were suggested.

      • KCI등재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에 관한 연구

        박동진(Park Dongjin),김혜성(Kim Haesung),김희숙(Kim Heesook),이설아(Lee Seolah),엄주희(Eom Juhee),권오용(Kweon Oy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미혼모로서 어려운 여건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기를 출산하고, 그 이후 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두고 간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또한 자녀 양육을 선택한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 5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부터 11월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주 11개, 하위범주 28개, 개념 48개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원 가족에서의 경험>, <아동의 부모와의 관계>, <임신사실의 인지>, <임신사실에 대한 아동부모의 상이한 대응>, <임신 및 출산에 대한 가족의 거센 반응>, <아동양육과 관련된 결정과정에서의 갈등>, <아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변화>, <제도의 불합리성>, <베이비박스의 이용>, <아동양육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지원>, <미래를 위한 자신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양육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ㆍ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들의 생활상의 빈곤, 양육스트레스 등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hild birth and parenting of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once were service users of baby box.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giving birth to a baby,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making decision for child raising by themselves. To doing so,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five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had experiences in using baby box from May to November, 2015. We employ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 categories, 28 subcategories, and 48 concept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are: experiences in the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 recognition of the fact of pregnancy, different responses of the parents to the fact of pregnancy, family reac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onflic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child care>, <Changes in parental awareness of children>, <Irrationality of the system>, <Use of baby box service>, <External support for child care>, and <Effort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es for supporting the child birth and upbringing of unmarried mothers were discussed, and strategies for alleviating their poverty and parenting stress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박동진(Park Dongjin),김송미(Kim Song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6차년도(2016) 청소년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고,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Sobel test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9, p<.001). 둘째, 성취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6, p<.001). 셋째,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β=.23, p<.001), 삶의 만족도도 진로결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7, p<.001). 특히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는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전반적인 진로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과 함께,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 삶의 만족도를 보다 증진시키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 s achievement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To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for adolescents in the 6th year(201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MAP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s statistical. Sobel test was performed to see if it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was partly mediated by the influence of motivation for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career decis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expand overall career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in order to improve career decision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further enhance the motivation of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long with direct support for careers. Suggested that support was needed.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연속다중매개효과

        박동진(Dongjin Park),김송미(Songmi Kim)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학업중단청소년패널조사’ 2차년도 조사(2014)의 청소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의 대처와 예방에 있어서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우울 등에 대한 사회적 대책을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함의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To this end, we analyzed adolescents data from the second year (2014) of the ‘Drop out Youth Panel Survey’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depression sequentially multipl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countermeasures for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sought and discussed in coping and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reviewed, and research that needs to be followed was suggested.

      • KCI등재

        박물관 디지털 콘텐츠 품질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박동진 ( Dongjin Park ),김진경 ( Jin-kyong Kim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4

        최근 박물관은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박물관의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은 디지털 콘텐츠의 채택과 적용이다. 특히 전시에 몰입을 유도하는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과 기술적인 위험이 있다. 따라서 콘텐츠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품질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평가요인들을 파악하였다. 평가모형에서는 주요 평가영역을 첫째, 디지털 콘텐츠 품질 자체에 대한 부분과 둘째, 사용자 인지에 대한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품질의 구성개념들을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용이성품질, 유희성품질 등으로 설정하고 각 구성개념을 나타내는 요인에 대한 측정항목들을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 방정식을 이용하여 박물관 디지털 콘텐츠 품질 평가모형이 타당한가를 평가하였다. 먼저 측정모형 분석을 위해서는 합성신뢰도 및 평균분산추출을 통하여 집중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다음으로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평가품질은 4개의 하위품질로의 구성됨이 적합하고 각 지표들이 하위품질을 측정하는 데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제시한 모형은 박물관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본원적 모형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즉 본 모형의 평가요인과 측정지표들은 평가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품질평가표(스토어카드) 작성에 참조모형이 될 수 있다. 둘째, 본 모형은 최근 많이 주목을 받는 박물관 실감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평가에 적합하다. 즉 사용자 인지영역의 품질 평가요인과 지표들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로 경험중심의 박물관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 평가에 적합하다. Recently, museums are expanding the functions of museums by actively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key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se museums is the adop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immersive digital content that induces immersion in the exhibition has a relatively high cost and technical risk. Therefore, quality control for content is necessary. In this study, a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museum digital contents was developed, and evaluation fac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model. In the evaluation model, we divided the main evaluation areas into the quality of digital content itself and the user’ s perception. And the construct concepts of quality were set as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ease of use quality, and enjoyment quality, and measurement items for factors representing each construct concept were determined. Next, we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museum digital content quality evaluation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based on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survey. First, composite reliability and AVE(average variance extraction) were reviewed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and then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quality is appropriate to be composed of four sub-quality and that each measuring indicator is valid for measuring sub-qu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we presented will serve as a fundamental model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museum digital contents. In other words, the evaluation factors and measurement indicators of this model can be used as reference models for the creation of the quality evaluation table (store card) of the content to be evaluated. Second, This model is suitable for quality evaluation of immersive digital contents in museums that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recently. In other words, the quality evaluation factors and indicators in this model focu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digital contents for experience-oriented museums with new digital technology.

      • KCI등재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에 관한 연구

        박동진(Park Dongjin),김혜성(Kim Haesung),김희숙(Kim Heesook),이설아(Lee Seolah),엄주희(Eom Juhe),권오용(Kweon Oy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미혼모로서 어려운 여건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기를 출산하고, 그 이후 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두고 간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또한 자녀 양육을 선택한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양육미혼모 5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부터 11월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주 11개, 하위범주 28개, 개념 48개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원 가족에서의 경험〉, 〈아동의 부모와의 관계〉, 〈임신사실의 인지〉, 〈임신사실에 대한 아동부모의 상이한 대응〉, 〈임신 및 출산에 대한 가족의 거센 반응〉, 〈아동양육과 관련된 결정과정에서의 갈등〉, 〈아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변화〉, 〈제도의 불합리 성〉, 〈베이비박스의 이용〉, 〈아동양육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지원〉, 〈미래를 위한 자신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양육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들의 생활상의 빈곤, 양육스트레스 등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hild birth and parenting of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once were service users of baby box.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giving birth to a baby,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making decision for child raising by themselves. To doing so,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five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had experiences in using baby box from May to November, 2015. We employ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 categories, 28 subcategories, and 48 concept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are: experiences in the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 recognition of the fact of pregnancy, different responses of the parents to the fact of pregnancy, family reac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onflic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child care〉, 〈Changes in parental awareness of children〉, 〈Irrationality of the system〉, 〈Use of baby box service〉, 〈External support for child care〉, and 〈Effort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es for supporting the child birth and upbringing of unmarried mothers were discussed, and strategies for alleviating their poverty and parenting stres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