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할린 지역 에너지 자원 개발의 정치경제학적 고찰

        이채문(Chaimun Lee),이철우(Chulwoo Lee)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6 슬라브학보 Vol.21 No.1

        The fall of 2005 saw the beginning of pumping as much as 250,000 barrels of oil a day, three decades after a huge amount of oil and gas reserves were discovered offshore of Sakhalin. This paper examines the Sakhalin oil and gas projects from the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The first section identifies those political economic factors which helped encourage the largest amount of foreign investments in the Sakhalin projects in Russian history, a trend contrary to lukewarm foreign interests in the energy sectors elsewhere in Russia. The second section explains that, notwithstand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foreign capitals in the Sakhalin energy projects, the complexities of the investment environment and contradictions regarding legal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still persist. The final section of the paper suggests the implications that the Sakhalin energy projects have for energy policies of the countries in Northeastern Asia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브라질 거주 아시아계 이민의 과거와 현재

        이채문(Lee, Chaimun),신형진(Hyoung-jin Shin),이현철(Hyunchul Lee),이토히로코(Ito Hiroko)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16 라틴아메리카연구 Vol.29 No.2

        This study provides a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migrants in Brazil, analyzing the processes of their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 the Latin American country. Using the data from the 2010 Brazilian Census provided by the Integrated Public Use Microdata Series, IPUMS-I at the Minnesota Population Center, this study compared variou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wo Asian ethnic minorities in Brazil, including migration histories, areas of residence, religion, educational achievement, occupational diversity, citizenship acquisition and income level. The result shows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ethnic groups emigrated to South America from East Asia, but it turned out that their processes of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host society were quite different. Most importantly, their migration trends were tightly connected with the receiving country’s needs for human resources. In their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 the destination country, both ethnic minorities also show differences. Japanese migrants are more dispersed all over Brazil and engage in various jobs, including agricultural occupations, but their Korean counterparts, although relatively high in their socio-economic status, tend to be disproportionately more focused on service and sales jobs in urban areas.

      • KCI등재후보

        타지키스탄 내전과 고려인의 난민이주 및 정착 - 러시아 볼고그라드 지역을 중심으로 -

        이채문 ( Lee Chaimu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총체적인 관점에서 타지키스탄의 고려인에 초점을 맞추어 난민이주 이전의 타지키스탄 내전 당시 고려인들의 상황에서 시작하여 난민이주 이후 러시아에서 타지키스탄 고려인들의 이주와 정착 등 타지키스탄 고려인들이 겪은 전체적인 일련의 사회경제적 과정을 다루고 있다. 타지키스탄의 고려인들은 구소련의 해체 이후 우즈베키스탄 및 기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경제적 어려움, 자민족중심주의 등으로 러시아로 이주하고 있는 고려인들과는 또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과는 달리 타지키스탄 고려인들은 난민의 성격이 강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지역적인 갈등과 민족적, 그리고 종교적인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타지키스탄 내전으로 고려인들 거의 대다수가 모든 것을 내팽개치고 타지키스탄에서 대부분 러시아로 난민이주를 해왔다. 타지키스탄 출신 고려인들은 볼고그라드주의 정착 지역에서 스레즈나야 아흐투바에 주로 집중되어 있는 반면, 우즈베키스탄 출신 고려인들은 니콜라예프스키에 집거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공유하는 유사한 성격이 여전히 많이 보인다. 먼저 이주과정에서도 타지키스탄 출신 고려인들은 여타 중앙아시아 출신 고려인들의 이주와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고지를 통해 이주지를 선정하는 점, 상당수의 타지키스탄 출신 고려인들이 가족과 친척 또는 같은 마을 출신들과 함께 대규모로 이주하고 있는 점도 자주 발견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이들은 이주지에서 집단적으로 브리가다를 형성하여 농사일과 생활을 집단적으로 영위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리고 현지에서 종사하는 직종이 대부분 농작물 재배나 야채 판매 등 중앙아시아 및 러시아 고려인들의 직종과 상당히 유사하다. 이러한 집단성은 현지 볼고그라드주의 고려인협회 활동에서도 타지키스탄 고려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점과 연관시켜서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지키스탄 고려인들이 타지키스탄에서 오랜 기간 거주하였기 때문에 고려인들의 성향이 많이 바뀔 수도 있는 만큼 현지 타지크의 관습에 많이 노출되었다. 따라서 고려인과 타지크인 사이의 이러한 흥미로운 문화접변 현상은 향후 연구에서 더욱 밝혀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processes of the ethnic Korean refugees in Tajikistan, who fled to the southern Russian region due to the civil war in Tajikistan in the 1990s, focusing on the socio-economic aspects. Since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the Korean diasporas in Central Asia, especially in Uzbekistan, have been migrating to the other CIS countries since they have enormously suffered from their economic and ethnic difficulties. The Korean migrants from Tajikistan, however, are different from their brethrens in other Central Asian regions in that they are refugees of the civil war from 1992 to 1997. And in a large sense the possibility of their return to their original residence looks pretty slim. The ethnic Korean refugees in Tajikistan fled their original settlements because of the Tajik civil war, which took place due to the complicated regional, ethnic, nationalistic and religious rivalries in the country. Many of those refugees moved to the Sredneakhtubinskiy raion in Volgograd oblast, Russia, while other Koreans from Uzbekistan in particular concentrated in the Nikolaevskiy raion in the same Volgograd oblast. There are seve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various ethnic Korean migrants from Central Asia to the southern Russian region. For instance, most of ethnic Korean migrants share network migration, for instance. That is, the destination of their movement is largely shaped by the family experiences, or migration is carried out along with thei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In addition, agricultural activities of the Korean immigrants in brigade or team are divided among their family members alone rather than among other workers. Therefore, agricultural works in a new destination have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he famil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The ethnic Koreans from Tajikistan, in particular, tend to be more engaged in group activities such as an active engagement in the Korean associations in their new destination. Finally, the Tajik Korean refugees, who had resided in Tajikistan for a long time, might have been exposed to a original Tajik tradition, which emphasizes a group. Therefore this kind of acculturation of the ethnic Koreans raises the need for a new research on the ethnic Tajikistan Koreans in the future.

      • KCI등재

        러시아 극동지역 한인이주민의 직업에 대한 연구: 비농업직(非農業職)을 중심으로

        이채문(Chaimun Lee) 한국인구학회 2000 한국인구학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186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비농업직을 중심으로 하여 러시아 극동지역의 한인 이주민의 직업에 관하여 고찰한다. 먼저 이주민의 직업선택과 노동시장에서의 위치에 관한 이론들, 즉 문화이론, 분절노동시장이론, 인적자본론 및 인종적 특수시장이론 등을 살펴보고 이들 이론이 러시아 극동지역 이주한인의 직업들 중 농업을 제외한 여러 가지 직종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존 이론들에서는 이주민의 직업에 관한 공급적 측면과 수요적 측면을 모두 분리하여 고찰하고 있다는 한계성을 지적한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극동지역 한인 이주민의 사례를 들어 이주민의 직업에 관한 두 가지 측면을 모두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위해 공급적ㆍ수요적 측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통합적 모델을 제시한 후 이러한 모델에 따라 러시아 극동지역 한인이주민의 직업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광업, 어업, 자영업종, 서비스직종, 기타 단순 노무직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이주의 통합적 모형에서 공급적 측면에 포함되는 것으로 서는 한인의 농업중심적 성격, 이민직전의 조선에서의 사회경제적 모순 및 한인의 자급자족적 성격 등과 수요적 측면에서는 러시아의 이민정책과 러시아 극동의 다양한 지역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The paper examines non-agricultural occupation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Russian Far East from 1860s to 1930s. First of all,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rding immigrants’ job selection and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cultural theory, segmented labor market theory, human capital theory, and ethnic enclave theory were reviewed and then how these theories can be applied to various jobs of Korean immigrants including mining, fishing, small business, service, and miscellaneous jobs was studied. Next,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ose theories cannot explain both supply and demand sides of migration simultaneously, suggesting the need to integrate two sides of migration. In order to fill out this gap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suggests the integrative approach which combines supply side and demand side of migration. According to this model, several factors in the non-agricultural jobs which were affecting Korean immigr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in relation with exis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Koran migr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properly, we have to take into consideration simultaneously both supply-sided factors of immigration including farming-oriented characteristics of Koreans, Korean socio-economic problems preceding immigration, and self-dependent tendencies of Korean immigrants and demand-side factor like the Russian migration policy to the immigrants and various regional situations in the Russian Far East.

      • KCI등재

        코카서스지역의 민족분쟁

        이채문(Chaimun L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 No.-

        2008년 8월 발생한 그루지야-러시아 전쟁의 발단은 그루지야내의 민족문제이다. 그루지야의 민족문제는 그루지야민족과 그루지야내의 친(親)러시아 분리공화국인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간의 수 세기 동안 해묵은 민족갈등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그루지야 민족분쟁의 주요 원인으로는 민족정체성에 관한 원초주의적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는 그루지야의 민족주의, 자치공화국내에서 소수민족보다는 주류민족에게만 과도한 혜택이 돌아갈수 있도록 한 구소련의 토착화정책, 험준한 코카서스 지역이라는 자연적 배경속에서 민족상호간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는 언어소통문제, 그리고 소수민족 자치지역에서의 인구구성의 변화로 인한 민족간 갈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민족다양성에 대한 그루지야의 접근 방향은 국가정책적 접근, 학계의 접근 그리고 대중적 접근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임에 따라 민족문제해결을 위한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민족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The Georgian-Russian war in August 2008 was caused by ethnic tensions in Georgia. The tensions originated from centuries old ethnic hatred between Georgia and pro-Russian secessionist Republics including Abkhazia and South Ossetia. The Georgian ethnic problems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Georgian nationalism based upon primordialistic approach on ethnic identity, the policy or indigenization in the Soviet Union to provide titular nationalities with unproportionate benefits, problems in linguistic communication among ethnic minorities due to the rugged Caucasian mountains and ethnic Hatred following frequent changes in the ethno-demographic composition. Three completely different and confusing approaches such as official approaches, academic approaches, and popular approaches, however, are identified to deal with the inter-ethnic conflicts in Georgia. Thus, a fundamental re-examination of those approaches to conceiving ethnic diversity is suggested to implement consistent policies on the nationality issues in Georgia.

      • KCI등재

        A Transnational Tale of Two Nationalities : Ethnic Koreans in Sakhalin Island and North Koreans in Kamchatka, Russia

        Chaimun Lee(이채문),Khvan Lyudmila Borisovna(황류드밀라 보리소브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4 No.-

        본 연구는 캄차카와 사할린의 한인 이민자들을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에서는 캄차카의 엘리조보와 부산 정관의 사할린 영주귀국자들을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에서 수집된 구술을 연구자료로 하여 두 지역 한인 디아스포라의 초국가적 관행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거주국으로부터의 소외, 혈연국의 차이, 모국에 대한 귀향욕구 및 유교적 관습 등의 초국가주의적 관행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에 따르면, 캄차카 거주 북한이주민의 혈연국인 북한의 정치체제의 폐쇄성 및 최근 한국과의 밀접한 관계 등의 영향으로 이들 이주민들은 정체적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초국가적 지향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이런 결과는 캄차카와 사할린 거주 북한이주민과 사할린 영주귀국자들간에 존재하는 혈연국에 있어서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한인 이산민들의 정체성 형성에 초국가주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사할린섬과 캄차카 반도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차별, 그리고 이들 한인들의 현지에서의 소외는 이들로 하여금 더욱 종족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사할린과 캄차카에서 거주하는 한인들은 거주하는 지역에 상관없이 여전히 모국에 대한 귀환 욕구가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유교적 관습에 따른 장례식이나 제사 및 환갑 등의 전통적인 한국 문화는 캄차카와 사할린의 한인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모국과의 연계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asporic aspects of North Korean migrants in Kamchatk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Korean diaspora in Sakhalin. In particular, using narratives of ethnic Koreans obtained in two field surveys in Elizovo in Kamchatka, Russia and Jeonggwan in Busan, South Korea,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ransnational practices of those Korean diaspora both in Sakhalin and Kamchatka, Russia. In this paper four transnational practices including alienation from the host countries, differences in kin-states, desire for an eventual return to the homeland, and Confucian ethic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ose Korean immigrants in both residential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losure of the political system in North Korea and the kin-state of Koreans living in the Kamchatka Peninsula caused the North Korean diaspora to confuse their feelings about their home country, but those could not weaken transnationalism among them.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South and North Korea, homelands for two Korean diaspora in Sakhalin and Kamchatka, are different in their political or economic system or structure but identical in their cultural and spiritual roots. Russian discrimination against the Korean diaspora in Sakhalin Island and the Kamchatka Peninsula as well as subsequent alienation felt by these Korean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ir ethnic identity. In addition, Koreans living in Sakhalin and Kamchatka still have a strong desire to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regardless of where they live.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raditional Confucian Korean customs, such as funerals, rituals, and sixtieth birthdays, lead those ethnic Koreans in the Russian Far East to strengthen their connection with their homeland. All in all,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ransnational practices of ethnic Koreans exert a similar influence on the reconstruction of diasporic identities,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kin-states.

      • KCI등재

        Gastarbeiter Dynamics : The North Korean Labor Forces in the Russian Far East

        Chaimun Lee(이채문)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4 슬라브학보 Vol.19 No.2

        최근의 러시아 극동지역 북한 근로자의 유입은 구소련 시대부터 존재해왔던 사회주의 국가간의 인구이동모델을 근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구소련의 해체이후 러시아 극동지역의 북한노동력의 존재는 이 지역에서의 노동인구부족과 같은 신고전경제학의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 상당부분 설명될 수 있다. 현재 러시아의 북한 노동자는 적게는 대략 수 천명에서 많게는 12,000여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는 1980년대 약 20,000명 내지 30,000명,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약 20,000여명으로 추산되던 것과 비교한다면 상당히 감소된 것이다. 러시아 파견 북한 근로자의 선발과 교대제도에서는 공산당원으로서의 성분, 가족여부 및 결혼여부 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선발된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나이가 대략 30대 중반에서 50대 초반이며, 적어도 고졸 정도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일반적으로 러시아의 북한 근로자들은 3년 계약으로 파견되어 계약기간이 만료된 후 일부 근로자들은 새로운 허가증을 받아 다시 체류하기도 하지만, 일부는 고국으로 되돌아간다. 현재 러시아에서 북한 근로자들이 많이 종사하는 직종으로서 벌목업, 건설업 및 농업 등이 주류를 이룬다. 이들 노동자들에 대한 북한 당국의 통제는 여전히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러시아 극동지역에서의 북한 근로자들의 존재는 값싼 노동력을 원하는 러시아의 회사들, 외화를 벌어들이려는 북한 당국과 높은 수입을 얻으려는 북한 근로자들간에 존재하는 삼위일체의 틀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거시적으로 볼 때 러시아 극동지역에서의 북한 근로자의 존재는 1989년 동독인들의 대량이주가 동유럽에서 발생시켰던 벨벳 혁명과 같이 북한의 정치적 장래에 큰 영향을 미칠수도 있는 만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The Russian Revolution and Identity Trajectories of the Russian Diaspora in Harbin, China

        Lee, Chaimun(이채문)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8 디아스포라 연구 Vol.12 No.2

        본 논문은 올해 2017년이 러시아 혁명 100주년인 점을 감안하여, 하얼빈을 비롯한 만주의 러시아인들의 정체성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러시아 혁명 전후의 하얼빈에서의 러시아인의 존재는 중국 동청철도(CER)의 건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아스포라의 특성 중 몇 가지를 토대로 만주의 러시아인을 분석하였으며, 의미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하얼빈에서의 러시아인 이산의 이유는 일정하지 않았다. 둘째, 만주에서의 러시아 학교의 역할은 모국에 대한 집단 기억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셋째, 이주의 특징에 따라 고국 개념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이었다. 넷째, 동청철도 건설을 기념하기 위한 다양한 기념일이 러시아인들간의 동족 결속의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마지막으로, 하얼빈의 러시아인들은 거주지 사회와 복잡한 관계를 가졌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dentity of ethnic Russians in Manchuria, especially in Harbin, given that the year 2017 marks the 100<SUP>th</SUP> annivers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The Russian presence in Harbin before an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Chinese Eastern Railway (CER). Based upon several of the characteristics of diasporas, the Russians in Manchuria were analyzed. Meaningful implications are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reasons for the diasporic dispersion in Harbin were not uniform. Second, the role of Russian schools in Manchuria was crucial in maintaining collective memories about their motherland. Third, the concept of homeland was not fixed, but flui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tion. Fourth, various anniversaries to celebrate the construction of the CER turned out crucial in strengthening co-ethnic solidarity among Russians. Finally, Russians in Harbin had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host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