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벽주의 척도의 타당도 재검증

        이기종(Ki-Jong Rhee),김은주(Eun-Joo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ies of the perfectionism scale, especially with intent to scrutinize the structures of two models of perfectionism scale suggested by Hewitt & Flett(1991c) and Rhee(2006), separately, with the help of LISREL 8.3 using the sample size of 518.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models do not fit into the data collected, and that the two do not represent the reality as is. It is implied that the items observing the subfactors of perfectionism do not measure the subfactors appropriately. In consequence, the perfectionism scale should be reexamined in terms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s from the origin.   이 연구는 Hewitt과 Flett(1991c)이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기종(2006)이 재구성한 완벽주의 척도의 타당도를 재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표본크기 518명을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은 Hewitt과 Flett(1991c), 이기종(2006)이 각각 제안한 연구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합치하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결과는 완벽주의를 측정하는 각각의 문항이 하나의 하위요인을 고유하게 측정해야 함에도 여러 개의 하위요인을 동시에 측정하고 있는 것이 하나의 이유일 수 있으며, 또 하나는 완벽주의 자체가 Hewitt과 Flett(1991c), 이기종(2006)이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실재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런 유추는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뒷받침된다. 따라서 완벽주의 척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항이 우리의 사회ㆍ문화적 배경이 반영되는 방향으로 다시 제작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완벽주의의 실재를 다시 규명할 필요가 있다.

      • 학교 밖 아이들: 왜 그만 두며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기종(Ki 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논총 Vol.37 No.1

        우리 사회에는 학교를 떠난 학교 밖 아이들이 28만 명이 있다. 이들이 학업을 중단하는 시점은 중학교 졸업 후 고등학교에 진학한 때이며 이는 일반계고나 전문계고의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일어난다. 학교를 그만 두는 이유로는 학교에 가야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 검정고시를 하려고, 또는 공부하기 싫어서와 특기나 소질을 살리려고가 각각 1, 2, 공동 3위를 차지한다. 처음 학교를 결석한 때는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 고학년, 초등 저학년의 순서로 나타나며 학업 중단의 단초가 결석임으로 처음 결석한 시기는 학교 밖 아이들의 대처방안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학교 밖 아이들의 생활공간은 자기 집이 절대 다수이며, 가출해 pc방 등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하는 일은 아무 것도 않거나 친구들과 놀거나, 검정고시 준비, 아르바이트 등을 하고 있다. 향후 계획은 검정고시나 학교 복학처럼 학교교육을 생각하거나 이와는 달리 완전히 학교를 떠나 취업을 계획하 고 있다. 학교 밖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를 사회관계망으로 분석한 결과, 공부, 학교, 친구가 중요한관심사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공부가 핵심관심사이다. 이는 학교 밖 아이들에게 공부할 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It is estimated that currently there are around 280 thousands school dropout in Korea. They dropped out from school after entering senior high school, regardless of school types. ‘Don’t need to attend the school’, ‘Preparing for high school diploma-equivalent’, ‘Don’t like studying’ and ‘Develop the talents’ are ranked 1, 2, 3, respectively, with reasons why they dropped out. They were experiencing school absent for the first time when they entered the junior high school. The first school absent period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starting point getting into the dropout. They mainly live in so-called PC room after dropout and make money by part time jobs. They have plans to get back to school or prepare for permanent jobs. According to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ropouts main concerns are studying, school, friend, respectively. This fact implies that they are allowed to have opportunities to study when needed.

      • 빅데이터가 바꾸는 세상, 그리고 교육

        이기종(Ki 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논총 Vol.37 No.1

        존재하는 것은 흔적을 남긴다. 이 자료 흔적이 쌓인 거대한 자료를 일컫는 용어인 빅데이터는 우리 곁에 깊숙이 침윤되어 있다. 빅데이터를 특징짓는 속성으로 부피, 속도, 다양성, 변산성, 진실성, 시각화, 가치로 표현되는 7V를 거론하나, 빅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해 일치된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빅데이터의 유형은 구조화된 관계형 자료와 비구조화된 비관계형 자료로 대별하나 관계형과 비관계형 중간 형태인 반구조화 자료도 있다. 각각 자료유형에 적합한 빅데이터 수집, 통합, 저장, 분석하는 패키지가 개발되어 있어 빅데이터 취급이 용이하다. 빅데이터가 생활 전반에서 활용되어 기존 세상을 바꾸는 예는 소매유통에서 학교개선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자료 흔적에 세상의 문제를 해결할 단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빅데이터는 매우 광범위하고 심도 깊게 사용될 것이다 What exists leaves a trail. Big data, the term used to describe huge data, is deeply embedded in our lives. The properties that characterize big data consist of 7 v’s. They are volume, velocity, variety, variability, veracity, visualization, and value, but there is no agreement of what big data is. The type of big data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tructured relational data and unstructured non-relational data. Big data collection, integration, storage, and analytics are developed for each type of data, which makes it easy to handle big data. Big data uses in practice cover from retail distribution to school improvements. The data trail contains clues to solve the world s problem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big data will be used very widely and deeply.

      • KCI등재

        대학 구조 개혁 평가의 배경, 쟁점 및 대안

        이기종(Ki Jong Rh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우리사회에서 대학은 출산율 저하로 인한 대학 입학자원 감소, 대학교육에 대한 수요변화로 인한 취업절벽, 대학설립준칙주의의 부작용으로 인한 대학숫자의 급증, 그리고 대학정원 자율화의 후유증인 대학생 수의 급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주도의 대학구조개혁평가가 시행되나 법안의 뒷받침을 받지 못한데다 대학구조개혁평가 자체가 전문대와 4년제 대학, 지방대학과 수도권 대학간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경쟁력을 상실한 대학의 퇴출을 지연시킨다는 견해도 있다. 이 글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배경, 평가개요, 쟁점과 문제점 등을 고찰해 진정한 대학구조개혁평가는 교육시장에서 선택받는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학소재지에 따른 불균형 해소와 고등교육에서의 국가의 책임과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한다. In Korea the decreasing number of population especially in school ages in recent years causes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reduce their school sizes in terms of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ing.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way of reducing the school sizes an evaluation initiated by Korean government is scheduled on the ground of law. It is believed that however an evaluation-led-by-government will increase the gaps among schools, depending upon their locations, sizes, and ownerships.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ease the difficulties suffering from downsizing the school sizes and suggests some alternatives for keeping schools without excessive downsizing from the various pressures of govern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부시간 효과 추정

        이기종 ( Ki Jong Rhee ),곽수란 ( Soo Ran Kwau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0 조사연구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중학생 2차~4차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고1~고3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를 추정한다. 특히 학업성취의 단순한 변화추정이 아니라 학교수업과 과외 외에 혼자 학습하는 공부시간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 변화가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한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고1~고3까지 매년 혼자 학습하는 공부시간(주당 평균)과 9등급 학업성취를 역산한 것이다. 패널자료를 사용한 변화추정을 위해 잠재성장모형이 분석되고 자료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LISREL 8.8이다. 분석결과, 고등학생이 스스로 하는 공부시간이 학업성취 초기상태와 변화궤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의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를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research estimated the vari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using the second to the fourth wave KEEP(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We explored the effects of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in proportion to self-regulated learning hours(except for school work and private tutoring). Analysis variables were self-directed learning(study) hours throughout senior high school and 9 grade academic achievement. We conducted Latent Growth Model(LGM) using KEEP panel data and program LISREL 8.8.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ours on the variation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was considered to be useful tips in getting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학교 밖 아이들: 왜 그만 두며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기종(Ki 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논총 Vol.36 No.1

        It is estimated that currently there are around 280 thousands school dropout in Korea. They dropped out from school after entering senior high school, regardless of school types. ‘Don’t need to attend the school’, ‘Preparing for high school diploma-equivalent’, ‘Don’t like studying’ and ‘Develop the talents’ are ranked 1, 2, 3, respectively, with reasons why they dropped out. They were experiencing school absent for the first time when they entered the junior high school. The first school absent period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starting point getting into the dropout. They mainly live in so-called PC room after dropout and make money by part time jobs. They have plans to get back to school or prepare for permanent jobs. According to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ropouts main concerns are studying, school, friend, respectively. This fact implies that they are allowed to have opportunities to study when needed. 우리 사회에는 학교를 떠난 학교 밖 아이들이 28만명이 있다. 이들이 학업을 중단하는 시점은 중학교 졸업 후 고등학교에 진학한 때이며 이는 일반계고나 전문계고의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일어난다. 학교를 그만 두는 이유로는 학교에 가야할 필요성을 못느껴서, 검정고시를 하려고, 또는 공부하기 싫어서와 특기나 소질을 살리려고가 각각 1, 2, 공동 3위를 차지한다. 처음 학교를 결석한 때는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 고학년, 초등 저학년의 순서로 나타나며 학업 중단의 단초가 결석임으로 처음 결석한 시기는 학교 밖 아이들의 대처방안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학교 밖 아이들의 생활공간은 자기 집이 절대 다수이며, 가출해 pc방 등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하는일은 아무 것도 않거나 친구들과 놀거나, 검정고시 준비, 아르바이트 등을 하고 있다. 향후 계획은 검정고시나 학교 복학처럼 학교교육을 생각하거나 이와는 달리 완전히 학교를 떠나 취업을 계획하 고 있다. 학교 밖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를 사회관계망으로 분석한 결과, 공부, 학교, 친구가 중요한관심사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공부가 핵심관심사이다. 이는 학교 밖 아이들에게 공부할 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 완벽주의 척도의 타당도 재검증

        이기종 ( Ki Jong Rhee ),김은주 ( Eun Joo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6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6 No.-

        이 연구는 Hewitt과 Flett(l991c), 이기종(2006)이 제안한 완벽주의 척도 연구모형의 타당 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Hewitt과 Flett (l991c)이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의 운 항이 몇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Hewitt과 Flett(l991c), 이기종(2006)이 각각 제안한 연구모형과 수집된 자료가 잘 합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자료에 모형이 잘 맞도록 모형을 수정해야 하고, 의미 없는 자유모수가 모형에서 나타나지 않도록 모형을 다시 설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Hewitt과 Flett(l991c)이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완벽주의 척도의 각 문항들이 완벽주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단일요인으로 제 기능을 하기 보다는 여러 문항에 걸쳐 공통요인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 해 Hewitt과 Flett(l991c)이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가 측정하는 요인은 3개 요인으로 설명될 수 없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Hewitt과 Flett (1991 c)이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의 측정 문항이 수정되어야 하고, 나가서 우리의 사회문화적 실정을 고려한 완벽주의 척도의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특집논문 : 구조방정식모형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평가 오,남용과 교정

        이기종 ( Ki Jong Rh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1

        수집된 자료에 설정된 모형이 적합한가의 여부를 따지는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평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량적 지표가 X2 와 RMSEA이다. 그러나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사용되는 통계검증의 논리와 유의수준 설정의 성격이 여타의 일반통계검증과는 다름에도 이를 일반통계검증처럼 취급하는 오남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 글은 이런 차이점을 밝혀 구조방정식모형의 타당한 사용을 돕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Some wrong applications in the area of model evaluation with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mainly associated with the uses of chi-square test and RMSEA. The reason why those wrong applications happen is that even though the logic of hypothesis test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hypothesis testing, many researchers do not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paper focuses on the differences of the two different hypothesis testings and in consequence prevents wrong applications with overall model evalua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