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

        정슬기(Sul Ki Ch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7 No.-

        음주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은 남성과 다르며, 여러 면에서 남성에 비하여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신체적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지난 10년간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음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데 반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알코올관련 연구는 아직까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음주를 합법적으로 시작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관련 개인, 인지, 환경적 요인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의 음주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표본은 할당표집을 통해 선발한 전국 남녀 대학생 3,342명이었으며, 문제음주, 음주효과기대, 또래음주, 스트레스 유발경험, 우울증세 등을 기입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또래음주비율, 음주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기대, 과거에 경험한 스트레스 유발사건은 남녀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다. 둘째, 남자와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보면, 문제음주 가족력은 남성 문제음주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우울증세는 여성에게만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알코올관련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고 분석을 수행할 때 놓칠 수 있는 남녀간 특성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남성과 구별되는 여자 대학생을 위한 음주문제예방 개입의 필요성과 연구결과의 합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Women are more vulnerable than men to adverse consequences of alcohol consumption. Physically, women achieve higher concentrations of alcohol in the blood, which leads to more impairment than men given the equivalent amount of alcohol. Although there is a growing trend in female alcohol use in Korea in the past decade, research attention has been relatively limite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ndividual, cogni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problem drinking, and sought to discriminate factors specific to women that differ from men. The sample consists of 3,342 college students selected from nationwide, who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inquired about drinking behavior, alcohol expectancies, peer drinking, adverse life experiences, and depressive symptom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family history was a predictor of male problem drinking, whereas depressive symptoms were predictor of female problem drinking. The degree of influential factors were also different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howing that adverse life experiences had a stronger influence on mal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ese findings point to the direction of a differentiated intervention for males and females. Mor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effor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에서 온라인 사회적 상호작용 시간과 가족응집력, 교사관계, 우울, 인터넷 사용문제의 구조적 관계

        정슬기(Sulki Chung),이재경(Jae-kyoung Lee)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21 중독정신의학 Vol.25 No.2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ime spent on online interactio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teachers, depression,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among adolescents. Methods : The sample included a representative 1,66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56 distric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Results : Our findings showed that time spent on online inter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However, time spent on online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or family cohesion. Depre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Family cohes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d an effect on depressi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spent on online interaction and depression. Moreover, de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r relationship with teachers on the problematic use of the Internet.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es for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teacher could be considered an approach to prevent and intervene in problematic Internet use in adolescent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우울을 예측하는 사회적 결정요인

        정슬기(Chung, Sulki),김지선(Kim, Jise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패러다임은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회적, 환경적, 정치적, 경제적 조건들을 강조한다. 즉, 건강과 안녕은 신체적 상태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틀을 적용하여 분석기간 중 우울하지 않았던 사람이 처음으로 우울을 경험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3차부터 14차까지 12년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산시간위험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변수로는 우울, 학력, 저소득층가구여부, 건강상태, 고용형태, 사회적 자본(신뢰, 호혜성), 사회적 박탈경험, 주거빈곤여부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고용형태가 불안정할수록 분석기간 중 우울하지 않았던 이들이 처음으로 우울을 경험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상황과 사회경제적 박탈 역시 우울을 예측하는 요인이었으며, 사회적 자본으로 투입한 변수 중 사회적 신뢰수준은 그 정도가 낮을수록, 사회적 호혜수준은 높을수록 우울경험 가능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우울에 대한 개입과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차원의 접근 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옹호, 정치적 의지,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The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paradigm emphasizes social, environmental,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s factors that affect health. In other words, health and well-being reflect not only the physical condition but also th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ditions. This study applied the framework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who experience depression for the first time. For this, 12 year data from 3rd to 14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iscrete time hazard model. Main variables included depression, educational background, low-income households, health status, employment type, social capital (trust, reciprocity), social deprivation, and housing depriv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wer income, lower education, and the more unstable employment type increased the risk of expeirncing depression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analysis period. Housing situation and socioeconomic deprivation also predicted depression. Lower level of social trust and higher level of social reciprocit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epression. Study results emphasize th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cial factors, and speaks to the need for advocacy, political will, and policy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depression.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과 중독

        정슬기(Sulki Chung),이해국(Hae Kook Lee)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22 중독정신의학 Vol.26 No.1

        Objective: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hat began in early 2020 has caused widespread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aggravated the state of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 mine the changes in the various addictive behavior reported since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Methods: Authors reviewed studies and reports published between March 2020 and January 2022 that examined changes in addictive behavior. Results: The restriction of pleasure-seeking activities due to social distancing has increased the use of addictive substances and digital media. Globally,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increase in addictive behavior and disorders related to COVID-19. Although mainly cross-sectional, studies have consistently reported that alcohol consumption, alcohol use disorder, substance abuse, and the use of digital media such as the Internet, Internet games, online gambling, pornography, and social media have increased. Such increase in addictive behavio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s related to a combination of biopsychosocial factors. These include the need for intrinsic reward due to isolation and loneliness, the increase in psychological vulnerability that triggers depression, anxiety, and addiction, and the lack of environmental resources that provide alternative ways to satisfy pleasure-seeking desires. Conclusion : This review calls for an integrative strategy that includes education, campaig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fforts to change our environment and emphasiz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related industry at the institutional level.

      • KCI등재

        젠더관점을 통해 본 한국여성의 음주

        정슬기(Chung, Sulk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7

        그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음주관련 연구들은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음주행위의 성별차이와 여성 내 차이를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여성과 남성의 음주행위는 남성적 규범이 지배적인 한국사회에서 상이한 양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취업, 결혼, 출산이라는 구체적 생애사건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모습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음주행위를 젠더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여성의 음주행위를 분석하였는데, 결혼, 출산, 취업, 성역할 태도와 관련한 남녀 간의 음주행동 차이를 살펴보고, 이 변수들의 특성에 따라 여성 음주행위가 어떤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2013년 8차 복지패널을 활용하여 20세에서 65세의 성인 8,96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결혼한 집단이 비혼 집단에 비해 음주빈도가 높았다. 반대로, 여성의 경우 비혼 집단이 결혼 집단에 비해 음주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의 음주행동은 결혼상태와 일정한 관계에 있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한국사회에서 성별차이는 개인의 음주행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확인되었다. 남성과 반대로 여성은 비혼인상태가 빈번하고 높은 음주행동에 영향을 주었고, 임금근로자인 여성이 음주행동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았다. 여성에게는 전통적 행위를 강제하는 요인, 예들 들면 결혼여부, 성역할 태도 등이 여성의 음주행위를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반면 남성은 여성을 규정하는 전통적 요인과 음주행위와 통일된 관계를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Most studies done in Korea regarding women and alcohol use had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drinking habits. Most studies on women’s drinking mostly maintained the biological perspective, emphasizing the biological difference between both gender.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drinking behavior from a broader perspectiv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gender discussion surrounding women’s alcohol use. In strong patriarchical society, women’s behavior could be understood more in depth from the gender perspective. Based on this no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women’s drinking behavior in relation to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number of young children, and sex role attitude. For this purpose, the 8th Welfare Panel data were utilized. A total sample of 8,962 adult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Study results showed that about 60% of men were drinkers versus 45% of women. In regards to drinking frequency, married men drank more frequently than non-married men, whereas married women drank less frequency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is point to the fact that marriage serves as an influencing factor for drinking behavior for women. Findings from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gender was a strong factor for individual’s drinking behavior when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Interestingly, analysis of women showed that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sex role attitudes were predicting factors for drinking behavior. That is, being married, having more conservative sex role attitudes, and non-employment predicted less alcohol use and frequency for women. For men, this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경제적 박탈과 문제음주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검증

        정슬기(Chung, Sulki),이민욱(Lee, Minu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3

        본 연구는 사회원인론과 사회선택론을 기반으로 사회경제적 박탈과 문제음주의 상호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성인과 노인 집단 비교 분석을 실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은 한국복지패널 7, 9, 11차 자료의 20세 이상 성인 총 3,386명이었다. 박탈은 식생활·주거, 직업·경제, 사회적 박탈 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문제음주는 CAGE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박탈과 음주의 상호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모든 자기회귀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했다. 교차지연 경로는 사회경제적 박탈에서 문제음주로 가는 경로만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인과 노인 집단 비교를 실시한 결과, 모든 자기회귀 경로가 유의했고, 교차지연 경로는 성인에서만 사회경제적 박탈에서 음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 정책과 서비스 구축 방향에 있어 개인적 차원을 넘어 소득이나 사회보장과 같은 사회경제적 여건을 고려해야한다는 점, 그리고 생애과정에 입각한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된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problem drinking based on social causation and social selection theory, and to conduct a group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adults vs. the elderly). A total of 3,386 individuals from the 7th, 9th, 11th Korea Welfare Panel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rinking. The cross-lagged pathway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ath from socioeconomic deprivation to problem drinking indicating that deprivation is a main factor in one’s risky drinking, and not the other way around. All of the auto regressive pathways were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ge, and the cross-lagged pathways were significant from socioeconomic deprivation to alcohol problems only in the adults group. Study findings indicate the need to consider socioeconomic conditions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alcohol problems , and approaches specific to the life course ar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소년 또래요인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

        정슬기(Sulki Ch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청소년 문제음주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또래요인(또래의 음주와 또래압력)에 대한 대처기술로써의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음주관련문제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국 고등학생 9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또래압력과 음주하는 친구의 비율이 문제음주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또래압력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리더십은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며, 또래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도 리더십이 높을 경우 문제음주 비율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리더십이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또래음주와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하지는 못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리더십을 초점에 두는 개입프로그램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ship as a coping skill between peer influence and problem drinking. The sample included 968 high school students from 10 areas in Korea who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er pressure and association with drinking peers were predictors of problem drinking. Leadership played a protective role between peer pressure and problem drinking, but not between the percentage of alcohol using peers and problem drinking. Those with higher leadership skills were less likely to fall into the problem drinking category.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including enhancing leadership skills as a prevention method for youth drinking problems. Further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