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및 대처방안

        유지은 ( You Ji Eu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8 사회복지경영연구 Vol.5 No.2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및 대처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S대학의 아동학과 4학년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를 선택하게 된 동기는 “흥미와 적성”이 맞아서 선택한 경우가 많았으며, 둘째, 실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시기는 첫째 주(1주)이었으며, 셋째, 보육실습에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보육실습 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내용으로는 “보육실습 환경”에서는 자유로운 휴식시간이 없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상황이 일어났을 때 판단이 어려워서 어떻게 응대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육실습 내용”에서는 실습일지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예비교사 자신에 대해”서는 실습을 잘 수행해 낼 자신이 없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실습에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으로는 문제해결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내용으로는 “문제해결중심”에서는 모든 것은 배우는 입장에서 겪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였으며, “회피중심”에서 모든 문제는 실습기관이 끝나면 다 해결될 거라고 믿고 기다렸으며, “사회적지지”에서는 모르는 것은 지도교사에게 여쭤보고 대처하였다. 보육실습기간중의 많은 스트레스는 예비보육교사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기 마련이다. 이에 실습 전 스트레스 요인을 잘 파악하고 최대한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o identify the factors causing the pre-nursing teachers to experience practical stress and the coping methods for such stres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7 seniors at S University.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question about the reason for choosing nursing teacher, many students answered that they chose to become a nursing teacher because of their “interest and aptitude”. Secondly, in the question about the most difficult period in practice process, students answered that the first 1 week is most challenging. Third, in regard to stress factors during the practice, many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ot stress from “contents of the practice”. In detail, in the “practice environment’, the students had difficulty because they couldn’t get free break time during the practice. In the ‘relationship with instructor’, many students had difficulty in making decisions and responding to situations. In “practice contents’, the students had issues in writing the practice diaries. In “oneself as the pre-nursing teacher”, the students had difficulty because they didn’t have confidence to do well. Lastly, in regard to methods for coping with stres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problem solving-centered attitude is important. In detail, students with “problem solving-centered attitude” thought that they should experience such difficulties as a student and responded actively. On contrary, students with “avoidance-centered attitude”, the students waited believing that all issues would end after the practice period. Also, students with ‘social support attitude” responded after asking to instructors. Stress during the practice period is caused by the difficulties that pre-nursing teachers experience.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ress factors before the practice and find measures to reduce such stress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양교사의 교직 수행실태 및 제도개선에 대한 요구도

        유지은(Ji Eun You),이영은(Young Eun Lee),박은혜(Eun Hye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 311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14일부터 9월 26일까지 영양교사 교직 수행실태 및 직무 수행에서 전반적인 어려움과 근로조건 개선에 있어 보완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영양교사직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교사의 업무량 및 업무난이도에 대해 96.1%의 영양교사가 업무량이 과중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이는 학교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초등학교와 중학교보다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들의 업무에 대한 부담이 특히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의 20.0%가 월 40시간 이상의 초과근무를 하고 있었는데 고등학교 영양교사의 경우 63.5%가 40시간 이상 초과근무를 하고 있어 초등학교 7.1%, 중학교 3.7%와 크게 대비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영양교사의 식생활운영 실태와 식생활교육 인식의 경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순으로 식생활교육 시행 경험이 높게 나타났고(P< 0.001), 식생활교육을 하기 어려운 이유로서 표준화된 교육자료 및 지침서 부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교육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고등학교에서는 업무과다로 인해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초등학교, 중학교에 비해 높게 응답하였고(P<0.001), 학교 내에서 식생활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시수확보 문제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영양교사의 연수와 관련하여 고등학교 영양교사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보다 유의적으로 직무연수 경험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고(P<0.001), 직무 연수 개설 시기에 대해 방학 중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학기 중에 직무연수를 희망하는 비율이 중학교, 고등학교가 초등학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적정한 연수시간과 연수 주관기관에 대한 의견은 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영양교사의 학교 내에서의 처우를 조사하기 위하여 승진제도, 가산금 및 성과 상여금 수령 현황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영양교사의 승진 및 전직 장애요인을 조사한 결과 6개 문항 중 4개의 문항이 평균 4.5점 이상으로 조사되었고, ‘타 교과교사에 비해 승진할 기회가 전혀 없다’ 문항이 4.6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교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문항은 타 교과교사에 비해 낮은 승진기회(P<0.01), 정규교과가 없음(P<0.05), 학교구성원들의 영양교사 승진 및 전직에 대한 인식 부족(P<0.05)으로 조사되었다. 영양교사 교직수당 가산금에 대해 교직수당 가산금이 ‘적정하지 않다’는 의견이 227명(73.0%)으로 가장 많았고, 추가로 수당이 신설되어야 할 분야에서 초등학교의 경우 ‘위험수당’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고 중고등학교의 경우 ‘2~3식에 대한 수당’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P<0.001). 2012년~2014년까지 최근 3년간 영양교사 개인성과 상여금 등급 현황을 조사한 결과 최하위 등급인 ‘B등급’을 받은 영양교사가 2011년 75.2%, 2012년 68.1%, 2013년 65.5%로 조사되었다. 2014년 고등학교에서의 S등급의 비율이 14.0%, A 등급 21.1%로 전에 비해 높아졌으나 2014년 교육부 교육공무원 성과 상여금 지급지침의 등급별 인원 배정비율 S등급 30%, A등급 40%, B등급 30%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task performance and working conditions for nutrition teachers in order to determine new ways to improve the current nutrition system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among teachers. From the 14th of July to the 26th of September 2014, emai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311 nutrition teachers nationwide, including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90% of nutri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ir work was demanding. In particular, 63.5% of nutrition teachers at high schools worked more than 40 hours of overtime per month. Second, 73% of nutrition teachers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but the percentage significantly decreased at upper levels of school. Nutri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teaching due to the absence of standard teaching materials and a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 Teachers also wanted 30 hours of job training once per year during their vacation organized by the regional Department of Education. Third, around half of the nutrition teachers considered that promotion and transfer professions are necessary for systematic foodservice and education. An additional allowance was demanded by nutrition teachers at schools that serve two or three meals per day. Considering the results, alleviating the workload of nutrition teachers and more time preparing nutrition classes for student are required. Fair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that considers work conditions of nutrition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김필성(Pil-Seong Kim),유지은(Ji-Eun You),조상희(Sang-Hui Cho)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의 교육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학교 안팎의 교육관점의 차이들과 교육과정 중심의 해소 방안을 문헌 분석 중심으로 살펴본다. 연구결과: 학교와 지역 간에는 교육관점의 차이, 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배타성과 지역의 소외, 주도성 논의로 인한 교육과정 소통 미흡, 보편교육과 지역특색 교육 간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를 좁히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안팎의 소통과 학교와 지역이 참여하는 지역형 교육과정 개발, 학교 와 지역이 협력하여 핵심역량 및 성취기준을 해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에 지역사회 자원을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의미 있는 학교 안팎의 교육 연계와 협력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성취기준을 협력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theoretically explore ways to strengthen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s focusing on the curriculum. Method: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and solutions centered on curriculum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between schools and regions, school-centered curriculum exclusivity and regional alienation, insufficient curriculum communication due to discussions on leadership, and differences between universal education and regional-specific education. To narrow this, curriculum-centered education is needed. Efforts are needed to communicate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develop a local curriculum in which schools and regions participate, collaborate with schools and regions to interpret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incorporate community resources into a curriculum that meets these. Conclusion: For meaningful educational linkage and cooper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efforts are required to activate curriculum-centered communication, cooperatively interpret achievement standards, and effectively achieve them.

      •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Fat Amount Ratio 측정 시 호흡 표준화에 대한 연구

        김서현(Seo Hyeon Kim),유지은(Ji Eun You),권순안(Sun Ahn Kwon),민관홍(Kwan Hong Mi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8 No.1

        Purpose : To suggests the standardization of respiratory function and how Abdomen Fat CT examination influences on the diagnosis of obesity variation depending on respi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e target was 40 adults of Abdomen Fat CT examination was performed among the adults visited the above hospital for March 2015 ~ May 2015.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4 subgroup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to scan the inspiration image and expiration image for 2 times of Fat CT with CT such as Brilliance iCT(256 slice MDCT, Philips healthcare, Cleveland, OH, USA) and to let the subgroups breath from the abdomen. For the examination, the author lets scan covered L4~6 on the basis of Umbilicus and estimated BMI with Aquarius iNtuition Version 4.4(A workstation) and IntelliSpace Portal(ISP) Version 4.0(B workstation) to calculated VFA, VFA, VSR (Visceral vs. Subcutaneous Fat Rate). Also, the author compared and analyzed the images with a statistic program such as SPSS/WIN 21.0 and T-test, and determined that the result related to the image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ase the result was p<0.5. Results 1. A workstation : In underweight group, VFA reduced 21.9±17.8㎠ (21.9±13.9%)(p<0.05). SFA increased -3.2±8.3㎠ (3.8±9.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28 ±0.26㎠ (23.9±16.9%)(p<0.05). In normal weight group, VFA decreased 21.7±7.1㎠ (19.4± 8.4%)(p<0.05), SFA increased -1.5±6.4㎠ (1.3±8.9%),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21±0.1㎠ (21.4±9.2%) (p<0.05).In overweight group, VFA decreased 21.2±21.9 ㎠(15.2±16.2%)(p<0.05), SFA increased -0.4±3.5㎠(0.1±3.1%), VSR decreased 0.16±0.22㎠ (14.9±18.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obesity and extreme obesity group, VFA decreased 25.7±21.3㎠ (14.8±11.9%)(p<0.001), SFA increased -0.7±7.7㎠ (0.6±3.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17±0.15㎠ (15.1±13.2%)(p<0.001). 2. B workstation : In underweight group, VFA decreased 43.9±40.5cc (24.4±13.3%)(p<0.05), SFA increased -9.5±8.7cc (4.2±3.1%),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28 ±0.27cc (27.2±14.7%)(p<0.05). In normal weight group, VFA decreased 47.0±12.9cc(22.9 ±6.7%)(p<0.05), SFA increased -12.2±3.3cc (3.9±0.9%),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VSR decreased 0.23±0.14cc (23.5±7.5%)(p<0.05).In overweight group, VFA decreased 49.4±36.8cc (19.0±12.8%)(p<0.001), SFA increased -15.5±6.9cc (5.4±4.3%) (p<0.01), VSR decreased 0.20 ±0.15cc (23.0±12.8%)(p<0.01).In obesity and extreme obesity group, VFA decreased 58.0 ±49.9cc (16.4±10.9%)(p<0.05), SFA increased -10.7±16.2cc (2.6±2.9%) (p<0.001), VSR decreased 0.18±0.15cc (18.4±12.1%)(p<0.001). Conclusion : In estimating BMI of profile images for 4 groups in accordance with BMI, VFA showed a significant percentage as 18.4% (p<0.05), and SFA showed an insignificant percentage as 1.45% during inspiration period and expiration period. In estimating BMI of volume image, VFA showed a significant percentage as 20.7% (p<0.05), and SFA showed 2 insignificant percentages as 4.2% and 3.9%, respectively, in underweight group and normal weight group during inspiration period and expiration period. Also, in overweight group and extreme obesity group, VFA and SFA showed 2 insignificant percentages as 5.4% and 2.6%, respectively, during inspiration period and expiration period (p<0.01). In estimating BMI with Abdomen Fat CT, VFA was more decreased during expiration period than during inspiration period. Therefore, the standardization of respiratory function is required by all means for exact BMI estimation. 목적 : Abdomen Fat CT 검사시 호흡에 따른 비만도 변화가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호흡 조절의 표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및방법 :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본원을 내원한 환자 중 Abdomen Fat CT를 시행한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장비는 Brilliance iCT(256 slice MDCT, Philips healthcare, Cleveland, OH, USA)를 이용하여,실험 대상군을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이하 BMI)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고 호흡 유형은 복식호흡으로 흡기와 호기 두번의 Fat CT를 시행하였다. scan 범위는 Umbilicus를 중심으로 L4~5로 하고, 각각의 scan한 영상은 Aquarius iNtuition Version 4.4(이하 A workstation)와 IntelliSpace Portal(ISP) Version 4.0(이하 B workstation)을 사용하여 비만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A workstation 을 이용하여 1장의 단면 영상으로, B workstation 을 이용하여 8장의 volume영상으로 만들어Hounsfield number -250 ~ -50에 속하는 총 복부 지방면적(total abdominal fat area)을 복부와 배부의 복막을 경계로 안쪽을 내장 지방 조직(visceral fat tissue), 바깥쪽을 피하 지방 조직(subcutaneous fat tissue)으로 나누어 내장지방면적(Visceral Fat Area : VFA), 피하지방면적(Subcutaneous Fat Area : SFA)을 측정하였고,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내장지방/피하지방 면적 비(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 이하VSR)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통계 프로그램 SPSSWIN 21.0와 T-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으며, p<0.5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1. A workstation : 저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1.9±17.8㎠, 21.9±13.9%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SFA는평균면적 -3.2±8.3㎠, 3.8±9.3%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VSR은 0.28±0.26, 23.9±16.9%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상 체중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1.7±7.1㎠, 19.4±8.4%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5±6.4㎠, 1.3±8.9%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VSR 은 0.21±0.1,21.4±9.2%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과 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1.2±21.9㎠, 15.2±16.2%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SFA는 평균면적 -0.4±3.5㎠, 0.1±3.1% 증가, VSR은 0.16±0.22, 14.9±18.3%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 및 고도비만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5.7±21.3㎠, 14.8±11.9%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SFA는 -0.7±7.7㎠, 0.6±3.3%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VSR 은 0.17±0.15, 15.1±13.2%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B workstation : 저 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43.9±40.5cc, 24.4±13.3%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SFA는 평균면적 -9.5±8.7cc, 4.2±3.1%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VSR은 0.28±0.27, 27.2±14.7%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상 체중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47.0±12.9cc, 22.9±6.7%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2.2±3.3cc, 3.9±0.9% 증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SR 은 0.23±0.14,23.5±7.5%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과 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49.4±36.8cc, 19.0±12.8%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SFA는 -15.5±6.9cc, 5.4±4.3% 증가(p<0.01), VSR은 0.20±0.15, 23.0±12.8%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비만 및 고도비만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58.0±49.9cc,16.4±10.9% 감소로 유의한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0.7±16.2cc, 2.6±2.9% 증가(p<0.001), VSR 은 0.18±0.15, 18.4±12.1%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 BMI에 따른 4개의 군에서 단면 영상의 비만도 측정은 흡기와 호기의 VFA가 18.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4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볼륨 영상의 비만도 측정은 VFA가20.7%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저 체중 군과 정상 체중 군에서는 4.2%와 3.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 체중과 비만 및 고도비만 군에서는 5.4%와 2.6%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Abdomen Fat CT를 이용한 비만도 측정에서 흡기시호기보다 내장지방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비만도 측정을 위해서는 호흡의 표준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1세 이상 6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의 MACS 평가자간 신뢰도 연구

        김흥수 ( Heung Su Kim ),유승복 ( Seung Bok You ),육진숙 ( Jin Sook Yuk ),변은미 ( Eun Mi Byun ),유지은 ( Ji Eun Yu ),최인애 ( In Ae Cho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에게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를 평가했을 때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며, 아동의 연령별로 평가자간 신뢰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 31명을 대상으로 5명의 작업치료사가 MACS를 평가하였다. 연령에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하기 위해서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 과제 참조표를 작성하고, MACS 평가 시 참조표를 참고하여 아동에게 과제를 제시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weighted Cohen`s kapp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κ=0.78 이었으며, 각 연령 그룹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1세∼2세 미만 아동이 κ=0.82, 2세∼4세 미만 아동이 κ=0.75, 4세∼6세 미만 아동이 κ=0.78 이었다. 결론: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에게 MACS를 평가했을 때 전반적으로 평가자간 신뢰도가 good 이상으로 높았으며, 특히 1세∼2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자간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를 과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참조표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 과제 참조표의 타당도 연구와 연령이 어린 아동에게 MACS를 평가할 때 참조표의 활용 여부에 따른 평가자간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and to compare inter-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5 occupational therapists assessed 31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using MACS. The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was established and referred to during assessment.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sed using weighted Cohen`s kappa. Results: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was κ=0.78 for children aged 1∼6 years, κ=0.82 for children aged 1∼2 years, κ=0.75 for children aged 2∼4 years, and κ=0.78 for children aged 4∼6 years. Conclusion: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was beyond good. Especiall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aged 1∼2 years was the highest.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MACS for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ter-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whether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is used or not.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lidity of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 KCI등재
      • KCI등재

        일 종합병원 외과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아형별 관련 요인

        박상희 ( Park Sang Hee ),김희정 ( Kim Hee Jeong ),최희영 ( Choi Hee Young ),유지은 ( You Ji Eun ),박지은 ( Park Ji Eun ),김은정 ( Kim Eun Jung ),임수정 ( Lim Soo Jung ) 병원간호사회 2020 임상간호연구 Vol.2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or subtypes of delirium in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ICU), and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ccording to the motor subtypes of deliriu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the SICU of a tertiary hospital in * city from October 2018 to June 2019. Delirium was detected using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CU (CAM-ICU) and motor subtypes of delirium were measured with the Delirium Motor Subtype Scale (DMSS)-4. Patients’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by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mong 1,112 patients, 172 patients showed delirium (15.5%). After excluding dementia patients and patients refusing to participate in the study, 126 patient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elirium patients were classified as hyperactive delirium (32.5%), hypoactive delirium (42.9%), mixed delirium (11.9%), and non-motor subtype delirium (12.7%).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hypoactive delirium is the most prevalent motor subtype of delirium in SICU. More application of ventilators, more administration of sedatives, more use of catheters, and higher nursing severity were reported for hypoactive delirium cases than hyperactive o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early the motor subtypes of delirium using structured tools and develop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suitable for each subtype of delirium.

      • KCI등재후보

        경주지역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식생활 태도 및 식품기호도

        유지은,유두련,박금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ju.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students, the type of SP(Sensing-perceiving) occupied the highest ratio, 46% and NF(Intuition-Feeling) 8.6% and NT(Intuition-Thinking) 8.2% and SJ(Sensing-Judging) 7.1%.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SP(Sensing-perceiving) and NF was the highes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in the effect of knowledge learned in school on the choice of food; the types of NT and NF did not influence on it. The degree of regularity in the amount of every me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p<.05); students with NT and SJ types had the regular meals. The factors which could influence on the dietary behavior were parents(60.7%), friends(16.9%) and mass media and books(13.8%), etc. School education had a little influence on the dietary behavior, only 8.0%.Therefore, more practical education was needed. In the food preference, the type of NF preferred the foods with sweet taste while the others with hot tas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