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이뇨제를 사용한 급성 신손상 환자에서 FEUrea의 진단적 유용성

        임대훈 ( Dae Hun Lim ),정지민 ( Ji Min Jeong ),오슬현 ( Seul Hyun Oh ),이형철 ( Hyung Chul Lee ),최준석 ( Joon Suk Choi ),김민지 ( Min Jee Kim ),박정우 ( Jeong Woo Park ),배은희 ( Eun Hui Bae ),마성권 ( Seong Kwon Ma ),김남호 ( Na 대한신장학회 2009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8 No.3

        목적: 임상적으로 FENa가 일과성 신손상 (T-AKI)과 지속성 신손상 (P-AKI)을 감별하는 데 많이 사용되지만 이뇨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FENa는 유효 혈류량 결핍 상태에서도 증가하게 되어 진단적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뇨제 투여상황에서 FE(Na)와 비교하여 FE(Urea)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7명의 급성 신손상 환자를 임상적 특성에 따라 일과성과 지속성 신손상 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이뇨제 투여 유무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ROC 곡선에 따라 계산된 cutoff value에 따라서 일과성 신손상을 정의하였고 이뇨제 투여로 인한 cutoff value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AKI가 발생한 107명의 모든 환자중 검사 이전에 경험적으로 이뇨제를 사용한 경우가 67명으로 63%를 보였고, 일과성 신손상군의 경우는 52명 중 27명으로 52%를, 지속성 신손상군의 경우는 55명 중 45명으로 73%를 보였다. ROC curve에 따라 cutoff value를 FE(Na)≤1.5 FE(Urea)≤30으로 하였을 때 T-AKI를 진단하는 데 사용된 두 값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모든 환자군에서 FE(Na)가 81%, 98%를, FE(Urea) 가 94%, 82%를 보였다. 이뇨제 비투여군에서는 FE(Na)가 96 %, 100%를, FEUrea가 92%, 87%를 보였으며, 이뇨제 투여군에서는 FE(Na)가 63%, 98%를, FE(Urea)가 96%, 83%를 보였다. 결론: 이뇨제를 사용한 경우 P-AKI를 진단하는데 FE(Urea)도 FE(Na) 정도의 진단적 유용성을 가진다. Purpose: Although fractional excretion of sodium (FE(Na)) has been used to distinguish transient-acute kidney injury (T-AKI) from persistent-AKI (P-AKI), the availability of FE(Na) in the diagnosis of T-AKI is reported low in patients with diuretics use. We compar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fractional excretion of urea (FE(Urea)) with that of FE(Na) in patients with diuretics use. Methods: One hundred seven AKI patients were classified as having T-AKIor P-AKI according to the clinical context. Each group was again subdivided according to exposure to diuretics. According to the cut off value generat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E(Na) and FE(Urea)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Results: The numbers of patients administered with diuretics were 67 out of total 107 AKI patients (63%), 27 out of 52 (52%) of T-AKI patients, and 40 out of total (65) 55 (73%) of P-AKI patients. When the cutoff value of T-AKI was defined as FE(Na) ≤1.5 and FE(Urea) ≤30 according to the ROC curve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E(Na) were 96% and 100% in non-diuretics group, and 63% and 98% in diuretics group, respectivel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E(Urea) were 92% and 87% in non-diuretics group, and 96% and 83% in diuretics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FE(Urea) is as good as FE(Na) at distinguishing T-AKI from P-AKI in patients administered with diuretics.

      • KCI등재후보

        신장 ; 단백뇨를 동반한 IgA 신병증 환자들에서 데플라자코트의 신기능 보존 효과

        정지민 ( Ji Min Jeong ),임대훈 ( Dae Hun Lim ),이형철 ( Hyung Chul Lee ),오슬현 ( Seul Hyun Oh ),최준석 ( Joon Seok Choi ),박평균 ( Pyung Kyun Park ),정안덕 ( An Doc Jung ),박정우 ( Jeong Woo Park ),배은희 ( Eun Hui Bae ),마성권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5

        목적: IgA 신병증에서 스테로이드 치료로 임상적인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데플라자코트는 프레드니솔론의 유도체로서 프레드니솔론과 비교하여 인슐린 저항성이나 골다공증 등의 합병증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IgA 신병증에서 데플라자코트와 프레드니솔론 사용 전후의 요 단백량,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및 혈압 등의 변화를 조사하고 데플자코트의 임상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 조직검사를 통해 IgA 신병증으로 확진된 136명의 환자 중 남자는 79명, 여자는 57명이었고, 평균연령은 27.7±14.4세였다. 대상 환자에서 50명에게 데플라자코트를 29명에게 프레드니솔론을 투여하였으며 59명의 환자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하지 않았다. 단백뇨가 있는 환자에서 금기증이 없는 한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를 투여하였다. 평균 스테로이드의 투여기간은 9.5±9.1개월이었다. 단백뇨에 대한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군 간의 치료 전과 치료 후 1일 요 단백량과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치료 전 나이, 혈압,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1일 요 단백량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양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치료 후 요 단백량은 데플라자코트 투여군과 프레드니솔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3). 치료 후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데플라자코트 투여군과 프레드니솔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09). 그러나 데플라자코트 투여군과 프레드니솔론 투여군 간의 요 단백량과 크레아티닌 청소율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IgA 신병증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치료는 단백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데플라자코트는 단백뇨의 감소효과에서 프레드니솔론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데플라자코트는 향후 더 많은 임상적 관찰이 필요하나, 저 알부민 혈증과 단백뇨가 동반된 IgA 신병증에서 유용한 치료제 임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Aims: Steroid therapy is reported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 of IgA nephropathy. In addition,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that deflazacort has fewer side effects than prednisolon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teroids and compared the clinical efficacy of deflazacort and prednisolone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36 patients with biopsy-proven IgA nephropathy who received deflazacort (n=50), prednisolone (n=29), or neither (n=59), and in whom blood pressure was controlled with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or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The mean duration of steroid administration was 9.5±9.1 months. The initial clinical status and change in the amount of protein in the 24-hour urine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s: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age, blood pressure, serum creatinine level, initial protein in the 24-hour urine, and creatinine clear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The decrement of protein in the 24-hour urine was higher in the deflazacort and prednisolone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4±5.4, 4.2±1.5, and 2.1±3.1 g/day, respectively, p=0.013). The increment in the creatinine clearance was higher in the deflazacort and prednisolone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1.5±16.4, 12.3±26.2, and 4.8±14.91.3±0.9, respectively, p=0.00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ove parameters between the deflazacort and prednisolone groups. Conclusions: Steroid therapy reduces urinary protein excretion in IgA nephropathy,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deflazacort and prednisolone was found to be similar. (Korean J Med 77:593-600, 2009)

      • KCI등재후보

        만성 신장 질환이 급성 허혈성 뇌졸중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최준석 ( Joon Seok Choi ),김하연 ( Ha Yeon Kim ),옥찬영 ( Chan Young Oak ),김민지 ( Min Jee Kim ),김창성 ( Chang Sung Kim ),오슬현 ( Seul Hyun Oh ),이형철 ( Hyung Chul Lee ),박정우 ( Jeong Woo Park ),배은희 ( Eun Hui Bae ),마성권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5

        목적: 만성 신장 질환은 관상동맥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심혈관 질환의 다른 형태인 급성 허혈성 뇌졸중과 만성 신장 질환과의 연관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만성 신장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내원한 환자 28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통해 만성 신장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른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사구체 여과율은 Cockcroft-Gault 공식과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공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I 군: ≥60 mL/min/1.73 m2, II 군: 45~59 mL/min/1.73 m2, III 군: 15~44 mL/min/1.73 m2). 급성 허혈성 뇌졸중 발생 1개월과 12개월 후에 추적관찰을 통하여 사구체 여과율 감소에 따른 사망률 및 요양기관 재원률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Cockcroft-Gault 공식을 사용한 군의 1년 사망률은 군에서 6.0%, II 군에서 20.3%, III 군에서 21.1%였으며 상대적으로 MDRD 공식을 사용한 군의 1년 사망률은 9.1%, 12.5%, 37.5%로 관찰되었다. Cockcrfot-Gault 공식을 사용한 군의 1년 사망률에 대한 odds ratio는 II 군에서 3.97 (1.7~9.2, 95% CI), III 군에서 4.16 (1.2~14.5, 95% CI)이며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에 따라 odds ratio가 증가하였다. MDRD 공식을 사용한 군에서 1년 사망률에 대한 odds ratio는 1.43 (0.5~4.4, 95% CI), 6.00 (1.3~26.8, 95% CI)으로 관찰되었다. Adjusted odds ratio는 양 공식을 사용한 군 모두에서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에 따라 odds ratio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 및 만성 신장 질환의 중등도는 사망률 증가 및 불량한 예후와 관계가 있었다. Background/Aims: Chronic kidney diseas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t is unknown whether renal function predicts clinical outcomes of acute ischemic strok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renal dysfunction and stroke outcome. Methods: Ou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82 consecutive patients hospitalized due to acute ischemic stroke. Renal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using two methods: Cockcroft-Gault equation and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equation. Each of the estimated GF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Group I: ≥60 mL/min/1.73 m2, Group II: 45~59 mL/min/1.73 m2, Group III: 15~44 mL/min/1.73 m2). From collected patient databases, we compared mortality and rate of hospitalization to GFR at 1 month and 12 months follow up. Results: Our study found that, based on the GFR, the 1 year mortality, using the Cockcroft-Gault equation, was 6.0% in group I, 20.3% in group II and 21.1% in group III and, using the MDRD equation, 9.1%, 12.5% and 37.5%, respectively. Patients with lower GFRs exhibited an increased odds ratio for 1 year mortality when estimated by the Cockcroft-Gault equation: 3.97 (1.7~9.2, 95% CI) in group II and 4.16 (1.2~14.5, 95% CI) in group III. Based on the MDRD equation, patients with lower GFRs also exhibited an increased odds ratio for 1-year mortality: 1.43 (0.5~4.4, 95% CI) in group II and 6.00 (1.3~26.8, 95% CI) in group III. The adjusted odds ratio for 1-year mortality also increased based on our analysis using either equation. Conclusions: Decline of GFR and severity of chronic kidney disease are associated with poor clinical outcomes of acute ischemic stroke. (Korean J Med 78:602-609, 20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