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 관련 그림책 활용 의사소통장애 수업이 예비언어재활사의 교수효능감과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현린 ( Hyunrin Park ),손은남 ( Eunnam Sohn ),권미지 ( Miji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이론 중심으로 진행되는 ‘의사소통장애개론’ 교과목을 장애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수업 운영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운영의 효과는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교수효능감을 측정하여 양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저널쓰기를 분석하여 질적인 변화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은 G지역 대학교의 언어치료학과 1학년으로 장애 관련 교육의 경험이 없는 30명이었다. 장애관련 그림책 프로그램은 13주간의 프로그램으로 계획·운영되었으며, 사전·사후에 교수효능감 설문과 저널쓰기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언어재활사들은 그림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에 비해 수업 후 유의미하게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저널쓰기를 살펴본 결과 예비언어재활사들의 장애와 관련된 지식이 확장, 그림책을 통한 장애인식의 긍정적 개선, 자기반성과 노력의지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예비언어재활사 양성과정에 있어서 장애관련 그림책을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교과목의 설계 및 운영, 효과검토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he redesigning of the current theory-based introductory course to communication disorders to a course that utilizes picture book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looks into the effectiveness of such classes.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examining quantitative changes, measured by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new type of course, and qualitative changes, achieved through the learners’ journal writing. A total of 30 freshmen from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of an undisclosed regional university who had no prior disability-related education were studied. The program was 13 weeks long, and a questionnaire on teaching efficacy and journal writing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spective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person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and second, examination of their written journals showed that the therapist candidates’ knowledge related to disabilities had expanded, their awareness of disabilities was positively enhanced through picture books, and self-reflection and willingness were mentioned most ofte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various programs that utilize picture books related to disabilities in the curriculum for prospective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Furthermore, detailed proposal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re laid out and the analyzed evaluation is explained.

      •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코로나19에 대한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와의 관계

        박현린 ( Hyunrin Park ),손은남 ( Eunnam Sohn ),권미지 ( Miji Kwo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언어재활사의 감염병에 대한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를 파악하여 신종감염병 대응전략 및 신종감염병 예방 교육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언어재활사들에게 설문을 배부하여 회수된 167부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종감염병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불안도의 전체 평균은 3.7점, 예방행위 실천도의 전체 평균은 4.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감염 경험 유무에 따라 감염병에 대한 예방행위 실천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들의 감염병에 대한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언어재활사를 위한 신종감염병과 관련하여 예방행위 실천 교육 및 언어재활사의 불안도를 낮추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 마련 등의 구체적인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anxiety and preventive behaviors about infectious diseases in SLP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trategies and prevention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7 copies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LP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SLPs’ anxiety about new infectious diseases was 3.7 points, and the overall average of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was 4.1 point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LPs’s anxiety and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COVID-19 infe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level of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and anxiety about infectious diseases of SLPs. Based on this,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concrete changes, such as education for practicing preventive behaviors in relation to new infectious diseases for SLPs, and preparation of practical measures to lower the level of anxiety of SLPs.

      • KCI등재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국내 동향 연구

        박현린(Park Hyunrin),손은남(Sohn Eun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본 국내 연구를 분석하여 이들 매체가 어떠한 교육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가상현실 16편, 증강현실 22편 총 3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따른 분류 결과 가상현실 논문은 대학교육 이상 56%, 중등교육 18% 순이며, 증강현실 논문은 초등교육 45%, 유아교육 27% 순이었다. 이와 같은 차이로 인해 자료 측정 방법에서도 증강현실 논문의 경우 행동관찰의 비율이 높은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교육적 효과 분석 결과 학습태도, 만족도 및 집중도에서 이들 매체가 상당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나, 학업성취 점수에서는 두 매체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찾을 수 없었던 연구가 상당한 비율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들 간의 교육적 효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 추후 연구를 위해 어떠한 것들이 고려되어야 할지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studies that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 of mediu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hile simultaneously presenting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Following the paper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8 papers including 16 on virtual reality and 22 on augmented reality from February to October 2019. The results of categorization by educational curriculum showed that virtual reality papers were 56%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above 18% f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augmented reality papers were 45%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27% for preschool education. Due to participant differences, we found that for the method of measuring data, in the case of augmented reality papers, behavioral observation was used the most.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se mediums had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on study attitude, satisfaction, and concentration. However,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found that neither of the mediums had a meaningful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cores.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s in precedent research and discusse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빅카인즈 시스템을 통한 언어치료 관련 언론보도 분석

        권미지 ( Miji Kwon ),손은남 ( Eunnam So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이 연구에서는 언론 뉴스기사에 보도되고 있는 언어치료에 대한 키워드 및 노출건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치료의 언론보도 전략 및 방향 등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의 자료는 빅카인즈(Bigkinds)를 활용하여 최근 31년 동안의 언어치료에 대한 언론보도 1,820건을 논문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1990년대 언어치료 관련 언론보도 건수는 10년간 총 84건으로 언어치료 관련 언론보도가 매우 저조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2000년대 언어치료 관련 언론보도 건수는 10년간 총 402건으로 보도되었다. 이는 전국적으로 언어치료 양성 대학 및 대학원들이 생겨났으며, 언어치료학에 대한 학문적인 발전을 도모한 시기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2010년대 언어치료 관련 언론보도 건수는 11년간 총 1,334건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언어치료 양성 대학에서의 언론 보도와 직업군으로서의 언어치료사에 대한 보도들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으로는 언어치료 관련 키워드 노출 건수가 많아지고, 긍정적인 연관어들이 많이 파생되어 언어치료 및 언어치료학에 대한 발전을 도모할 것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understand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keywords and exposure to speech therapy that are being reported in the media.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provide language therapy direction and media repor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The study’s data was utilized by Bigkinds to use 1,820 press reports on speech therapy in the last 31 years for the paper’s analysis. First, in the 1990s, there were a total of 84 press reports related to speech therapy, and the number of media reports related to speech therapy was very poor. Second, in the 2000s, a total of 402 media reports related to speech therapy were reported over a decade. This is a time when language therapy training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have sprung up across the country, and academic advances in speech therapy can be analyzed. Third, in the 2010s, the number of media reports related to speech therapy increased dramatically to a total of 1,334 over 11 years. This was seen as an increase in media coverage at the College of Speech Therapy Training and reports of speech therapists as a profession. In the future, we expect to see a lot of keyword impressions related to speech therapy, and a lot of positive associations will be deriv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peech therapy and speech therapy.

      • KCI등재

        예비언어재활사의 성인언어재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통한 교과과정 개발 방향 탐색

        박현린 ( Hyunrin Park ),권미지 ( Miji Kwon ),손은남 ( Eunnam So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성인 대상의 의사소통 평가 및 중재에 대한 예비언어재활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 현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국내 4년제 대학 네 곳의 언어재활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131명의 예비언어재활사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 정보 5문항, 인식에 대한 문항 4문항, 교육 요구도에 대한 문항 5문항, 평가 및 중재 경험에 대한 문항 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성인언어재활에 대해 중요하다(매우 그렇다,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이 약 90%이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 및 중재에 자신있다(매우 그렇다,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이 약 26%에 불과하였다. 또한, 실습을 한 학생들 중 성인언어재활과 관련한 중재 경험이 있는 학생은 20%를 웃도는 수준이었으며, 이와 관련된 추가 교과목 개설에 대해 65%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예비언어재활사들이 성인언어재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임상실습 수업 내에서의 경험 부족으로 인해 자신감이 결여되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 교육에서 성인언어재활과 관련된 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후 이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SLPs for languag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adults. We analyzed questionnaires from 131 pre-service SLPs enrolled in language rehabilitation-related departments at four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about subject information, 4 questions about perception, 5 questions about educational needs, and 2 questions about evaluation and intervention experience for ad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more than 90% (strongly agree, agree)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for adults is important, only about 26%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confident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adults. Also, only about 20% of the students who did the practice had experience with adult intervention. In addition, more than 65%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additional educational program related to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dults. Based o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lthough pre-service SLP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dults, they lack confidence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subject. In university education, adult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effectively learned through practical subjects. In addition, we suggest that qualitative research in expert groups will be required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