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생물학 옹호: 새로운 종합과 지식의 통합

        이을상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0 No.-

        이 글은 2012년 5월 4일 부산대학교에서 개최된 대동철학회의 춘계 학술대회에서 사회생물학 비판이 사회생물학의 기본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무지와 오독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 것이다. 사회생물학에 대한 이들의 무지와 오독은 크게 ‘사회생물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오해’, ‘통섭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오해’, ‘유전자-문화의 공진화에 대한 오해’로 요약된다. 이렇게 세 부류로 정리되는 사회생물학에 대해 오해를 불러온 것은 순전히 저들의 치기어린 아마추어리즘 때문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여기서 아마추어리즘이란 ‘전문성의 결여’를 가리키는 말이고, 그렇기 때문에 저들의 비판도 사회생물학에 대한 무지와 오해에 근거했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이 글은 근본적으로 이러한 아마추어리즘 비판에 초점을 맞추겠지만, 저들의 오독을 일일이 나열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저들의 오독이 위에서 열거한 세 개의 오해가 반복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문에서는 위에서 세 부류로 정리된 저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에 대한 사회생물학의 본래 의도를 밝히고, 나아가 저들이 오류의 늪에 빠지게 된 원인에 대해 성찰할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한편으로 사회생물학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른 한편으로 올바른 (건전한) 사회생물학 비판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spring seminar with the title "Evolution is not teleological: Criticisms of Sociobiology" was held by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4 May 2012. Papers read at this seminar are lacking originality, and criticisms of sociobiology are most of all caused by ignorance and misreading about original texts of sociobiology. Ignorance and misreading about original texts of sociobiology have resulted serious fallacies of interpretation of sociobiology, and these fallacies, I think, have to hinder the advancement of our learning. These fallacies are summing up as follow. Firs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scientific character of sociobiology, which indicate 'New Synthesis' deprived from modern Synthesis of Neodarwinists. Second, they misunderstood the meaning and method of consilience, which means only the unity of knowledge. They mistake consilience for reductionism. Third, they distort the fact of gene-culture co-evolution. So they criticize sociobiologists are reducing culture into gene. In the face of such a fallacies, I endeavor to reveal the original intention of sociobiologists and to find out the reason why a critic of sociobiology commits such fallacy. I am sure these discussions are contributing for us to understand sociobiology rightly, and they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ound criticism of sociobiolog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성 생태론: ‘살아 있는 지구’ 가설의 철학적 토대

        이을상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8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iritual attitude that has influence upon natural ecosystem of the earth. This spiritual attitude reflects on the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is resulted from the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in the modern times, and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mpaign to keep the earth safe from ecological crisis. So this spiritual attitude helps us construct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n the ordinary life. To establish this attitude, we have to examine the limits of classical physics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hysics, especially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quantum theory(ch. 2). And then we need to reflect on the relation between modern western science and classical eastern mysticism, especially Hinduism, Taoism, and Zen Buddhism(ch. 3). Finally we inquire into the self regulation ability of 'a living earth' hypothesis(ch. 4), from which we think the spiritual ecology is well explained. 영성이란 본래 어떤 사람의 내면적 성찰을 가리키는 정신적 태도를 가리키는 개념이고, 생태론은 인간이 자연환경과 관계하는 방식을 다루는 학문을 이르는 이름이다. 이와 같이 내면적 성찰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지구를 대하는 우리의 관계방식, 즉 인간이 자연을 억압하는 ‘지배의 윤리’가 아니라 인간을 자연의 한 구성요소로 보는 ‘동반자의 윤리’로 거듭나게 해 줄 것이라는 믿음이 곧 영성 생태론의 입론이다. 오늘날 전지구적 규모의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에 직면하여 자연 그 자체를 하나의 생명체로 보아야 한다는 새로운 반성이 생겨났고, 이에 영성 생태론은 개인의 의식변화를 촉구하고 사회운동을 새로운 양식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강력한 느낌과 동기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 이른바 ‘녹색정치’ 운동과 ‘에코페미니즘’ 운동의 태동이 그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녹색정치나 에코페미니즘의 활동에 관해 언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들 생태운동은 생태적 인식의 위기에 직면하여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데, 아래서 우리는 이러한 인식의 위기를 불러온 고전 물리학의 한계와 이 한계에 도전하는 현대 물리학의 특징(2장), 특히 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의 근본 특징과 동양 신비주의 사이의 상보성에 의한 과학의 영성 파악(3장), 궁극적으로 이러한 영성을 드러내는 ‘살아 있는 지구’의 자기 조절 능력(4장)에 관해 살펴본다.

      • KCI등재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을상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의생명과학과 법 Vol.9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mbryo has the condition of being human or not. Someone has to be regarded as human being, he/she has a right of liv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being a person in the moral sense. We have naturally thought an embryo is human, but today it becomes problematic whether an embryo is a human being or not. This argument has been raised by a rapid developing of biotechnology such as prenatal genetic screening, embryonic reproduction etc. In the biotechnology an embryo is surely not regarded as a human being, but only a living material. It can cause a deep moral injure to think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For human being is a person in the moral sense, and a person has been only thought that can make us live freely. At last we have human dignity, when we live as a person. But the thought that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ha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y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which is conceived by P. Singer in his Practical Ethics(1991). Further more Singer criticizes a Kant’s view of human dignity as a ‘speciesm’ in the basis of a concept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 historical origin of Singer’s concepts,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firstly and a speciesm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Kant’s view of human dignity nextly. I have also examined that Kant’s concept of autonomy has to be substituted by ‘self-disposability’ in Singer’s bioethical viewpoint, but Singer’s viewpoint is also criticised by Sandel’s ‘ethics of genetic enhancement’ las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