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성인남성 근로자의 여가시간 중 육체적 활동양상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

        노윤경,예민해,이성국,천병렬,Rho, Yun-Kyeong,Yeh, Min-Hae,Lee, Sung-Kook,Chun, Byung-Yeol 대한예방의학회 1993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6 No.3

        성인 남성들에서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의 분포를 파악하고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을 보기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일개 제철회사의 남성 근로자 27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CARDIA 연구의 Physical Activity History questionnaire를 변형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에 대해 면담조사하였다. 공복시 혈액 5ml를 채취하여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혈당량을 측정하였고, 신장, 체중 및 혈압을 측정하였다. 흡연습관과 음주습관, 교육 수준 및 그 밖의 사항들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담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에 의한 에너지 소모량의 기하 평균치는 212.80 kcal/week이었고, 전체 대상자 중 여가시간에 2,000 kcal/week이상 육체적 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은 22. 4%이었다. 설문지의 항목들 중 대상자들이 여가시간에 하는 운동으로 가장 많은 것은 산보나 등산, 조깅 혹은 달리기 등이었다. 전체 대상자들에서 연령별, 교육수준별, 근무기간별, 흡연 및 음주습관별 주당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작업 중 격렬한 노동을 하는 사람들이 안 하는 사람들에 비해 주당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과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을 중등도 이상의 활동을 전혀 안 하는 경우, 총 활동량이 2,000 kcal/week 미만인 경우 그리고 총 활동량이 2,000 kcal/week 미만인 경우의 세 군으로 나눈 후 BMI,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혈당량의 평균을 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없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bserve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its relationship to coronary risk factors (BM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fasting blood sugar).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77 adult male workers of an industry in Kyungpook province, Korea. Energy expenditure were measured using modified Physical Activity History questionnaire of CARDIA study by interviewing.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blood sugar level were tested with 5 ml fasting blood an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masured. Data on smoking and drinking habits and others were obtained. Geometric mean of leisure time physical energy expenditure were estimated as 212.80 kcal per week for study subjects and only 22.4% of them expended 2,000 kcal or more per week i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Taking walks or hikes and jogging or running were more frequen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ies in study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otal weekly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for all coronary risk factors were not found among three groups. Because energy expenditure of leisure time was generally low in this subjects and most of them were healthy men, we did not found tha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ronary risk factors.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의 활용에 관한 연구

        노윤경,오병철 한국정보법학회 2020 정보법학 Vol.24 No.3

        The penalty surcharges that are impos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set at higher amounts,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ly enforced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of the EU. However the government acquires revenue that is generated from damages caused to data subjects, it is questionable whether penalty surcharges are being put to appropriate use, as intend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s is because they belong to national funds and are used in matters that are unrelated to the redress of victims 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uilding on such critical awareness,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plan that utilizes the collected penalty surcharges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suit the legal purpose. Penalty surcharges are designed to retrieve the disgorgement of unlawful profits that occurred through violations therefore the funds collected should be spent on behalf of those data subjects who were victimized or they should be us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s intended by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law. As its research, this paper first surveys the system of penalty surcharges in South Korea. Thereafter, it examines the system of penalty surcharge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penalty surcharges imposed thus far on viol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South Korea, and the relevant instances of regulation for viol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Japan and in the GDPR of the EU. By exploring how the appropriate use of the penalty surcharges are conducted, this study examines special accounts or special funds in which penalty surcharges are imputed, and the uses of examples that are limited to particular purposes by law. Thereafter, the study analyzes legal characteristics of penalty surcharge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find the appropriate use for penalty surcharges of this law. Based on such research, it is drawn that the most appropriate way forward is to specify the specific uses of the penalty surcharge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gislature insert in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 provision that limits the use of the penalty surcharges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subsidize the redress for damage, the victim’s litigation over breache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education and promo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o finance the training of personnel and the expansion of faciliti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은 최근 시행된 EU의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의 기준에 맞추어 보다 높은 수준으로 그 액수를 상향하여 위반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징금이 정보주체의 피해를 원인으로 하여 얻어지는 수익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국고로 귀속되어 피해자의 구제나 개인정보보호와 무관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과징금이 개인정보보호법의 근본 취지에 알맞은 용도로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이 법의 취지에적합한 용도로 활용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징금이 위반행위에 대한부당이득환수의 성격을 갖는다면 그렇게 환수된 자금은 국가가 아니라 피해자인 정보주체를 위하여 활용되거나 법의 취지에 맞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과징금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고,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 제도, 개인정보보호 위반에 대한 국내의 과징금 부과현황, 그리고해외의 개인정보보호 위반에 대한 규제의 예로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 및 EU의GDPR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 후 과징금의 적절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과징금이 특별회계 혹은 기금으로 귀속되는 활용사례와 법률에 용도를 제한하는 규정을두고 활용하는 사례들을 살펴본 후,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의 법적 성격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앞선 활용 유형에 대입하여 검토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개인정보보호법에 과징금의 용도를 한정하여 규정하는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한바, 피해구제를 위한 손해 지원금,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자의 소송 지원금,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교육 및 홍보 자금,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인력의 육성 및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업 등에 한정하여 과징금이 사용되도록 하는 규정을 개인정보보호법에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멘토경험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

        노윤경(盧允卿),이기학(李起鶴)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멘토경험이 멘토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학생 31명과 비참여 대학생 31명의 진로적응성 점수 변화를 비교하는 이질집단 사전사후설계로 실시되었다. 멘토링 프로그램의 순수한 처치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하는 ANC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진로적응성의 모든 하위요인(목적의식, 창의성, 대인관계, 개방성, 주도성, 직무능력, 긍정적 태도, 책임감)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멘토링 프로그램과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 co-operated by a university and local government.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is mentoring program is that education, training, and monitoring are provided for the mentors. The research design is pretest-posttest with a control group to compare career adaptability change of each group. ANC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8 factors (goal setting, crea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penness, proactivity, job competence, positive attitude, responsibility) of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career adaptability and mentoring program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