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교정 영상 시퀀스로부터 3차원 모델링을 위한 프로젝티브 재구성 방법
홍현기,정윤용,황용호,Hong Hyun-Ki,Jung Yoon-Yong,Hwang Y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2
비교정 영상 시퀀스(un-calibrated sequence)로부터 대상 장면을 재구성하는 연구는 컴퓨터 비젼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3차인 정보론 유클리드 공간에서 재구성하기 위해 프로젝티브(projective) 재구성이 선행되며, 이는 병합(merging)방법과 분해 (factorization)방법으로 나뉜다. 분해방법은 카메라 투영행렬과 3차원 구조정보를 한 번에 계산하기 때문에 계산속도가 빠르며, 병합방법의 단점인 오차의 누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일치점(correspondence)이 모든 영상 시퀀스에 존재한다는 가정으로 인해 긴 시퀀스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시퀀스를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을 분해 법으로 프로젝티브 재구성을 한 다음, 하나의 프로젝티브 공간으로 다시 구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시퀀스에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매칭점의 개수, 평면사영변환(homography) 오차, 영상 내 매칭점의 분포를 함께 고려했으며, 병합방법에 비해 카메라 파라미터의 오차 누적이 적고 계산속도면에서도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3D reconstruction of a scene structure from un-calibrated image sequences has been long one of the central problems in computer vision. For 3D reconstruction in Euclidean space, projective reconstruction, which is classified into the merging method and the factorization, is needed as a preceding step. By calculating all camera projection matrices and structures at the same time, the factorization method suffers less from dia and error accumulation than the merging. However, the factorization is hard to analyze precisely long sequences because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correspondences must remain in all views from the first frame to the last. This paper presents a new projective reconstruction method for recovery of 3D structure over long sequences. We break a full sequence into sub-sequences based on a quantitative measure considering the number of matching points between frames, the homography error, and the distribution of matching points on the frame. All of the projective reconstructions of sub-sequences are registered into the same coordinate frame for a complete description of the scene. no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cover more precise 3D structure than the merging method.
$TcpO_2$ 이용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조기진단
홍현기,김성우,남기창,차은종,김덕원,Hong, Hyun-Ki,Kim, Sung-Woo,Nam, Ki-Chang,Cha, Eun-Jong,Kim, Deok-Won 대한전자공학회 2007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4 No.3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함께 당뇨병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임상에서는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velocity: NCV)를 실시하여 신경병증의 유무를 진단한다. 그러나 신경전도검사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최대 100mA의 전기자극을 가하므로 피검자가 놀라거나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TcpO_2$를 이용하여 비관혈적으로 신경병증이 있는 그룹과 정상인 그룹 간의 $TcpO_2$와 $SpO_2$의 차이를 확인하고, $TcpO_2$와 $SpO_2$가 어떠한 관계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TcpO_2$ 측정방법을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새로운 조기 진단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인 50명과 NCV를 통해 신경병증으로 확진 받은 당뇨병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파라미터는 $TcpO_2$, $TcpCO_2$, $SpO_2$이었다. 측정결과 $TcpO_2$는 정상인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 그룹 간에 손과 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SpO_2$는 검지에서는 정상인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지만(p>0.05), 엄지발가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손가락의 $SpO_2$와 손의 $TcpO_2$는 상관관계가 0.400(p<0.01), 발가락의 $SpO_2$와 발의 $TcpO_2$는 0.471(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정상인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 그룹 간에 손과 발의 $TcpO_2$ 방법의 민감도는 66%, 특이도는 92%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TcpO_2$ 방법이 신경병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전검사 도구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TcpO_2$ 검사를 통해 혈관폐색과 신경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폐색과 신경병증을 조기에 진단 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Diabetic neu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 diabetes related complications including diabetic nephropathy and retinopahty. In clinical practices,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has been used as a standard method for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However, it applies maximum current of 100mA to nerves causing stress and pain to patients. In this study, as a non-invasive method, $TcpO_2$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cpO_2$ and $SpO_2$ of normal and diabetic neuropathy subjects. In addition, a new method of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is suggested. 50 normal subjects and 50 diabetic patients with neuropathy diagnosed by NCV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were $TcpO_2$, $TcpCO_2$, and $SpO_2$. As a result of the $TcpO_2$ measure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from $TcpO_2$ of hands and feet from normal and patients group(p<0.01). $SpO_2$ measured from index finger of normal and patient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On the other hand, $SpO_2$ measured from great toes of normal and patient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pO_2$ of finger and $TcpO_2$ of hand was 0.400 (p<0.01) and $SpO_2$ of toe and $TcpO_2$ of foot was 0.471(p<0.01). Both correlation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the $TcpO_2$ method were found to be 66 % and 92 %, respectively. If the suggested $TcpO_2$ method is used periodically,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diabetic neuropathy would be possible.
Proteomic 분석을 통한 Alcaligenes sp.의 생장과 인(P) 제거 효율에 대한 구리(Cu)의 저해 효과 평가 (초록)
홍현기 ( Hyeon Ki Hong ),김덕현 ( Deok Hyun Kim ),김희정 ( Hee Jung Kim ),이석언 ( Seok Eon Lee ),남주현 ( Joo Hyun Nam ),최종순 ( Jong Soon Choi ),이문순 ( Moon Soon Lee ),우선희 ( Sun Hee Woo ),정근욱 ( Keun Yook Chung )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Vol.2012 No.-
The Linearity and Sensitivity Improved Sensor Read-Out Circuit
Hyun-Ki Hong(홍현기),Sung-Hun Jo(조성훈)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As a disadvantage of the wheatstone bridge, it is known that output voltage has nonlinear characteristics into applied resistive sensor. To solve this problem, the modified circuit is proposed. In particular, the larger the sensor resistance, the smaller the change in the output voltage, so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pplement this lower output voltage change. A resistor array was introduced that showed linearity by changing the internal resista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ensor resistance. To automat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nternal resistance, an operational amplifier and a micro controller unit (MCU) were adopted.
홍현기(Hyun Ki Hong),지효철(Hyo Chul Ji),김수찬(Soo Chan Kim),김덕원(Deok Wo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5 No.3
최근 휴대폰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휴대폰 전자파로 인해 두통, 불면증, 단기간의 기억력 소실 등의 정신 신경 생리학적 증상을 호소하는 휴대폰 전자파 과민증(EHS,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환자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전자파 과민반응의 원인이 막연한 불안감 때문인지 혹은 전자파 노출로 인한 증상 인지에 대하여 확실한 원인규명이 되지 않고 있다. GSM 방식의 휴대폰의 경우 전자파 노출 시 EHS 군을 대상으로 혈압, 맥박수 변화 및 자각 증상 등의 과민 반응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일반인과 EHS 군의 실험-대조군 연구로 생체신호, 자각증상 및 전자파 인지 여부에 대한 복합적인 연구와 CDMA 휴대폰 EHS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 19명과 EHS 17명을 대상으로 30분간 300 mW의 CDMA 휴대폰 전자파에 노출 시 교감신경의 흥분을 나타내는 맥박, 호흡수, HRV(heart rate variability)의 변화를 측정하고, 전자파 노출 시 전자파 인지여부와 두통, 피로 등의 자각증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과 EHS 군 모두 전자파 노출여부에 따라 맥박, 호흡수, HRV의 변화가 없었고, 자각증상의 차이도 없었다. 전자파 인지 조사 결과 EHS 군이 일반인 군에 비하여 전자파를 더 잘 인지한다고 볼 수 없었다. Due to the fast increase in cellular phone users, public interest on health effect of electromagnetic fields(EMFs) by cellular phones is gradually increasing. Some EHS(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patients complain of psycho-neurophysiological symptoms such as headaches, insomnia, memory loss resulting from RF radiation by CDMA cellular phones. However, EHS is difficult to diagnose and depends on the individual's subjective judgement. And we don't know clearly if the cause of EHS is uneasiness or real exposure. There have been various EHS volunteer studies on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subjective symptoms using GSM phone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experimental case-control study investiga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subjective symptoms, and perception of EMFs. In this study, two volunteer groups of 17 self-declared EHS and 19 controls were exposed to both sham and real RF exposure by CDMA cellular phones for half an hour each. We investigated not only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s, respiration rates and HRVs(hear rate variability), but also the perception of EMFs and subjective symptoms. As the results, EMF exposure did not have any effects on the subjective symptoms or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both groups. For the EMF perception, there was no evidence that EHS group perceived the EMFs correctly than the contro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