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dentifying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Local Firm Entry and Exit

        Gihoon Hong(홍지훈),Aaron Medli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1

        본 논문은 지역 내 기업들이 이민자 수의 증가에 대하여 자본 투자의 확대를 통해 반응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2002년부터 2011년 사이의 미국 지역 조사 (America Community Surveys)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이민자 수의 증가는 지역 내 기업의 신규진입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퇴출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고학력 이민자 수의 증가는 기업의 지역 내 자본 시설 확충에 보다 큰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이는 이민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이주노동자의 기술 수준의 이질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암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local firms respond to immigration through capital investment in establishments. Using data from the American Community Surveys from 2002 to 2011, we find that immigr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stablishment entry level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exits. In particular, high-skill immigration is found to have a greater positive impact on establishment entries,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kill heterogeneity in studying the effects of immigration.

      • KCI등재

        청년층의 비정규직 취업결정요인 : 도구변수를 활용한 네트워크 효과 분석

        홍지훈 ( Gihoon Hong ),박근환 ( Geunhwan Park )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2018 경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국내 청년 구직자의 취업 과정에서 노동시장 네트워크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조사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2016년 사이에 취업에 성공한 청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네트워크 참여 결정에 따른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현 직장소재지와 출신고교소재지의 일치 여부를 도구변수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초 취업 당시 네트워크형 입직경로를 사용할 경우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으로 채용될 확률이 약 12%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네트워크 참여자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혼잡효과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국내 노동시장에서 장기간 지속되어 온 청년 실업의 증가 속에서 구인율과 실업률의 비율로 측정되는 노동시장 긴장도가 상당히 느슨해 진 상태임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networks as a determinant of temporary employment status in the labor market. We use Korean data from Youth Panel 2007 in order to focus on the network effects on young workers who are newly employed between 2008 and 2016. After addressing the endogeneity issue associated with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networks through the instrumental variables method, we find that the use of social networks in the job search process decrease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regular (temporary) employment by 12% points. The adverse effect of networks on the labor market outcomes could be a result of congestion effect that may arise as the size of network gets larger. The result offers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as it suggests the labor market tightness as defined by the ratio of vacancy creation and unemployment rates is quite loose for young workers in Korea, possibly due to the prolonged youth unemployment in the nation.

      • KCI등재

        직무별 재택근무 가능성에 따른 코로나19의 고용효과 분석

        정예은 ( Yeeun Jeong ),홍지훈 ( Gihoon Hong )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2023 시장경제연구 Vol.52 No.2

        2020년 2월 국내에서 시작된 코로나19의 확산은 지역 노동시장의 급격한 고용의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정적인 고용 충격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근로자 그룹별로 비대칭적인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택근로의 가능 여부라는 직무별 특성에 주목하여 코로나19에 기인한 고용 충격이 재택근로의 용이도에 따라 직무별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기초로 도출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대면접촉을 요하는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직 및 판매직 종사자의 근로시간이 감소한 반면 재택근무로의 전환이 용이한 직업군에서는 근로시간이 (재택근무로의 전환이 어려운 직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팬데믹의 발생에 기인한 고용충격의 영향이 재택근로로의 전환이 용이한 직종에서는 고용이 유지된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의 증가를 통하여 다소 완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재택근로의 가능성이 직종별 평균임금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팬데믹의 발생이 노동시장 불균형을 확대하는 또 다른 경로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갖는다. The spread of COVID-19 that began in Korea in February 2020 resulted in a sharp decline in employment in the local labor market. Nonetheless, little is known about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se negative employment shocks asymmetrically impact different groups of work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the employment impacts caused by COVID-19 vary wi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eleworkability. Using data from the Local Area Labor Force Survey, we find that after COVID-19, working hours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have decreased, especially in industries requiring a face-to-face contact. By contrast, the working hours of workers in occupations with an option of a flexible switch to teleworking have slightly increased.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dverse impacts on employment arising from the spread of COVID-19 have been somewhat offset by a rise in the working hours of those who have maintained their employment in occupations where it is easy to switch to teleworking. Considering that teleworkability tends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wage level, the result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in that it presents an alternative channel through which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has added to labor market inequality.

      • KCI등재

        성별 교육불평등의 기회비용에 관한 연구

        김소영 ( Soyoung Kim ),박근환 ( Geunhwan Park ),심승규 ( Seung-gyu Sim ),홍지훈 ( Gihoon Ho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8 여성경제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성별 교육 기회의 불평등의 원인을 탐구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관점에서 성별 교육불평등이 갖는 기회비용을 실증적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먼저 Barro and Lee Educational Attainment Data를 근거로 성별 교육격차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지만 점차 감소하여 대학교 수준에서 사라지는 경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교육 투자와 관련한 가구 내 주인-대리인 문제를 성별 교육불균형의 원인으로 식별하였다. 성별 교육수준의 불평등이 야기하는 기회비용을 추정하기 위하여 2010년 기준 144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 교육불평등이 전통적 개념의 경제성장지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경제발전과 관련된 대안적 지표라 할 수 있는 영아사망률, 기대수명, 인간개발지수 및 환경성과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교육 투자가 인적자본 및 임금의 증가로 나타나는 사적 혜택을 넘어 지속가능한 성장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외부경제를 유발하고 있음을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causes of the educational gender gap that is prevalent in developing countries and estimate the economic costs of the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on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a descriptive analysis on the Barro and Lee Educational Attainment Data, we first identify the intra-household principal-agent problem as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gender gap in educational investment. In order to estimate the opportunity costs associated with the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we construct cross sectional data on various measures of economic development for 144 countries in 2010.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gender inequality has no discernable effect on the traditional measure of economic growth. In contrast, we find that a rise in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investmen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rimental impacts on various alternative measures of economic growth such as infant mortality, life expectancy, Human Development Index and Environment Performance Index. The result offers important policy insights in that investment in women’s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substantial external benefits in terms of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and improving the standard of life.

      • KCI등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성별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이소헌 ( So-heon Lee ),정예은 ( Ye-eun Jeong ),심승규 ( Seung-gyu Sim ),홍지훈 ( Gihoon H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최저임금 지역별 차등화를 실시하고 있는 일본 통계국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지역 노동시장의 정규직/비정규직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먼저 2012년과 2016년 자료를 각각 분리하여 활용한 횡단면 분석에서는 최저임금이 높은 지역일수록 임금 노동자중 비정규직 종사자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종단면 분석에서는 지역최저임금이 10엔 상승할 때, 지역내 남성 정규직 노동자수는 16,730명 감소하고,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수는 7,650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저임금의 지역차등화가 최저임금이 높은 지역 그리고 최저임금 상승폭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고용의 질적 하락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es data from Statistics of Japan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difference in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pattern by gender in the local labor market.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data separately from 2012 and 2016, we find that a region with a higher minimum wage tends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among paid employees. In a longitudinal analysis focused on the changes between 2012 and 2016,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 regional minimum wage leads to a fall in the number of male regular workers but a rise in the number of female irregular workers in the reg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al differential of the minimum wage could lead to a declin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especially in areas with a higher minimum wage and areas experiencing a fast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